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용의제 |
경비원은 2년이상 근무해도 정규직이 못돼나요? (기간제 경비원 정규직 전환)
1
|
|
고용의제 |
기간제 2년이상 계속근무하더라도 무기계약직의 권리를 주장하지 않겠다고 약속하였다면...
1
|
|
고용의제 |
단기간 고용단절기간을 설정하고 공개채용 절차를 거친다면?
1
|
|
법적용 |
비정규직 근로자와 비정규직 보호법이란? (정의, 적용범위)
|
|
법적용 |
적용시기와 사업장의 적용규모의 기준은?
|
|
법적용 |
비정규직(기간제,단시간근로자)보호의 개요
|
|
서면명시 |
비정규직에 대한 근로조건 서면명시 의무화
|
|
차별금지 |
비정규직의 차별과 차별금지
|
|
차별금지 |
차별 비교대상 및 차별금지 내용
|
|
차별금지 |
차별처우에 대한 시정명령 신청
|
|
차별금지 |
시정명령의 확정과 시정명령 불이행에 대한 과태료
|
|
고용의제 |
기간제, 계약직 근로자의 2년이상 고용시 상용직화
|
|
고용의제 |
기간제 근로자의 2년이상 사용제한과 고용의제 (무기계약직 근로자)
|
|
고용의제 |
기간제 근로자의 2년이상 사용제한의 예외 (특례 계약직 근로자)
|
|
단시간근로자 |
단시간 근로자와 근로조건의 기준
|
|
단시간근로자 |
단시간근로자의 연장근로 제한
|
|
단시간근로자 |
단시간근로자에서 통상근로자로의 전환 노력 등
|
|
파견근로자 |
근로자파견, 도급, 용역의 차이
|
|
파견근로자 |
근로자파견이 가능한 대상업무는?
|
|
파견근로자 |
파견기간의 제한과 2년이상 고용시 직접고용 의무
|
|
파견근로자 |
불법파견과 무허가파견사업의 금지
|
|
파견근로자 |
파견근로자에 대한 차별금지 및 차별시정
|
|
파견근로자 |
근로자 파견에 관한 기타의 사항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