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일ㆍ휴가ㆍ휴업 관련 노동부 행정해석 모음


2011.01.04

kdong4319 님께서 남기신 상담글입니다.
수소하십니다.
징계 정직3개월후 연월차휴가의 사용여부와 관련근거및 판례등을 자세히 알고싶습니다.
바쁘신줄 알지만 빠른답변 부탁드립니다..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해설 '1'

  • 노동OK 2009.08.26 16:12
    안녕하세요 kdong4319 님, 한국노총입니다.

    아래 노동부 행정해석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연차 유급 휴가 부여 기준 ‘소정 근로일 수 및 출근 여부’ 판단시 정직 기간 등 관련 행정 해석 변경

    ( 2009.09.01, 근로기준과-3296 )

     

    연차 유급 휴가를 부여하는 기준인 소정 근로일 수 및 출근 여부 판단시 정직 기간에 대한 행정 해석을 다음과 같이 변경하니 업무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다 음-

    가. 종전 행정 해석
    근로자가 근로를 제공할 수 있음에도 사용자의 징계권의 행사로 이루어진 「정직」 또는 「강제 휴직」 기간은 소정 근로일 수 및 출근 여부 판단 기준에서 (2)특별한 사유로 근로제공 의무가 정지되는 날 또는 기간의 ④기타 이상의 기간에 준하여 해석할 수 있는 기간으로 볼 수 있음<근기 68207-402, 2002.1.29.>.
    ※ 같은 취지 행정 해석 : 근기 68207-722, 2005.2.7., 근로기준팀-4, 2005.9.9.

     

    나. 변경 후 해석
    사용자가 징계권의 정당한 행사로 이루어진 「정직」 또는 「강제 휴직」 기간은 ‘연차 유급 휴가 등의 부여시 소정 근로일 수 및 출근 여부 판단 기준’에서(임금근로시간정책팀-3228, 2007.10.25.)에서 (2)특별한 사유로 근로제공의무가 정지 되는 날 또는 기간의 ④기타 이상의 기간에 준하여 해석할 수 있는 기간으로 볼 수 없음.
    즉, 사용자의 귀책 사유로 인한 휴업 기간과 적법한 쟁의행위 기간, 육아휴직 기간은 사용자의 귀책 사유가 있거나 근로자의 정당한 권리행사 등 특별한 사유가 있는데 반해, 사용자가 정당한 사유로 징계한 정직 기간은 그에 준하는 특별한 사유로 보기 어려우므로 연차 유급 휴가를 산정하기 위한 소정 근로일 수 및 출근 여부를 판단할 때 근로자의 귀책 사유로 인한 징계 기간은 소정 근로일 수에 포함하여 결근 처리하고, 이를 다투어 확정된 부당 징계 기간에 한하여 소정 근로일 수에서 제외하고 나머지 기간에 비례하여 연차 유급 휴가를 부여하는 것이 타당함.

     

    다. 변경 이유
    ‘붙임’「연차 유급 휴가 부여 기준 ‘소정 근로일 수 및 출근 여부’ 판단시 정직 기간에 대한 해석 기준 변경」 참조

     

    라. 행정 사항
    이 행정 해석과 배치되는 종전의 해석은 모두 폐지하고 이 해석에 따름(근로기준과-3296 , 2009.9.1.).

     

     

     

     

    <붙임>

    연차 유급 휴가 부여 기준 ‘소정 근로일 수 및 출근 여부’ 판단시 정직 기간에 대한 해석 기준 변경 (근로기준과, 2009.8.28.)

     

    I. 개요

    연차 유급 휴가를 부여하는 기준으로 ‘소정 근로일을 8할 이상 출근할 경우(근로기준법 제60조 제1항)’를 두고 있는데, 소정 근로일 및 출근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기존 행정 해석은 정직 기간은 소정 근로일 수에서 제외하고 나머지 소정 근로일 수에 대한 출근율에 따라 비례적으로 휴가를 부여토록 하였으나, 최근 대법원에서 이와 다른 입장(대판 2008다41666, 2008.10.9.)을 보임에 따라 이에 대한 검토 결과, 기존 행정 해석 변경

     

    Ⅱ. 관련 법령 및 해석

     

    1. 법령
    ○ 근로기준법 제60조 제1항
    사용자는 1년간 8할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 휴가를 주어야 한다.

     

    2. 판례
    ○ 대법원 2008.10.9., 2008다41666
    연차 유급 휴가는 근로자에게 일정 기간 근로 의무를 면제함으로써 정신적·육체적 휴양의 기회를 제공하고 문화적 생활의 향상을 기하려는 데에 그 의의가 있음(대판 1996.6.11., 95누6649 참조).
    정직 등의 징계를 받은 근로자는 징계 기간 중 근로자의 신분을 보유하면서도 근로 의무가 면제되므로, 사용자는 취업규칙에서 근로자의 정직 기간을 소정 근로일 수에 포함시키되, 그 기간 중 근로 의무가 면제되었다는 점을 참작하여 연차 유급 휴가 부여에 필요한 출근일수에는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규정할 수 있어, 연차 유급 휴가 기간을 산정함에 있어 정직 기간을 소정 근로일 수에 포함시키되 출근일 수에서 제외하는 것은 법에 정한 기준보다 불리하게 규정한 것으로 볼 수 없음.

     

    3. 행정 해석
    ○ 근기 68207-402, 2002.1.29.
    근로자가 근로를 제공할 수 있음에도 사용자의 징계권의 행사로 이루어진 「정직」 또는 「강제 휴직」 기간은 소정 근로일 수 및 출근 여부 판단 기준에서 (2)특별한 사유로 근로제공 의무가 정지되는 날 또는 기간의 ④기타 이상의 기간에 준하여 해석할 수 있는 기간으로 볼 수 있음.
    ※ 같은 취지 행정해석 : 근기 68207-722, 2005.2.7. ; 근로기준팀-4, 2005.9.9. 등 다수

     

    ●연차 유급 휴가 등의 부여시 소정 근로일 수 및 출근 여부 판단 기준(임금근로시간정책팀-3228, 2007.10.25.)
    (1) 법령 또는 약정에 의한 휴일 : 소정 근로일 수 계산에서 제외
         -주휴일, 근로자의 날, 약정 휴일 등
    (2) 특별한 사유로 근로 제공 의무가 정지되는 날 또는 기간 : 소정 근로일 수 계산에서 제외하고 나머지 출근율에 따라 비례
        ① 사용자의 귀책 사유로 인한 휴업 기간
        ② 적법한 쟁의행위 기간
        ③ 남녀고용평등법에 의한 육아휴직 기간
        ④ 기타 이상의 기간에 준하여 해석할 수 있는 날 또는 기간
    (3) 법령상 또는 그 성질상 출근한 것으로 보아야 하는 날 또는 기간 : 소정 근로일 수 계산에는 포함하되 출근한 것으로 봄
        -업무상 재해로 인한 휴업 기간, 산전후 휴가, 예비군 훈련 기간, 민방위 훈련 또는 동원 기간, 공민권 행사를 위한 휴무일, 연·월차 유급 휴가, 생리 휴가 등

     

    Ⅲ. 행정해석 변경 검토

     

    1. 변경 내용

    01_0278.jpg


    2. 검토 의견
    대법원 판례는 취업규칙에서 근로자의 정직, 직위 해제 기간을 소정 근로일 수에 포함시키되 그 기간 중 근로 의무가 면제되었다는 점을 참작하여 연차 유급 휴가 부여에 필요한 출근일 수에서 제외하는 것으로 규정할 수 있다고 보는 반면, 행정 해석은 사용자의 징계권의 행사로 이루어진 정직 또는 강제 휴직 기간은 당초 근로하기로 정하였지만 특별한 사유로 근로 제공 의무가 정지된 날로서 소정 근로일 수에서 제외하여야 한다고 보고 있음.
    그러나 대법원의 입장과 같이 징계를 받은 근로자는 자신의 귀책 사유와 무관하게 사용자의 징계로 인하여 근로를 제공하지 못한 것이라고 볼 수 없는 점, 우리 부 관련 지침(연차 유급 휴가의 소정 근로일 수 및 출근 여부 판단 기준)에서 소정 근로일 수에서 제외하고 나머지 기간에 비례하고 있는 ‘휴 업기간과 적법한 쟁의행위 기간, 육아휴직 기간’은 사용자의 귀책 사유가 있거나 근로자의 정당한 권리 행사 등 특별한 사유가 있는데 반해, 사용자가 정당한 사유로 징계한 정직 기간은 그에 준하는 특별한 사유로 보기 어려우므로 동일한 성격의 기간으로 보기가 곤란한 점,「국가공무원 복무규정」에서도 정직 기간 및 직위 해지 기간은 연가일 수에서 공제하고 있는 점(제17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연차 유급 휴가를 산정하기 위한 소정 근로일 수 및 출근 여부에 대한 판단은 대법원 판례의 입장과 같이 근로자의 귀책 사유로 인한 징계 기간은 소정 근로일 수에 포함하여 결근 처리하고, 이를 다투어 확정된 부당 징계 기간에 한하여 소정 근로일 수에서 제외하고 나머지 기간에 비례하여 연차 유급 휴가를 부여하는 것이 타당함.

     

    Ⅳ. 행정사항

    기존의 행정 해석 중 이 지침과 배치되는 행정 해석은 이 지침 시행과 동시에 폐지함.


     <주40시간근로 쟁취!>를 위한 저희 한국노총의 투쟁에 지지를 부탁드리며, <주5일제 온라인 서명운동>에 참여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즐거운 하루되시길....

List of Articles
연차휴가 만 1년(365일) 근무 후 퇴직시 연차휴가 발생 여부 2022.01.09
연차휴가 1년 미만 재직 노동자, 1년간 80% 미만 출근자 연차휴가 촉진 신설 2020.08.27
휴일 2020년부터 법정휴일이 되는 날 file 2019.11.22
연차휴가 연차휴가를 회계연도 기준 부여 방법 file 2019.01.16
연차휴가 입사 이후 2년간 연차휴가는 최대 26일로 확대 (2018년 법개정) 2019.01.16
연차휴가 육아휴직기간도 연차휴가 부여시 출근한 것으로 간주 (2018년 법개정) 2019.01.16
휴일 근로자의 날 임금 계산 및 대체휴무 적용 여부 1 2014.04.29
연차휴가 입사 1년 미만자 퇴직시 연차수당 지급여부 1 2013.01.16
연차휴가 연차휴가 보상 분기별 제한(연차휴가 사용촉진제도) 1 2012.06.27
기타휴가 애경사휴가기간중에 휴일이 있는 경우 휴가종료일은? 2 file 2011.09.03
휴업 정전으로 인하여 근무를 못한 경우 급여를 지급해야 합니까? 1 2011.08.31
연차휴가 단시간 근로자의 연차휴가 수당이 궁금합니다 1 2010.12.28
연차휴가 연차수당은 언제 지급되어야 합니까? 2011.06.26
연차휴가 해외근무기간, 해외연수기간이 있는 경우 연차휴가 발생 여부와 산정방법 1 2011.05.20
연차휴가 회사가 연차휴가를 강제 사용하라며, 미사용시에는 연차수당을 지급하지 않겠다고 합니다. 1 file 2010.09.30
휴업 회사사정으로 휴무,휴업했을시에도 주휴일을 유급처리 해야 하나요? 2010.10.01
연차휴가 퇴직하는 해의 1년미만의 기간에 대해서는 연차휴가(연차수당)을 받을 수 있나요? 1 2010.09.10
연차휴가 연차휴가를 양도하여 직원들간의 휴가나누기가 가능한지요? 1 2010.09.08
연차휴가 연차휴가를 근로일에 사용토록 하는 개별적 합의가 유효한지요? 1 file 2010.08.07
연차휴가 단체협약과 근로기준법에서 정한 연차휴가 기준이 각각 다르다면? 1 2010.07.26
기타휴가 여름휴가, 하계휴가를 연차휴가로 사용할 수 있나요? (여름휴가와 관련된 쟁점) 1 2007.05.07
휴일 주2일 근무하는 근로자에게도 유급휴일을 부여해야 하나요? 1 2010.05.26
휴직 병가휴직기간중에도 유급휴일이 부여되는지요? 1 2010.05.19
연차휴가 회계기준일로 산정한 연차휴가가 입사일 기준으로 산정한 연차휴가보다 많은 경우 1 2010.03.02
휴직 무급 휴직명령의 정당성 2010.01.30
연차휴가 연차휴가를 앞당겨 사용할 수 있나요? (연차휴가의 가불사용) 1 2007.05.10
기타휴가 생리휴가는 어떻게? (유급 → 무급으로) 2004.06.10
기타휴가 연장근로수당, 휴일근로수당 대신 휴가를... (선택적 보상휴가제도) 2004.06.10
휴일 감시 단속적근로자가 근로자의날에 근무한 경우, 휴일근로수당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까? 1 2009.04.15
휴일 주중 결근자가 주휴일에 근무한 경우, 휴일근로수당이 발생하나요? 1 2009.03.05
휴업 회사가 어렵다고 휴업을 하였습니다 (휴업수당) 2008.12.13
휴일 개근하였지만 퇴직하는 경우에도 주휴수당을 지급해야 하는지요? 1 2008.12.01
연차휴가 연차휴가 사용촉진조치 이후에 휴직, 징계로 연차휴가를 사용하지 못하면 연차수당은? 1 2008.11.24
연차휴가 해외 파견근무중인 근로자의 연차휴가 부여를 위한 출근율 산정방법 1 2008.09.25
연차휴가 주40시간제에서 1년 근무후 퇴직하는 경우, 연차수당을 지급해야 하나요? 1 2008.06.17
연차휴가 육아휴직이 있는 경우 연차휴가일수의 계산방법 1 2008.01.19
휴일 각종 선거일의 휴일여부 및 유급,무급 여부 1 2007.12.17
연차휴가 출산휴가,육아휴직이 있는 경우 연차휴가일수는? (출근율 처리방법) 1 2007.09.23
기타휴가 월중 입사자에게도 월차휴가를 부여해야 하는지 (매월1일부터 말일까지 출근율 관리하는 경우) 1 2007.07.24
휴직 개인질병으로 급히 입원했더라도,사후에 결근 또는 휴직승인을 받아야 하는지요? 1 2007.05.10
휴일 해외출장 중 휴일근무를 하게 되더라도 휴일근로수당을 받을 수 있나요? 1 2007.05.11
연차휴가 육아휴직기간이 있는 경우 연차계산과 소숫점 미만의 연차휴가에 대한 처리방법 1 2007.04.06
휴일 주중 결근자가 설날(유급휴일)과 일요일(주휴일)인 경우의 임금계산 방법(휴일의 중복) 1 2007.02.26
연차휴가 정직기간이 있는 경우 연차휴가 부여를 위한 출근율을 어떻게 계산합니까? (정직기간이 있는 경우 연차휴가일수 산정방법) 1 2006.08.09
연차휴가 24시간 격일제 근무자가 근무일에 휴가를 사용하면 며칠 휴가사용으로 인정되나요? 1 2006.07.23
연차휴가 군복무기간에 대한 연차휴가 처리는 어떻게 합니까? 1 2006.04.03
연차휴가 연차휴가의 사용 소멸시효는 언제인가요? 1 2006.04.01
연차휴가 연차휴가 사용촉진제도를 일부 근로자에 대해서만 실시할 수 있는지요? 1 2005.12.29
휴일 휴일의 다른 근무일로 대체하는 경우 근로자의 동의가 없어도 되는지요? 1 2005.12.13
기타휴가 무급휴무일(토요일)과 유급휴가가 중복되는 경우 1 2005.12.11
기타휴가 선택적 보상휴가제를 실시하는 경우, 휴가를 사용하지 못하면... 1 2005.08.20
연차휴가 퇴직과 동시에 발생하는 연차휴가와 수당 (최근 대법원 판례) 1 2005.07.31
휴업 휴업시 주휴일의 발생여부 (경영상 휴업시 일요일 주휴수당 지급여부) 1 2005.07.21
기타휴가 경조휴가를 그때에 사용하지 않으면 소멸되는지요? (경조휴가의 사용기한) 1 2005.06.13
연차휴가 용역업체, 파견업체 근로자의 연차휴가는 누가 부여해야 하나요? 1 2005.03.08
연차휴가 작업량이 없는 날을 회사가 일방적으로 연월차휴가로 갈음할 수 있나요? 1 2005.03.04
휴일 평일에 쉬고 휴일에 근무하는 '휴일 사전대체'는 인정되는가? 1 2005.02.22
연차휴가 연차휴가청구권의 소멸 시기 (연차휴가사용 촉진제도의 적용) 1 2005.02.10
연차휴가 노조 전임자에 대한 연월차휴가 적용여부 1 2004.11.23
연차휴가 토요일에 연차휴가를 사용하면 반차가 되나요? (연차휴가의 반차사용) 2004.11.22
연차휴가 산재기간과 출산휴가 기간 동안의 월차발생에 대한 질의 1 2004.08.02
기타휴가 생리휴가 무급화 문제 2004.04.20
연차휴가 연차수당 산정을 위한 통상임금은 어느시기의 임금을 기준으로 하는지? 1 2004.03.17
연차휴가 소정근로일수가 현저히 적은 사람도 연차휴가를 지급해야 하나요? 1 2004.02.10
연차휴가 육아휴직자의 년차계산 (출산휴가+육아휴직자의 출근율 산정예시) 1 2004.01.09
휴직 최대 휴직기간의 범위? (개인사정으로 인한 사고의 경우 병가기간) 1 2003.09.02
연차휴가 연차휴가근로수당은 어느싯점의 임금으로 계산하나요? 1 2003.08.21
» 연차휴가 징계기간에 대한 연차휴가를 위한 출근율 산정 방법 1 2003.08.20
연차휴가 퇴직직전에 연차휴가를 사용하는 것이 정당한지요? 1 2003.07.30
연차휴가 산재요양기간중의 연월차 휴가 발생여부 1 2003.07.26
연차휴가 법이하의 조건을 정한 연차휴가의 효력은? 1 2003.07.10
휴일 주중입사자의 주휴일, 월중입사자의 월차휴가 부여기준 1 2003.06.09
휴일 1주 44시간(40시간)을 일해야만 주휴일과 주차수당이 발생한다는데... 1 2003.04.21
연차휴가 연,월차수당 포함 근로계약 (연월차수당을 임금에 포함시킬 수 있나?) 1 2003.03.27
연차휴가 1일 4시간 휴가사용이 가능한지요? (반차휴가) 1 2003.03.10
연차휴가 회사가 연차휴가의 사용을 인정하지 않는데, 무단결근인지요? 1 2003.02.03
연차휴가 퇴직과 동시에 발생한 연차휴가와 연차수당의 처리 1 2003.01.22
연차휴가 연차수당이 통상임금의 1.5배로 정한 경우 1 2002.12.23
휴직 개인질병에 따른 병가기간의 처리 1 2002.11.27
연차휴가 연차수당의 상한은 최고 25일로 제한되나요? (연차휴가의 상한선) 1 2002.11.27
연차휴가 연차휴가를 전부를 사용하도록 회사가 강제한다면? 1 2002.11.26
휴직 회사가 개인질병,부상에 따른 병가를 허락하지 않는데..... 2002.08.28
연차휴가 월중입사자의 월차휴가와 주휴일 부여 기준 1 2003.07.30
연차휴가 연차휴가 사용을 권장하면 연차수당을 지급하지 않아도 되는지? 2 2002.11.15
휴업 무급휴가 · 무급휴업이 가능합니까? 2001.02.25
연차휴가 출근율 산정을 위한 기준은? (연차휴가, 주휴일 관련) 2000.12.15
휴일 국경일 기타 공휴일은 유급인가요? 무급인가요? file 2000.08.01
연차휴가 연차휴가와 휴가수당 반납, 포기 동의서의 효력은... 1 2000.07.21
연차휴가 중간입사자의 연차휴가일수 산정 방법 (회계일 연차휴가 계산) 2000.07.03
연차휴가 연차휴가는 회사가 맘대로 근무일에 사용토록 할 수 있는지? 1 2000.06.07
휴일 법정공휴일의 휴일여부는? file 1999.10.18
연차휴가 연차휴가는 어떻게 사용하나요? (연차휴가의 청구) 1 1999.10.11
연차휴가 연차휴가제도와 연차수당 1 1999.10.1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