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01.16

궁금  님께서 남기신 상담글입니다.
 안녕하십니까?

저희 회사에 1989년 9월 1일 입사하신 후 내년(2003년) 1월 3일짜로 퇴사예정인 분이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 2003년 연차는 몇일이 되는 건지요? 다음 두가지 안 중에서 선택을 해주세요.

1안) 2003년-1989년 + 10일 = 24일의 연차 발생
 2안) 내년 근무 가능 일수가 2일이면 이틀만 발생한다. 즉 2일의 연차 사용시 추가 보상은 발생하지 않음

어떤 분이 2안을 내시면서 하시는 말씀이 ...
 24일의  휴   가   를 주라는 것이 법이다!
 즉, 이른 퇴사로 인해 그것을 다 쓰지도 못할 상황에서까지 휴가를 발생시켜 보상을 하라는 것은 무리가 있지 않느냐고 하시는데 그것도 설득력이 있는 것 같아 이렇게 문의 드립니다.

감사드립니다. 골치야~
 

TAG •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해설 '2'

  • 노동OK 2009.08.25 18:06
    안녕하세요 궁금 님, 한국노총입니다.

    1. 연차휴가의 부여는 원칙적으로 개별근로자마다의 입사일을 기준으로 부여되므로 1989.9.1에 입사한 근로자의 연차휴가와 수당의 부여는 다음과 같습니다.
    -89.9.1~90.8.31까지 개근한 것에 대해 90.9.1~91.8.31까지 10일의 연차휴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이기간중에 사용하지 못한 휴가에 대해서는 91.9월 급여일에 수당으로 보상하고,
    -90.9.1~91.8.31까지 개근한 것에 대해 91.9.1~92.8.31까지 11일의 연차휴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이기간중에 사용하지 못한 휴가에 대해서는 92.9월 급여일에 수당으로 보상하고,
    -같은방식으로 ,
    -01.9.1~02.8.31까지 개근한 것에 대해 01.9.1~02.8.31까지 21일의 연차휴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이기간중에 사용하지 못한 휴가에 대해서는 02.9월 급여일에 수당으로 보상하고, 이때의 연차수당은 퇴직금산정에 가산하지만,
    -02.9.1~03.1.3 퇴직일까지에 대해서는 1년을 개근하지 못하였으므로 연차휴가의 청구권이 발생하지 않음은 물론 수당청구권도 발생하지 않습니다.

    2. 이렇게 연차휴가의 기산일은 개별근로자의 입사일이 기준이나 회사에 따라 자체적으로 정한 기산일 (매년 1.1 등)을 정하여 전체의 근로자에 대해 일괄적용할 수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 당해 근로자에게 있어서 불이익이 있어서는 절대 안됩니다. (이를 중간입사자의 연차휴가부여방법이라 하는데 이에관한 보다 자세한 해설은 홈페이지 ---> 노동법률상담--->상담사례코너에 소개된
    https://www.nodong.kr/403087 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3. 연차휴가기산일을 개별근로자의 입사일을 기준으로 하건, 회사가 자체적으로 정한 기산일로 하건, 연차휴가제도는 먼저 휴가를 부여하는 제도이고 부득이하게 휴가를 사용하지 못한것에 대해서 수당으로 보상하는 것은 사실상 후차적인 문제입니다. 따라서 당해 근로자(연차휴가 기산일을 입사일기준으로 하는 경우)가 만약 2002.9.3에 퇴직하였다면 2001.9.1~2002.8.31까지 근무한 것에 대해 2002.9.1~2003.8.31까지 21일 동안의 휴가를 사용할 권리가 있으나, 부득이하게 퇴직일 9.3까지 이를 사용하지 않았다면, 당해 근로자가 휴가를 사용할 수 있었던 날수(9월2일과 9월3일만 해당하고, 9월1일은 휴가를 사용할 수 없는 일요일이므로 제외)인 2일분에 대해서만 수당으로 보상이 가능합니다.

    관련 노동법 조항에 대한 검색은 https://www.nodong.kr/law 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주40시간근로 쟁취!>를 위한 저희 한국노총의 투쟁에 지지를 부탁드리며, 즐거운 하루되시길....
  • kcosmos 2014.01.16 10:51
List of Articles
» 임금 퇴사시 연차 수당 지급건 2
근로기준 까페에서 알바(최저임금법 위반 사업장입니다!) 1
여성 권고사직 당할 임산부 근로자입니다. 1
근로계약 교육비용 각서로 퇴직을 제한하는 경우 1
여성 출산휴가후 복직시 부당한 부서이동 어떻게하나요? 1
연봉제 연봉(계약시 담당자의 착오가 있었다 하여,연봉을 삭감?) 1
해고 등 회사에서 "나가는 쪽으로 방향을 잡으라"라고 했는데....해고인가요? 1
여성 산후 휴가시 급여(산전후휴가시 상여금의 처리 등) 1
여성 출산휴가를 나누어서 쓸 수 있는지...
근로기준 연소자(18세미만자)의 근로기준과 조건은 어떠하나요?
근로계약 동종업계로의 취업금지 계약서의 효력 (영업비밀의 보호)
임금 특별상여금이 임금인지 여부에 관한 검토
근로계약 근로자가 사직서 제출과 관련해 유의할 점
근로기준 근로자성 판단기준과 사례 (학원강사, 지입차주, 학습지교사 등)
임금 연장근로,야간근로,휴일근로에 따른 수당은 어떻게 계산합니까?
기타 실업급여를 지급받을 수 있는 이직사유는?
임금 예비군훈련 참가와 임금 지급 여부 (공의 직무시 임금지급 여부)
근로계약 단기 근로계약이 반복 갱신된 경우 계속근로년수의 산정은?
근로시간 근로시간의 제한 ( 장시간 근로 강요)
근로계약 일자리 소개비를 너무 많이 요구합니다
임금 각종 수당을 정액으로 정하여 임금에 포함시키는 경우 (포괄임금계약) 1
임금 회사의 강압에 의한 임금,상여금 반납의 효력
여성 임신했는데, 산전후휴가를 받을 수 있는지? (최근 개정내용)
근로계약 상시 5인이상 사업장 판단기준 file
근로계약 사용자가 근로계약을 일방적으로 어긴 경우는? 1
근로계약 위약금을 배상하라하고 의무재직을 강요하는 경우 1
근로기준 도급제근로자의 근로기준은 어디까지?
근로기준 회사 임원을 맡고 있는데, 근로자인지요? (임원의 근로자성 판단기준)
해고 등 해고와 해고수당은?
임금 회사의 강압으로 서명한 상여금(임금) 삭감, 반납은 무효 (동부생명 사건)
여성 남녀가 호봉적용을 달리하는 것이 타당한지
해고 등 근로자의 잘못을 이유로 한 해고의 정당성
기타 민사조정제도란 무엇인가요?
임금 하청업체 근로자의 임금을 원청회사에 청구할 수 있나?
해고 등 근로자의 의사와 상관없이 전직,전근명령을 할 수 있나 ?
근로시간 월급제 근로자도 연장 · 야간근로수당을 지급받을 수 있는지?
근로계약 사직서를 제출했으나 회사가 사직서를 수리해주지 않을 때 file
임금 통상임금이란? (정의와 계산법) file
여성 생리휴가에 대해 (임신중에 생리휴가 사용이 가능합니까?)
기타 소장 작성방법 (체불임금)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