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성격려금·초과이익분배금은 임금인가?

법원 "SK하이닉스, 경영성과급은 평균임금에 해당 안돼" 판결 

2018년, 대법원은 한국감정원·한국공항공사의 경영평가성과급이 퇴직금액 산정에 기준이 되는 평균임금에 해당한다고 판결했다(한국감정원 2018다231536, 한국공항공사 2015두36157). 경영평가성과급이 계속적·정기적으로 지급되고 지급대상·지급조건 등이 확정돼 사용자에게 지급의무가 있다면, 이는 근로의 대가로 지급되는 임금인 만큼 평균임금이란 취지다.

당시 대법원 판결은 공공기관 사례인데, 민간기업에도 그대로 적용될지 여부가 산업현장의 중요 관심사였다.

그런데 최근 수원지법 여주지원은 SK하이닉스 퇴직근로자 2명이 제기한 임금청구소송에서, 경영평가성과급은 평균임금이 아니란 취지의 판결을 내려 주목된다(수원지법 여주지원 2020.1.21. 선고, 2019가단50590).

경영성과급 생산성격려금 초과이익분배금은 임금인가?


SK하이닉스 퇴직자 2명은 재직 당시 지급받았던 생산성격려금(PI)·초과이익분배금(PS)을 평균임금에 포함시켜 재산정한 퇴직금과 SK하이닉스가 이들에게 실제 지급한 퇴직금과의 차액 및 지연손해금을 청구하는 소송을 제기했지만 패소했다. 경영평가성과급 성격인 PI·PS가 퇴직금 산정의 기준이 되는 평균임금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게 기각사유다.

◇사실관계

피고인 SK하이닉스는 원고인 생산직 근로자 A와 월급제 근로계약을, 기술사무직 근로자 B와는 연봉제 근로계약을 체결하고 1999년경부터 경영성과급을 지급해왔다(2001, 2009년은 제외).

SK하이닉스는 매년 5~6월경 노동조합과 교섭을 통해 경영성과급 지급여부와 지급률, 지급 기준·한도·대상기간 등을 정했다. 경영성과급은 1999년과 2000년에는 그 명칭이 ‘성과급’으로, 2002~2005년에는 ‘인센티브’로, 2007년부터는 PI 및 PS로 변경됐다. 지급기준이나 한도, 지급률, 기타 지급조건 등도 연도마다 달랐다.

근로자 A는 퇴사 직전인 2015년 7월과 12월에 각각 PI로 268만원을, 2016년 2월에 PS로 2440만원을 받았다. 근로자 B는 퇴사직전인 2015년 7월과 12월에 각각 PI로 351만원을, 2016년 2월에 PS로 3198만원을 받았다.
 
◇쟁점

피고 SK하이닉스는 원고인 A, B를 포함 근로자들의 퇴직금을 산정할 때, PI·PS를 평균임금에서 제외했다. 따라서 이 사건의 쟁점은 PI 및 PS가 평균임금에 해당하는지 여부다.

◇관련법리

근로기준법 제2조 제5호는 ‘임금이란 사용자가 근로의 대가로 근로자에게 임금, 봉급, 그 밖에 어떠한 명칭으로든지 지급하는 일체의 금품’이라 정했다. 평균임금에 관한 대법원 판례(대법원 2001.10.23. 선고, 2001다53950 등)에 따르면, 퇴직금 산정의 기준임금이 되는 평균임금에는 “사용자가 근로의 대상으로 근로자에게 지급하는 일체의 금품으로서 근로자에게 계속적·정기적으로 지급되고, 그 지급에 관하여 단체협약 취업규칙 등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지급의무가 지워져 있으면, 그 명칭 여하를 불문하고 모두 포함”된다.

경영성과급 생산성격려금 초과이익분배금은 임금인가?


평균임금에는 노동관행에 의해 지급되는 금품 역시 포함된다. 평균임금에 관한 또 다른 대법원 판례(대법원 2002.5.31. 선고, 2000다18127)는 “지급의무의 발생근거가 단체협약이나 취업규칙 등 성문화된 것이 아니더라도, 그 금품의 지급이 사용자의 방침이나 관행에 따라 계속적으로 이루어져, 노사 간에 그 지급이 당연한 것으로 여겨질 정도의 관례가 형성된 경우라면, 그 지급 여부를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결정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만큼 근로의 대상성이 인정된다”고 판결했다.

어떤 금품이 근로의 대상으로 지급된 것이냐에 관해서는 1995년 대법원 판례(대법원 1995.5.12. 선고, 94다55934)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대법원은 당시 판결을 통해 “금품의 지급의무 발생이 근로 제공과 직접적으로 관련되거나, 그것과 밀접하게 관련된 것으로 볼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 따라서 지급의무의 발생이 개별 근로자의 특수하고 우연한 사정에 의해 좌우되는 경우에는 단체협약이나 취업규칙, 사용자의 방침에 의해 지급됐더라도 근로의 대상인 임금이 아니다.


공공기관 경영성과급은 평균임금인데, 민간은?
SK하이닉스 경영성과급, 상황 따라 지급되기에 ‘아니다’…논란 예상  

재판부는 SK하이닉스 퇴직근로자 2명이 제기한 임금청구소송에서, 다음의 이유를 들어 이 사건 경영성과급의 평균임금성을 부인했다.
 
◇재판부의 판단

▲경영성과급의 지급기준과 조건 등이 동종업계의 동향이나 전체 시장상황, SK하이닉스의 영업상황과 재무상태, 경영자의 경영판단 등과 같이 개별 근로자가 통제할 수 없는 불확정적, 외부적 요인에 의해 좌우되는 점 ▲SK하이닉스의 취업규칙이나 노조와 체결한 단체협약에 경영성과급의 지급기준이나 요건에 관해 아무런 정함이 없는 점 등을 들었다.

또 ▲SK하이닉스 노사합의안에 생산성격려금(PI)와 초과이익분배금(PS)을 포함한 경영성과급의 지급기준, 지급률 등이 정해져 있긴 하나 그때그때 SK하이닉스 영업상황, 재무상태 등에 의해 변동 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매년 5~6월경 노사가 경영성과급의 지급 여부, 지급기준 및 한도, 지급률, 대상기간 등을 새로 정해 온 점 ▲SK하이닉스와 노조가 지급 결의에도 실적 부진을 이유로 2007년, 2008년, 2013년 하반기에 PI를, 2007년, 2008년, 2011년, 2012년 PS가 전혀 지급되지 않은 점 ▲경영성과급의 지급한도 대비 실제 지급률이 약 7.5%~100%까지로 연도별 지급 편차가 매우 크고, 50%에 미치지 못하는 횟수도 4회에 이르는 점 등이다.

◇평가

경영성과급 생산성격려금 초과이익분배금의 임금여부에 대해 법원은 '경영실적 평가결과 따라 그 지급 여부나 지급률이 달라질 수 있다고 하더라도, 그러한 이유만으로 경영평가성과급이 근로의 대가로 지급된 것이 아니라고 볼 수 없다'고 판결했다


재판부의 판단은 경영성과급의 평균임금성을 긍정했던 한국공항공사 판결(2018. 12.13. 선고 2018다231536)과 한국감정원 판결(대법원 2018.10.12. 선고, 2015두36157)과 배치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 두 판결에서 대법원은 공기업이나 준정부기관이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 정한 경영실적 평가에 따라 직원들에게 지급하는 경영평가성과급에 대해 “경영실적 평가결과 따라 그 지급 여부나 지급률이 달라질 수 있다고 하더라도, 그러한 이유만으로 경영평가성과급이 근로의 대가로 지급된 것이 아니라고 볼 수 없다”고 판단했다.

다만, 한국공항공사와 한국감정원은 취업규칙(연봉규정)을 통해 경영성과급을 평균임금 산정에 포함시키고 있었고, 중도 퇴사자에게 실제 근무일수에 따라 일할 계산해 지급했다는 점에서 SK하이닉스와 차이가 있다. 공공기관의 경우 경영성과급이 지침에 의해 정해져 예산편성 등을 통해 지급이 예상된다는 점도 경영실적에 따라 지급여부가 불투명해 질 수 있는 민간기업의 상황과 다를 수 있다.

향후 경영성과급의 임금성을 두고 적지 않은 논란이 예상된다. 경영성과급으로 대표되는 이익배분제(profit sharing)는 기본적 보상 이외에 기업의 결산이익 일부를 종업원에게 부가적으로 지급하는 임금형태다. SK하이닉스, 삼성전자를 비롯해 많은 기업이 조직에 대한 종업원의 관심과 몰입수준을 높이고, 그들로 하여금 조직의 성과향상을 위해 적극 노력하도록 할 목적으로 경영성과급을 주요 보상체계로 활용한다. 이러한 배경을 무시한 채 기업의 경영환경에 따라 지급여부가 달라 질 수 있다는 이유만으로, 경영성과급이 근로의 대가가 아니라고 하면 근로자가 쉽게 납득할 수 있을까?

SK하이닉스의 경우 노사합의를 통해 PI와 PS를 포함한 경영성과급의 지급기준, 지급률 등등을 명확하게 규정했다. 회사의 경영상황을 고려, 노사합의를 통해 양보한 노동자들의 호의를, 오히려 임금성을 부인하는 근거로 해석했다는 점은 이 판결에서 특히나 아쉬운 대목이다.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1. 1년 기간제 계약…최대 연차휴가는 11일, 기존 11일+15일에서 15일은 안줘도 돼

    1년 기간제 계약…최대 연차휴가는 11일, 기존 11일+15일에서 15일은 안줘도 돼. (참고) 고용노동부는 2021.12.16. '1년간 80%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주어지는 15일의 연차휴가'에 관한 행정해석을 ...
    Date2021.12.17 댓글0 조회6092 file
    Read More
  2. “회사 대표가 회식 장소에서 여성 직원에게 헤드락을 한 것은 강제추행죄의 추행에 해당한다”

    “회사 대표가 회식 장소에서 여성 직원에게 헤드락을 한 것은 강제추행죄의 추행에 해당한다” (대법원 2020도7981, 선고일자 2020.12.24.) “회사 대표가 회식 장소에서 여성 직원에게 헤드락을 한 ...
    Date2021.05.11 댓글0 조회2121 file
    Read More
  3. 채용 절차에 있는 구직자도 '성폭력처벌법'상 ‘업무, 고용이나 그 밖의 관계로 자기의 보호, 감독을 받는 사람’에 해당한다

    채용 절차에 있는 구직자도 성폭력범죄의처벌등에관한특례법 제10조제1항의 ‘업무, 고용이나 그 밖의 관계로 자기의 보호, 감독을 받는 사람’에 해당한다 (대법 2020도5646 선고일자. 2020.7. 9) 성폭력...
    Date2020.11.30 댓글0 조회608 file
    Read More
  4. 생산성격려금·초과이익분배금은 임금인가?

    생산성격려금·초과이익분배금은 임금인가? 법원 "SK하이닉스, 경영성과급은 평균임금에 해당 안돼" 판결 2018년, 대법원은 한국감정원·한국공항공사의 경영평가성과급이 퇴직금액 산정에 기준이 되는 평균임금에 해당...
    Date2020.10.25 댓글0 조회1558 file
    Read More
  5. 복지포인트는 임금일까?

    '복지포인트는 통상임금은 물론 임금도 아니다' 대법 다수, ‘근로복지’ 개념 등을 근거로 복지포인트의 임금성 부정 복지포인트제는, 사용자가 근로자에게 복지포인트를 부여하면 정해진 사용처...
    Date2020.10.25 댓글0 조회7258 file
    Read More
  6. 임신중 유해요소 노출로 심장질환아 출산했다면 산재 해당

    임신중 유해요소 노출로 심장질환아 출산했다면 산재 해당 '태아 건상손상'을 이유로 산재 인정한 최초 판례 여성근로자가 임신 중 사업장의 유해인자로 인해 태아의 건강이 손상돼 선천성 심장질환을 가진 아이를 출...
    Date2020.10.15 댓글0 조회187 file
    Read More
  7. 임금피크제 도입…노조 동의해도 근로자 동의하지 않으면 적용 안돼

    개인 반대 노조 동의…취업규칙 불리한 변경은? 임금피크제 도입…노조 동의해도 근로자 동의하지 않으면 적용 안돼 “회사에서 임금피크제를 시행하려 합니다. 저는 동의할 수 없습니다. 그런데 노동조합이 동의했습니...
    Date2020.01.22 댓글0 조회2937 file
    Read More
  8. 기간제 근로계약 공백기간 전후의 근로관계가 계속되었다고 평가될 수 있는지 여부의 판단기준

    기간제 근로계약 사이에 공백기간의 의미 산업현장에서는 사업장 필요에 따라 반복적으로 근로계약을 갱신하며, 기간제근로자를 사용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Date2019.12.10 댓글0 조회3479 file
    Read More
  9. 공공부문의 무분별한 간접고용 행태 제동 걸다...대법원, 외주업체 톨게이트 요금수납원 사용자는 한국도로공사

    공공부문의 무분별한 간접고용 행태 제동 걸다 대법원, 외주업체 톨게이트 요금수납원 사용자는 한국도로공사 한국도로공사 외주업체 소속 고속도로 톨게이트 요금수납원들이 도로공사 직원이라는 대법원 판결이 나왔...
    Date2019.10.11 댓글0 조회1098 file
    Read More
  10. ‘근로자성’ 계약형식 보다, 근로 실질 제공 판단-MBC 프리랜서 아나운서의 ‘부당해고’가 주는 의미

    '근로자성' 계약 형식 보다, 근로 실질 제공 판단 MBC 프리랜서 아나운서의 ‘부당해고’가 주는 의미 최근 법원은 문화방송(MBC)이 계약직 아나운서에게 계약만료를 이유로 행한 계약종료 통보는 부당해고라고 판결했...
    Date2019.09.17 댓글0 조회1338 file
    Read More
  11. 헌법재판소로 간 최저임금 논란

    최저임금 결정과정과 인상률 적정성 놓고 공방 2년 연속 두 자릿수 인상률…헌법재판소로 간 최저임금 논란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3년, 지금도 여전히 최저임금 문제는 우리 사회의 뜨거운 화두다. 문재인 정부가 출...
    Date2019.08.20 댓글0 조회959 file
    Read More
  12. 극심한 스트레스로 인한 자살은 업무상 재해

    극심한 스트레스로 인한 자살은 업무상 재해다 업무와 재해 인과관계, 의학적·자연과학적 증명까지 요구하지 않아 현대사회에서 노동자는 증가하는 업무량과 경쟁·실적에 대한 중압감으로 많은 스트레스에 시달린다. ...
    Date2019.07.15 댓글0 조회1159 file
    Read More
  13. 회사 임직원 부당노동행위, 회사도 함께 처벌하는 양벌규정은 위헌

    회사 임직원 부당노동행위, 회사도 함께 처벌하는 양벌규정은 위헌 회사 지시받은 ‘직원’이 부당노동행위 하는데 헌재, 양벌규정 위헌 결정…노동계 “노사관계 현실 도외시한 결정” 사용자가 헌법이 보장한 노동자의 ...
    Date2019.06.14 댓글0 조회1436 file
    Read More
  14. ‘묻지마!’ 취업규칙 불이익 변경 더 이상 안된다

    ‘묻지마!’ 취업규칙 불이익 변경 더 이상 안된다 근로계약, 사규, 인사규정, 복무규율 변경…사용자 동의방식 고민필요 “현장에서 작업 중인데, 인사팀 관리자가 종이 쪼가리를 들고 오더니 ...
    Date2019.05.31 댓글0 조회2642 file
    Read More
  15. 근로계약서, 법, 사규, 단체협약이 서로 다를 때 우선순위는?

    근로계약서, 법, 사규, 단체협약이 서로 다를 때 우선순위는? ‘상위법 우선’ 원칙과 함께 근로자에게 ‘유리한 조건 우선’ 적용 사업주와 근로자가 근로관계를 유지하는 기간 내내 양 당사자...
    Date2019.05.30 댓글0 조회16684 file
    Read More
  16. 육아 때문에 휴일·교대 근무 거부해 해고…무효

    육아 때문에 휴일·교대 근무 거부해 해고…무효 “계약의무 거부, 해고 합리적” vs “두 아이 양육, 초번근무 어려워” 수습직원의 자녀 양육권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근무지시를 어겼다는 이유로 회사가 본채용을 거부...
    Date2019.05.01 댓글0 조회807 file
    Read More
  17. 통상임금 소송, 신의칙 위반 판단기준 엄격...지불여력 있으면 지급해야

    통상임금 재산정에 따라 추가 법정수당을 지급한다고 하여 사용자에게 중대한 경영상 어려움을 초래하거나 그 기업의 존립을 위태롭게 한다고 단정할 수 없다. 따라서 추가 법정수당청구가 신의칙에 위배된다고 볼 수...
    Date2019.04.01 댓글0 조회583 file
    Read More
  18. 출퇴근 빙판길 낙상사고는 산재!

    출근길 빙판길에서 미끄러진 사고는 출퇴근재해에 해당하고, 그 사고로 기존상병이 악화된 것은 업무상재해에 해당한다 (서울행정법원 2019.1.16. 선고, 2018구단61348) ‘출퇴근’은 업무수행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과...
    Date2019.03.10 댓글0 조회1838 file
    Read More
  19. 공정성이 결여된 채용절차의 위법성 그리고 사용자의 손해배상 의무

    채용절차가 객관성과 공정성이 심각하게 훼손되어 재량권을 일탈·남용한 것으로 위법하고, 채용절차에 관여한 면접위원 등의 사용자로서 정신적 고통에 대한 위자료를 지급할 의무가 있다 (서울남부지법 2018.10.11....
    Date2018.12.08 댓글0 조회1385 file
    Read More
  20. 직원들이 수염을 기르는 것을 금지하는 것은 행동자유권을 침해한다.

    근무복장 및 용모규정등 취업규칙을 통해 소속 직원들이 수염을 기르는 것을 전면 금지하는 것은 근로자의 일반적 행동자유권을 침해한다. (대법원 2018.09. 선고, 2017두38560) 캐나다의 한 골프장에서 웨이트리스로...
    Date2018.11.08 댓글0 조회1658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