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7.10

helpguy  님께서 남기신 상담글입니다.
 회사에서 연봉제에 대한 취업규칙을 만들어놓고
 근로조건이 취약해진 취업조건에 대해서 동의절차로서
 겉으로는 집단토의후 의견을 취합하는 것이라고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팀장을 통해 취업규칙 동의서라는 것을 만들어서
 연명하게 하고 있습니다.

노조는 제 목소리를 내긴 하는데 소수라서 어쩔수 없는 입장인듯 하고,
노사협의회는 회사에 입장에 거의 동조하고 협의해주었다고 합니다.

대한민국의 어느 회사에서도 동의서를 연명하게 하면 거기에 서명하지 않는
간이 배 밖으로 나온 직원들은 없다고 들었습니다.

동의서명을 하지 않으면 회사에 찍힌다고 거의 모든 직원들이 생각하고 있습니다.

취업규칙 동의서가 과반수가 넘어서 제도가 시행하게 될 것 같은데
 동의절차에 대한 무효를 주장하는 방법은 없겠는지요?

도와주십시오.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해설 '1'

  • 노동OK 2009.08.26 02:57
    안녕하세요. helpguy  님, 한국노총입니다.

    1. 취업규칙의 개정은 사용자가 임의로 할 수 없습니다. 근로기준법 제97조 제1항에 의하면 취업규칙의 내용이 근로자에게 불이익하게 변경될 경우에는 종전 취업규칙의 적용을 받고 있던 ""근로자들의 집단의사결정방식""에 의한 ""동의""를 얻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취업규칙의 작성 권한이 사용자에게 있게 됨으로 인해 당초의 계약 내용을 사용자가 일방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여지가 있기 때문에 그 전횡을 막아 근로조건을 보호하기 위한 취지입니다. 근로자의 집단적 동의를 얻지 못한 취업규칙의 효력은 무효입니다.

    2. 그렇다면 집단적 동의을 받는 절차와 효력이 문제되는데... 동의의 방법은 근로자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있는 경우에는 그 노동조합, 그와 같은 노동조합이 없는 경우에는 근로자들의 과반수의 동의가 있어야 합니다. 여기서 과반수의 동의방법은 특별히 정해져 있는 바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그 동의가 근로자들의 자발적인 의사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입니다. 단지 연봉제관련 취업규칙 개정안을 작성하여 근로자에게 개별적으로 회람케 하는 방식을 통해 서명하게 하거나 근로자 전체를 소집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취업규칙의 변경사항을 설명하고 동의서를 나누어 준 뒤 개별서명을 회수하여 합산하는 방식 등은 사용자가 은근히 동의를 하도록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으므로 그러한 동의방식은 무효입니다. 근로자의 주체적인 판단을 흐릴 수 있다고 보는 것이죠. 전체근로자가 일시에 한 자리에 지합하여 회의를 개최하는 방식이 원칙이지만, 사업 또는 사업장의 기구별 또는 단위 부서별로 사용자측의 개입이나 간섭이 배제된 상태에서 근로자간에 서로 의견을 교환하여 찬반을 집약한 후 이를 전체적으로 취합하는 방식도 허용됩니다.

    3. 집단적 동의방식을 거쳐 적법하게 변경된 취업규칙은 개별근로자가 반대하더라도 그 효력이 발생하게 되고, 동의받지 못한 취업규칙의 변경을 근로자가 개별적으로 동의하더라도 효력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4.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https://www.nodong.kr/ybong/403887 를 참조하기바랍니다.

    <주40시간근로 쟁취!>를 위한 저희 한국노총의 투쟁에 지지를 부탁드리며, 주5일제 온라인 서명운동에 참여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즐거운 하루되시길....
List of Articles
근로기준 계약직 텔레마케터에 대해서....(근로자성 인정여부) 1
임금 업무추진비 또는 판공비의 통상임금 포함여부 1
근로기준 학원강사의 근로자성 인정여부와 기준 1
근로계약 새로운 회사에 고용승계된 경우 임금 등 근로조건은 마음대로 변경할 수 있나요?
임금 통상임금(일급제 근로자의 통상임금 계산방법) 1
임금 고정적으로 지급되는 직책수당, 자격수당이 통상임금에 포함되나? 1
여성 출산휴가 90일중 일부만 사용한 경우,산전후휴가급여는? 1
근로계약 직장을 옮기고자 하는데 회사에서 방해를 하는군요... 1
임금 출퇴근보조비,차량유지비,유류대 임금 여부와 삭감 1
여성 산전후휴가와 관련 월차휴가 발생여부 1
여성 출산휴가중인데 사직서를 제출하라고 합니다. 1
기타 가압류(사무실의 임대료를 가압류하려하는데..) 1
해고 등 부당해고(1년을 15일 앞두고 "회사와 맞지않는다." 이유로 해고) 1
해고 등 부당해고(조합활동에 열성인 정규직 근로자를 계약기간 만료라고 해고를?) 1
근로시간 교육, 훈련 시간을 근로시간으로 볼 수 있나요? 1
기타 저좀 도(퇴직을 했는데, 자격증을 돌려주지 않습니다.) 1
여성 정규직과 계약직의 임신중 정기검진 휴가 부여의 차별 1
여성 산후1년미만자 (출산후여성에게 시간외근무수당을 하향지급하는 경우) 1
기타 실업급여 신청(회사가 폐업하고 사장 소재가 불분명한 경우) 1
근로계약 사업양도시 고용승계되는 근로자가 승계를 거부할 수 있는지요 1
연봉제 연봉총액에 포함된 퇴직금액이 법정퇴직금액보다 저액인 경우 1
근로계약 회사가 정규직계약을 계약직계약으로 변경하려 할때 1
해고 등 사장 기분에 의한 갑작스런 해고 (해고수당,퇴직금,실업급여) 1
근로기준 대기발령에 따른 임금저하와 퇴직금,연차수당 등 1
근로시간 휴일근로시간이 주당 연장근로시간에 포함여부 1
근로시간 지각한 근로자가 연장근로를 하는 경우, 연장근로수당이 지급됩니까? 1
연봉제 연봉제의 경우, 임금에서 퇴직금을 공제할 수 있나요? 1
근로기준 회사가 갑자기 무급휴가를 명령하였습니다. 1
임금 재직기간 미지불된 상여금을 청구할 수 있나? 1
기타 사업주 소재불명으로 노동부 조사가 지연되고 있습니다. 1
여성 산후1년미만 여성근로자의 연장,야간근로 제한 1
» 근로계약 취업규칙의 개정으로 연봉제를 도입하는 경우, 그 절차는? 1
근로계약 종교문제의 부당해고 성립여부 및 동종업계 이직금지 각서의 법적효력 1
근로기준 취업규칙을 불이익변경하는 경우, 노사협의회 근로자위원이 동의권이 있나요? 1
해고 등 학원강사의 갑작스러운 해고, 해고수당 받을 수 있나? 1
근로기준 파트타이머, 단시간근로자의 연장근로에 대한 가산임금은? 1
임금 3년이 지나도록 받지 못한 임금때문에.... 1
임금 부모님이 사망하셔서, 경조사로 인해 출근하지 못한 기간의 임금은?
여성 파견직 계약기간 만료시에 출산휴가에 들어가있다면 어떻게... 1
임금 매월지급되는 상여금의 통상임금 포함 여부 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