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코너는 특별한 설명이 없으면 만18세 미만에만 해당됩니다.
청소년 근로자의 연장·야간·휴일근로수당
- 청소년 근로자는 1일 7시간을 초과한 근무(연장근로)는 물론 야간 및 휴일에 근무할 시 전체근무시간에 대해서는 반드시 가산임금을 받아야 합니다
- 연장·야간·휴일근로수당(시간당 임금의 50%가 가산적용된 150%)은 5인이상 사업장만 적용됩니다.
- 5인미만 사업장은 50% 가산수당이 적용되지 않는 100% 임금만 받습니다.
연장근로와 연장근로수당
- 청소년 근로자의 기준근로시간은 1일 7시간, 1주35시간이며, 청소년 근로자의 동의가 있는 경우 1일 1시간, 1주 5시간이내에서 연장근로를 할 수 있습니다.
- 최대 가능한 연장근로시간을 합산하면 1일 8시간, 1주40시간까지만 근무할 수 있습니다.
- 청소년 근로자의 연장근로 자세히 보기
연장근로수당 계산방법
- 연장근로한 시간의 당연분 임금(100%)와 50%의 법정 가산임금을 받습니다.
- (연장근무한 시간×시간급×100%) + (연장근무한 시간×시간급×50%)
- (사례) 근무시간이 09:00 ~17:00까지 7시간(1시간 중식시간)인 상태에서 1시간 연장근무한 경우는? (시급 10,000원인 경우)
- (7시간×10,000원×100%)+{(1시간×10,000원×100%)+(1시간×10,000원×50%)} = 85,000원
야간근로와 야간근로수당
야간근로수당 계산방법
- 야간근로시간(오후10시~새벽6시)의 근무에 대해서는 50%의 법정 가산임금을 받습니다.
- (근무한 시간×시간급×100%) + (야간근무시간대의 시간×시간급×50%)
- (사례) 근무시간이 18:30 ~ 24:00까지 5시간(30분은 중식시간) 근무한 경우는? (시급 10,000원의 경우)
- (5시간×10,000원×100%)+(2시간×10,000원×50%) = 60,000원
휴일근로와 휴일근로수당
휴일근로수당 계산방법
- 휴일근무시간 전부에 대해 50%의 법정 가산임금을 받습니다.
- (휴일근무한 시간×시간급×100%) + (휴일근무한 시간×시간급×50%)
- (사례) 월~토요일까지 개근한 연소자가 주휴일(통상 일요일)에도 출근하여 5시간 근무하였을시 휴일날의 임금은? (시급 10,000원의 경우)
- (5시간×10,000원×100%)+(5시간×10,000원×50%) = 75,000원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
알바 나이는?
-
알바 금지 직종
-
알바는 함부로 그만두지 못하나요?
-
알바도 근로자인가요?
-
근로계약서·임금명세서 작성과 교부
-
알바 근무시간·휴게시간
-
알바와 휴일·휴가
-
야간이나 휴일에도 알바를 할 수 있나요?
-
알바의 연장·야간·휴일근로수당
-
알바와 최저임금
-
알바비를 못받으면 어떻게 하나요?
-
알바 해고수당·해고제한
-
알바도 일하다 다치면 산재 보상
-
알바 괴롭힘·성희롱·폭행 금지
-
현장실습을 나갔습니다.
-
청소년 노동법 교육을 받고 싶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