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04.01 18:47

안녕하세요 장성만 님, 한국노총입니다.

1. 자동차사고의 책임은 일차적으로 운전자에게 있습니다. 비록 그것이 업무수행도중이라고 하더라도 운전사고와 관련한 책임은 일적적으로 운전자에 있습니다. 물론 회사의 과실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 과실의 책임을 서로 비교헤봤을 때, 회사측의 과실보다는 운전자인 근로자측의 과실이 더욱 많이 인정되고 있습니다.더구나 귀하의 경우, 업무수행성과 거리가 먼 출근중에 일어난 사고 있므로, 회사의 과실은 더욱 축소될 것입니다.

2. 그러나 회사에 끼친 손해의 과실이 근로자에게 있다고 하더라도 근로자의 동의없이 근로자의 임금에서 그 손해액을 일방공제하는 것은 근로기준법 제42조 위반입니다. 이와 관련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 노동OK 20번 사례 【업무상 발생한 손해금은 배상해야 하나?】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3. 다만, 회사의 과실을 입증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어떠한 식으로든 귀하의 과실분에 대한 부담은 커질 것이고, 비록 위에 소개한 사례와 같이 회사측의 행동이 불법적인 요소가 있더라도 회사측과 합의가 필요한 이상, 회사와 일정하게 협의하여 합리적인 선에서 타협을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주40시간근로 쟁취!>를 위한 저희 한국노총의 투쟁에 지지를 부탁드리며, 즐거운 하루되시길....





장성만 wrote:
> 2개월전 출근중 회사차로 접촉 사고를 냈습니다 .
> 그런대 회사에서는 그사고 비용이 일백오십만원이 드러 갔으니
> 임금을 줄수가 업다고 합니다 .
> 그래서 현재 2개월째 급여를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
> 제가 사고 비용을 부담해야 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
>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Re: 번안동의 2002.04.06 3033
체불임금과 개인대여금 합산청구 가능한지요? 2002.04.05 1237
Re: 체불임금과 개인대여금 합산청구 가능한지요? 2002.04.06 837
다시 한번 부탁을 드립니다.포기해야하는지.. 2002.04.05 494
Re: 다시 한번 부탁을 드립니다.포기해야하는지.. 2002.04.06 394
이런경우에도 실업급여를?? 2002.04.05 424
Re: 이런경우에도 실업급여를?? 2002.04.06 367
일한곳에서 돈을 주지 않습니다... 2002.04.05 533
Re: 일한곳에서(시급 2,000원을 정한 약정은 최저임금법위반) 2002.04.06 905
퇴직금 에 관하여 2002.04.05 422
Re: 퇴직금 에 관하여 2002.04.06 367
임금체불에 관한건데요.. 2002.04.04 356
Re: 임금체불에 관한건데요.. 2002.04.04 430
부당해고에 해당되는지 알고싶습니다. 2002.04.04 406
Re: 부당해고에 해당되는지 알고싶습니다. 2002.04.04 919
평균 11인 이상근무..고용보험 적용 레스토랑에서...해고후 연 ... 2002.04.04 681
Re: 평균 11인 이상근무..고용보험 적용 레스토랑에서...해고후 ... 2002.04.04 424
실업급여 수급 대상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2002.04.04 363
Re: 실업급여 수급 대상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2002.04.04 491
연봉제 급여지급 2002.04.04 540
Board Pagination Prev 1 ... 5101 5102 5103 5104 5105 5106 5107 5108 5109 5110 ... 5862 Next
/ 58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