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4.23
퇴직금

코로나19 등의 영향으로 휴업 또는 휴직 후 퇴직할 경우, 퇴직금 지급을 위한 평균임금 산정 방법은?

  • 평균임금은 `산정사유가 발생한 날 이전 3개월` 동안에 지급된 임금의 총액을 그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금액입니다.
  • 하지만, 회사의 귀책사유로 휴업한 기간, 업무상 부상·질병으로 요양하기 위하여 휴업한 기간, 업무 외 부상·질병 등 그 밖의 사유로 회사의 승인을 받아 휴업한 기간 등은 평균임금 산정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근로기준법 시행령 제2조제1항, 제2·4·8호)
  • 따라서, 평균임금 산정대상에서 제외되는 기간이 있는 경우에는  `이전 3개월` 중에서 제외되지 않는 기간 및 그 기간에 지급받은 임금`을 기준으로 평균임금을 산정하여야 합니다.
  • 만약, 제외되는 기간이 3개월 이상인 경우에는 제외되는 기간의 최초일(휴업시작일 등)을 평균임금의 산정사유가 발생한 날로 보아 평균임금을 산정(평균임금산정 특례고시 제1조제1항)합니다.
  • 평균임금 산정에서 제외되는 기간은 아래와 같습니다.
① 고객감소·매출감소 등으로 사용자가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휴업한 기간
② 사업장내 확진자와 밀접접촉으로 인해 사용자의 승인을 얻어 휴업한 기간
③ 노사합의에 따라 실시한 무급휴직기간 등


관련 내용 자세히 보기


산정예시

(사례1)
  • 회사가 매출감소 등으로 자체 판단하여 2020.2.1.부터 2020.3.31.까지 휴업을 실시하고, 2020.4.1.에 폐업한 경우 2019.4.1. 입사한 근로자(월 기본급 2백만원, 별도수당이 없는 경우)의 평균임금은?
  • 평균임금 =  2020.1월 급여 2백만원 ÷ 31일 = 64,516원
  • 2.1~3.31의 휴업기간(60일)과 해당기간(60일) 지급된 금품은 산정대상에서 제외합니다.

(사례2)
  • 회사가 매출감소 등으로 자체 판단하여 2020.2.1.부터 2020.4.30.까지 휴업을 실시하고, 2020.5.1.에 폐업한 경우 2015.1.1 입사한 근로자(월 기본급 2백만원, 연간정기상여금 6백만원 지급, ’20.1.25 연차유급휴가미사용수당 81,522원 수령한 경우)의 평균임금은?
  • 평균임금=  [{2백만원X3개월(2019.11~`20.1)}+{6백만원X3/12}+{81,522원X3/12}]÷92일 = 81,743원




실업급여

회사가 폐업되면서, 사업주가 이직확인서에 `일신상의 사유`로 신고한 경우,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지?

  • 회사에서 제출한 이직확인서의 내용이 사실과 다른 경우 사업주에게는 과태료 100만원이 부과됩니다.
  • 이와 별도로 근로자는 근로복지공단에 이직확인서 정정을 요청할 수 있고, 근로복지공단은 사실관계 조사를 거쳐 직원으로 이직확인서(퇴직사유 포함)를 정정할 수 있습니다.
  • 구직급여 수급자격 여부는 근로복지공단에서 최종적으로 등록한 이직확인서 내용에 따라 판단하고 있습니다.
  • 고용센터에 구직급여 수급자격 신청 시 이직확인서의 이직사유가 사실과 다른 경우에는 관할 근로복지공단으로 정정 절차를 문의하면 됩니다. 

관련 내용 자세히 보기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기타 [코로나19] 휴업·휴직·권고사직·임금삭감
기타 [코로나19] 연차휴가와 재택근무
» 기타 [코로나19] 퇴직금과 실업급여
기타 [코로나19] 각종 정부 지원금 제도
여성 투잡상태에서(사업자등록) 육아휴직급여 받을수 있나요? 1
기타 정규직 전환시 비정규직 근속기간 인정여부 1
근로시간 휴일근로와 연장근로의 중복 2
해고 등 수습 기간 만료 후 계약해지 1
기타 개인 질병 부상으로 퇴사하여 실업급여를 받는 방법
임금 상여금이 통상임금에 포함되지 않기 위한 상여금 규정변경 1
근로시간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주당 최대 근로 가능 시간은? 1
근로기준 근로자의 동의 없이 사무실 내부에 cctv 설치 하였을 경우
근로기준 정년60세 의무화 관련 1
기타 사측의 노동조합 사무실 축소 이전 1
근로계약 정년 60세 법제화 개정내용 1
여성 계약직의 출산휴가기간의 계약기간포함여부 1
임금 통상임금이 노동부와 법원이 어떻게 다른거죠? 1
임금 통상임금에 포함되는 수당은?
기타 일용근로자의 퇴직금 발생 여부 1
임금 체불임금 지연이자의 근로소득 여부
근로시간 선거일 유급처리 여부 1
근로계약 근로계약서 서면 작성 및 교부 의무 관련(2012년 1월1일 적용) 1
임금 감시단속직 3교대 근로자 급여 산출과 연차수당 계산 방법
근로시간 연장근로수당 청구시 연장근로 여부를 입증할 수 있는 자료는 무엇인지요?
근로계약 해외 근무중인데, 계약기간 만료전 퇴직하면 해외 주재비를 물어내야 하나요? 1
임금 단시간근로자(아르바이트)와 통상근로자의 통상임금 산정방법
근로계약 근로계약이 만료되었는데, 계약만료 기간 이후에도 계속하여 회사에 출근할 의무가 있나요?
해고 등 사직서 제출후 몇시간만에 철회를 요청한 경우, 사직서의 철회의 효력 여부 1
해고 등 보직해임하고 일정기간 경과후 해고하는 것이 정당한지요? 1
근로계약 실적에 따른 성과급제 설정(또는성과급 체계의 확대)은 근로자의 동의를 얻어야 하는지? 1
해고 등 직급정년제는 인정될 수 있나요? 1
근로계약 경비원은 2년이상 근무해도 정규직이 못돼나요? (기간제 경비원 정규직 전환) 1
근로계약 감시단속적 근로자에 대한 근로시간등의 적용예외 승인을 취소받을 수 있을까요? 1
임금 인사이동,직무변경과 급여 변동
임금 급여계산시 일할계산 방법
근로계약 해외근무 도중에 퇴직하는 경우, 임금 항공료 체재비를 반환해야 하는지요? 1
해고 등 징계 준비를 위해 대기발령을 하는 것이 정당한지요?
임금 개인연금 보조금,핸드폰 보조금이 퇴직금 계산에 포함되나요? 1
임금 사업주 변경시 임금체불 형사책임은 누구?
임금 상여금 지급제한 규정의 효력(지급일 현재 퇴직자에 대한 상여금 지급 여부)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