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
연차수당 계산
은
여기
로 이동했습니다. 이곳에서는
연차수당을 제외
한 나머지
통상임금(연장ㆍ야간ㆍ휴일근로수당,해고수당,휴업수당,퇴직금,출산휴가급여 등)
을 계산합니다.
1주 근무시간
(필수)
40
시간 (주 5일)
44
시간 (주5일+토4시간)
48
시간 (주5일+토8시간)
시간
(직접입력)
급여액
(필수)
기본급(월)
원
월 고정수당 합계
원
*
고정수당
예시
연간 상여금 합계
원
*
상여금
예시
야간근로 시간
(필요시)
시간
연장근로 시간
(필요시)
시간
휴일근로 시간
(필요시)
8시간 이내
시간 + 8시간 초과
시간
입력방법 보기
*
휴일근로 1일당, 8시간 이내 시간과 8시간 초과 시간을 구분하세요.
*
예시) 1차 휴일근로가
8
시간, 2차 휴일근로가
10
(
8
+
2
)시간인 경우 → <8시간 이내 :
16
시간>, <8시간 초과 :
2
시간>으로 각각 입력.
닫기X
재직기간
(필요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년
0
1
2
3
4
5
6
7
8
9
10
11
개월
휴업일 수
(필요시)
일
미사용 연차휴가 수
(필요시)
일
계산하기
초기화
월 고정수당 입력
월 고정수당 1
원
월 고정수당 2
원
월 고정수당 3
원
월 고정수당 4
원
확인
닫기 X
1년간의 상여금성 금품 입력
연 정기 상여금
원
최소금액 보장성과급
원
퇴직자에게도 지급되는 명절 또는 휴가비
원
기타 통상임금 포함되는 상여성 금품
원
확인
닫기 X
11
입력하신 내용
1주 근로시간
40
시간
월 기본급
9,000
원
월 고정수당
300,000
원
연간 상여금
400,000
원
야간근로 시간
7
시간
연장근로 시간
7
시간
휴일 근로시간
7
시간
재직일 수
7
일
휴업일 수
7
일
휴가 미사용일 수
7
일
세부계산 결과
월 기본급 + 고정수당
9,000
원
상여성 금품의 통상임금 반영액
300,000
원
통상임금 산정을 위한 월 소정근로시간
209
시간
최종계산 결과
결과 인쇄
초기화
통상임금이란
(정의·계산법·수당)
자세한 내용 보기
통상임금에
포함되는
상여금
1. 정기상여금
2. 개인실적 평가를 통해 최소한도가 보장된 성과급
3. 퇴직자에게도 지급되는 명절비·휴가비
통상임금에
미포함되는
상여금
1. 회사경영 실적에 따른 성과급
2. 개인실적 평가에 따라 지급 여부·금액이 정해진 상여금
3. 재직자에게만 지급되는 명절비·휴가비
자세한 내용 보기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2013) 기준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통상임금 BEST Q&A
더보기
•
통상임금
이란? (정의와 계산법)
471681
•
변경된
통상임금
계산법
57591
•
상여금이
통상임금
에 포함되지 않기 위한 상여금 규정변경
51884
•
퇴직금
통상임금
산정 문의드립니다.
39699
•
고정적으로 지급되는 직책수당, 자격수당이
통상임금
에 포함되나?
39340
•
통상임금
에 포함되는 수당은?
37222
•
고정적으로 지급되는 시간외수당(고정OT수당)이
통상임금
에 포함되는지요?
31233
•
연봉제의 경우
통상임금
계산 (포괄임금계약에서
통상임금
역산)
30000
•
단시간근로자(아르바이트)와 통상근로자의
통상임금
산정방법
28479
•
일급제 근로자의
통상임금
계산방법
26487
•
통상임금
및 통상시급 계산, 연장근로수당 계산시 원단위 절사 시기 등 문의
26164
•
근속수당의
통상임금
포함 여부(
통상임금
의 정의에서 '일률적'이라는 의미)
25480
•
식대와 차량유지비의
통상임금
에의 포함여부
24371
•
[내용추가완료]
통상임금
에 식대포함 여부와 연장 야간 및 휴일 근무 수당 관련
23187
•
근로기준법상
통상임금
의 산정기준 및 시간외 근무수당의 산정기준에 대하여 알려...
22476
통상임금이
사용
되는 용도
시간당 통상임금
연장근로수당, 야간근로수당, 휴일근로수당 계산시
1일 통상임금
연차수당, 퇴직금, 출산휴가급여, 육아휴직급여, 해고예고수당, 휴업수당 계산시
노동부 행정해석
더보기
•
격일제 근무자의 임금이 포괄임금제로 책정된 경우에 있어서의 시간급
통상임금
산...
•
최저임금 차액을 보전하기 위한 목적의 보존수당
통상임금
에 해당하는지 여부
•
식대・자격수당・차량보조수당・출납수당・직책수당・가족수당・통신비・자가운행보조비의...
•
야간근로수당의
통상임금
해당 여부 및 감단직 근로자에 대한 야간근로수당 여부
•
가족수당,근속수당,보건수당,대기수당,명절상여금,정기상여금,휴가비의
통상임금
...
•
성과등급마다 지급율을 달리하는 성과연봉(변동성과급, 고정성과급)이
통상임금
에 ...
•
해고예고 기간 30일의 계산시점과 30일 예고기간 부족시 지급하는
통상임금
의 수준
•
기간제근로자의 퇴직금은
통상임금
으로 계산하는지
•
매월 고정적으로 지급되는 야간근로 가산수당의
통상임금
여부
•
급식보조비・저임금보전수당・ 상여금의
통상임금
해당 여부
•
매월 분할지급(연350%를 12분할하여 매월 지급)되는 상여금의
통상임금
해당여부
•
개인휴직으로 근무일수가 적어 평균임금이
통상임금
보다 작은 경우 퇴직금 산정방법
•
일정 근무일수가 충족되는 근로자에게만 지급되는 능률수당, 직급(개별)상여가 통...
•
DB형→DC형 전환 시 과거근로기간에 부담금 산정시
통상임금
이 큰 경우 부담금 기준
•
잔여 근로계약기간이 30일에 미치지 못한다 하여 해고예고수당은 30일분의 통상임...
•
출산전 근로시간 단축이 있던 경우, 출산전・후휴가 급여산정의 기준이 되는
통상임금
•
근무지이전에 따른 보조비가
통상임금
에 해당하는지 여부
•
전년도 근무실적에 따라 다음 연도에 지급 여부・지급액이 확정되는 평가차등 경영...
통상임금 정의・계산법
통상임금 지침(노동부)
통상임금 매뉴얼
통상임금 대법원 판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