2023.01.17

연금저축 세액공제 확대

  • 50세 이상 연금저축 세액공제 혜택 상한액이 200만원 더 늘어났음.
  • 연금저축 세액공제 혜택을 받으려면 총급여 1억2000만원을 초과하지 않고, 이자·배당소득이 2000만원을 초과하지 않아야  함.
  • 연금저축의 세액공제 한도는 기존 400만원 한도에서 200만원 상향된 600만원이며, 퇴직연금(IRP)계좌 등과 합해서는 700만원 한도에서 200만원 상향된 900만원까지 공제받을 수 있음.

자세한 내용 보기


배우자 출산휴가급여에 대한 소득세 비과세

  • 모성보호 및 남성 육아참여 활성화를 위해 고용보험법에 따라 받는 배우자 출산휴가 급여는 비과세 근로소득에 해당되어 총급여액에 포함시키지 않음.
  • 기존에는 출산휴가급여, 육아휴직수당,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과 관련한 급여 등에만 적용되었지만, 배우자 출산휴가급여까지 확대한 것. 
  • 배우자출산휴가는 남녀고용평등법에 따라 근로자가 배우자의 출산을 이유로 신청하는 경우 부여하는 10일간의 유급휴가(2019.10월부터 시행)로 10일간 휴가임금은 회사가 지급해야 하며, 우선지원대상기업인 경우 정부가 5일분의 배우자출산휴가급여를 지원함.

자세한 내용 보기

종전 변경
  • 육아휴직 급여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급여
  • 출산전후 휴가급여등
  • 없음
  • 동일
  • 동일
  • 동일
  • 배우자 출산휴가급여 추가
  • 2020.1.1. 이후 발생하는 소득부터 적용

신용카드 체크카드 등 3월~7월 사용분 소득공제율 확대,소득공제 한도액 상향

1. 공제율 확대

  • 코로나19  타격에 따른 소비 활성화의 일환으로 올해 3∼7월 신용 체크카드, 현금 등 사용액의 소득공제율을 2배 이상 상향되었음.
  • 사용액의 15%에 그쳤던 신용카드 공제율은 3월엔 사용액의 30%, 4∼7월엔 80%까지 확대되었음.
  • 체크카드·현금영수증 공제율은 3월엔 최소 60%, 4∼7월엔 80%로 늘었다.
  • 다만, 8월부터 12월의 신용카드 체크카드 현금영수증 등의 공제율은 예년과 같은 15~30%임. 

2. 공제최고액(공제한도) 상향

  • 소득공제 한도도 모든 소득계층에 30만원씩 높아져 최대 330만원이 됐다.
  • 급여 7000만 원 이하 근로자는 330만원, 7000만∼1억2000만 원 근로자는 280만원, 1억2000만원 초과 근로자는 230만 원.
  • 다만 공제를 받기 위해서는 최소 연소득의 25% 이상을 써야 함.
종전(2020.3.23) 변경
신용카드 체크카드 등 사용금액 소득공제 신용카드 체크카드 등 소득공제율 인상
(공제대상) 총급여의 25% 초과 사용금액 동일
(공제율) 3~6월 사용분의 경우 30~80%
구분 공제율
신용카드 30%
현금영수증⋅체크카드 등 60%
전통시장⋅대중교통 80%
* ’20년 1,2월 사용분은 종전과 같이 15~40% 적용
(공제율) 4∼7월 사용분 80%로 상향
구분 1.2월 3월 4~7월 8~12월
신용카드 15% 30% 80% 15%
현금영수증 등 30% 60% 30%
전통시장 등 40% 80% 40%
* ’20년 1,2월, 8~12월 사용분은 15~40% 적용
(공제한도) 급여수준별로 230~330만원
총급여기준 공제한도
7천만원 이하 330만원
7천만원 ~1억2천만원 미만 280만원
1억2천만원 이상 230만원
동일
(추가공제한도) 아래 항목별로 각 100만원 한도 추가
항목 한도추가
전통시장 100만원
대중교통 100만원
도서⋅공연⋅박물관⋅미술관 100만원
동일

야간근로수당 등이 비과세되는 생산직근로자의 총급여액요건 완화

  • 생산직 근로자의 연장근로수당 등에 대한 비과세 요건 중 직전연도 총급여액 기준이 2500만원에서 3000만원 이하로 완화됨.
  • 비과세되는 월정액 급여 요건은 이미 2019년 귀속부터 190만원에서 210만원으로 상향 조정된바 있음.
  • 따라서 생산직 근로자는 근로기준법에 의한 연장⋅야간⋅휴일근로를 통해 통상임금에 더해 받는 수당 중 연 240만원(광산・일용근로자는 전액) 이내의 금액이 비과세됨.
  • 다만, 월정액 급여 210만원을 초과하는 월에 받는 연장근로수당 등은 과세대상에 포함됨.
종전 변경
비과세 기준 금액 비과세 기준 금액 상향
(월정액 급여*) 210만원 이하
*봉급⋅급료⋅보수 및 이와 유사한 성질의 급여 총액에서 「근로기준법」에 따른 연장근로⋅야간근로 등으로 받는 급여를 뺀 금액
동일
(총급여액) 직전 과세기간 2,500만원 이하 2,500만원 이하 → 3,000만원 이하
(비과세 한도) : 연간 240만원 동일
  • 적용시기 : 2020.2.11.이 속하는 과세기간에 발생하는 소득부터 적용

중소기업 근로자의 구입⋅임차자금 대여이익을 과세대상에서 제외

  • 중소기업 직원이 주택 구입·임차자금을 저금리 또는 무상으로 대여받아 얻는 이익은 연봉에서 제외하고 세금을 계산함.
  • 연간 근로소득에서 주택 관련 소득이 빠지면 세금부과 기준이 되는 과세표준이 낮아져 연말정산 때 환급액이 더 늘어날 수 있음.
  • 다만, 중소기업의 임원에 대한 자금 대여시에는 근로소득으로 봄.
종전 변경
근로소득의 범위
종업원이 주택의 구입⋅임차자금을 저리⋅무상으로 대여받음으로써 얻는 이익 포함
근로소득에서 제외되는 소득 추가
조특법상 중소기업 근로자가 주택의 구입⋅임차자금을 대여 받음으로써 얻는 이익은 근로소득에서 제외
  • 적용시기 :  2020.2.11.이 속하는 과세기간에 발생하는 소득부터 적용

월세 세액공제 적용대상 확대

  • 2020년 12월 31일 기준으로 무주택 세대의 세대주(단독 세대주 포함, 세대주가 주택자금공제, 주택마련저축공제를 받지 않는 경우 세대원 포함)로서 해당 과세기간의 총 급여액이 7천만원 이하인 근로자라면 월세액 세액공제를 받음.
  • 위 조건을 충족하면 연 750만원 이내 자신이 지출한 월세액에서 공제를 받을 수 있음.
  • 다만, 연간 급여 수준에 따라 세액 공제율 계산이 각각 다름.
    • 연 근로소득 5500만원 이하이거나 사업소득 4500만원 이하면 12% (최대 90만원=750만원*12%)까지 공제가 가능
    • 연 근로소득 5500만원 초과 7000만원 이하 또는 사업소득 6000만원 이하일 땐 10% (최대 75만원=750만원*10%)를 공제받음.

자세한 내용 보기

종전 변경
(대상자) 무주택자 중 총급여액 7,000만원 이하(종합소득금액 6,000만 원 이하) 근로자 및 성실사업자, 성실신고확인대상자 동일
(공제율)
-총급여액 5,500만원 이하자(종합소득금액 4,000만원 이하자):월세액의 12%
-총급여액 7,000만원 이하자(종합소득금액 6,000만 원이하자):월세액의 10%
(공제율)
-총급여액 5,500만원 이하자(종합소득금액 4,500만원 이하자):월세액의 12%
-동일
(월세액 한도) 750만원 동일
  • 적용시기 :  2021.1.1. 이후 연말정산 또는 종합소득 과세표준을 신고하는 소득부터 적용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 대상업종 확대

  • 제조업, 도소매업, 음식점업 취업자에 대해서만 적용하던 소득세 감면제도가 창작·예술업, 스포츠업, 도서관·사적지 및 유사 여가 관련 서비스업 등 서비스산업 업종 근무자에게도 확대 적용됨.
  • 60세 이상자, 장애인, 경력단절여성에 대해서는 3년간 소득세 70%를 감면함.
  • 청년(15∼34세)은 5년간 소득세 90%를 감면함.
  • 다만, 감면한도는 연간 150만원까지임.
종전 변경
(대상) 청년⋅60세이상자⋅장애인⋅경력단절여성
(감면율) 70%(청년은 90%) * 과세기간별 150만원 한도
(감면기간) 3년 (청년은 5년)
동일
(대상업종) 농어업, 제조업, 도매업, 음식점업 등 창작 및 예술관련 서비스업, 스포츠 서비스업,도서관, 사적지 및 유사 여가관련 서비스업 추가
(적용기한)2021.12.31. 동일
  • 적용시기 : 2020.1.1 이후 발생하는 소득부터 적용

year_ens_2021.png

Atachment
첨부파일 '1'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1. 장애인 가족 연말정산 소득공제(인적공제) 세액공제(의료비,보험료,교육비)

    장애인을 부양하는 근로자의 세금 부담을 경감시키고 소외계층에 대한 지원을 위해 부양가족 중 장애인이 있을 경우 연말정산시 소득공제 우대 혜택을 두고 있습니다. 세법상 장애인이란? 연말정산시 장애인이란, 소득세법 시행령 제107조에서 정한 다음과 같은 사람을 ...
    부양가족 조회13026 file
    Read More
  2. 정치기부금, 정치후원금 ... 10만원 이하, 10만원 이상 모두 세액공제

    정치후원금, 정치기부금 ... 10만원 이하, 10만원 이상 모두 세액공제 정치기부금의 종류 정치자금법에 따라 정당(당비), 정치인후원회(후원회비), 선거관리위원회(기탁금)에 기부한 정치자금 세액공제율 및 세액공제 방법 10만원까지는 그 기부금액의 110분의 100을 세...
    기부금 조회20457 file
    Read More
  3. 주택담보대출 연말정산 소득공제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주택담보대출(장기주택저당차입금) 연말정산 소득공제 무주택 또는 1주택을 보유한 세대의 세대주(예외적으로 세대원 가능, 외국인 포함)인 근로자가 취득당시 기준시가 5억원 이하인 주택(주거용 오피스텔 제외)을 취득하기 위하여 그 주택에 저당권을 설정하고 금융회...
    주택 조회11467 file
    Read More
  4. 전세·월세보증금(주택임차 차입금) 연말정산 소득공제

    전세·월세보증금(주택임차 차입금) 연말정산 소득공제 주택임차차입금이란 주택을 전세(또는 월세, 사글세)로 빌리기 위해 금융기관 등에서 받은 대출금(주택임차자금 : 전세보증금 또는 월세보증금)을 말하며, 원리금상환액 소득공제는 그 대출금을 갚았을 때, 원금과 ...
    주택 조회10064 file
    Read More
  5. 부모님과 자녀 신용카드 사용액의 연말정산

    부모님과 자녀가 사용한 신용카드 사용액도 소득공제 대상입니다. 배우자, 직계존속(부모님과 배우자의 부모님)과 직계비속(자녀)이 사용한 신용카드, 현금영수증 등 사용금액도 소득공제 받을 수 있습니다. 배우자 주민등록지에 같이 거주하지 않고 별거하고 있어도 가...
    신용카드 조회33525 file
    Read More
  6. 2022(2021년분) 연말정산 달라지는 제도

    2021년 소비증가분에 대한 신용카드 추가 소득공제 신설 2021년 신용카드 소비금액이 2020년 대비 5%를 초과하여 증가한 경우, 증가한 금액의 10% 소득공제 및 100만 원 추가 한도를 적용받을 수 있음 적용시기 2021년 소득에 대해 연말정산하는 분부터 적용 <신용카드 ...
    연도별 바뀌는 제도 조회7397 file
    Read More
  7. 2021(2020년분) 연말정산 달라지는 제도

    연금저축 세액공제 확대 배우자 출산휴가급여에 대한 소득세 비과세 신용카드 등 소득공제 한도액 상향, 3월~7월 신용카드 등 사용분 소득공제율 확대 야간근로수당 등이 비과세되는 생산직근로자의 총급여액요건 완화 중소기업 근로자의 구입⋅임차자금 대여이익을...
    연도별 바뀌는 제도 조회3738 file
    Read More
  8. 2020(2019년분) 연말정산 달라지는 제도

    2020(2019년분) 연말정산 달라지는 제도 산후조리원 비용도 의료비 세액공제 가능 총급여 7천만 원 이하인 근로자가 산후조리원(「모자보건법」 제2조 제10호에 따른 산후조리원)에 지출하는 비용에 대하여 출산 1회당 200만 원까지 의료비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음. 산후...
    연도별 바뀌는 제도 조회2609 file
    Read More
  9. 2019(2018년분) 연말정산 달라지는 제도 (신규, 확대)

    책구입 공연 관람료, 소득공제 (신규) 2018년도분 연말정산 부터는 책을 사거나 공연 보는 데 신용카드, 현금카드, 체크카드, 직불카드, 현금는 물론 상품권을 사용했다면 소득공제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카드 마일리지(포인트)나 휴대전화 소액결제를 이용했다면 ...
    연도별 바뀌는 제도 조회14866 file
    Read More
  10. 2014년 연말정산 달라지는 내용

    연말정산 주요항목별 체크사항(2014년도분) 1. 연금저축 (예금, 보험, 펀드) 세액공제 연간 가입액의 400만원까지 12% 세액공제를 된다. (400만원 * 12% = 48만원) 2. 주택청약저축 소득공제 연간 12만원 한도내에서 40% 소득공제된다. 3. 신용카드와 체크카드 소득공제 ...
    연도별 바뀌는 제도 조회1231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