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골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계약직 직원인데요.. 제가 현재 임신상태여서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및 수당에 대해 궁금한대요
현재 근무한 기간은 1년이 좀 넘은상태이며 저희 재계약이 2014,11,30일이 계약만료일입니다. 그래서 예정일이 12월이 여서 11월 초까지 근무를 하고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신청을 하려하는데 가능한지요? 또한 육아휴직 수당은 얼마정도 받을수 있는지요... 참고로 급여는 세금전 138만원입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골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계약직 직원인데요.. 제가 현재 임신상태여서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및 수당에 대해 궁금한대요
현재 근무한 기간은 1년이 좀 넘은상태이며 저희 재계약이 2014,11,30일이 계약만료일입니다. 그래서 예정일이 12월이 여서 11월 초까지 근무를 하고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신청을 하려하는데 가능한지요? 또한 육아휴직 수당은 얼마정도 받을수 있는지요... 참고로 급여는 세금전 138만원입니다.
성별 | 여성 |
---|---|
지역 | 경기 |
회사 업종 | 기타업종 |
상시근로자수 | 20~49인 |
본인 직무 직종 | 사무직 |
노동조합 | 없음 |
근로시간 | 시간외 근로 수당 계산 부탁드립니다. 1 | 2014.04.23 | 931 | |
근로계약 | 시급에 포함된 주휴수당 1 | 2014.04.23 | 2773 | |
근로계약 | 해외 연수로 인한 경비 반환금 관련의 건. 1 | 2014.04.23 | 680 | |
휴일·휴가 | 근로자의 날 근무에 대한 대체휴무 문의 1 | 2014.04.23 | 4502 | |
휴일·휴가 | 기간제근로자의 불리한 연가규정 적용 및 소급적용 3 | 2014.04.23 | 3112 | |
근로시간 | 시간외수당 중 야간수당계산법 문의합니다. 1 | 2014.04.23 | 17900 | |
임금·퇴직금 | 퇴직금에 대한 질문입니다. 2 | 2014.04.23 | 658 | |
임금·퇴직금 | 연차수당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1 | 2014.04.23 | 618 | |
임금·퇴직금 | 임금체불에 관한 건 ( 4대 보험 x, 근로계약서x ) 1 | 2014.04.23 | 1369 | |
임금·퇴직금 | 도와주세요 1 | 2014.04.23 | 500 | |
여성 | 육아휴직중 단기 사업자 1 | 2014.04.23 | 777 | |
노동조합 | 노동조합을 만드는 방법 1 | 2014.04.22 | 3040 | |
휴일·휴가 | 연차에 관해 질문 드려요 1 | 2014.04.22 | 580 | |
휴일·휴가 | 1년 계약직 연차 일수 1 | 2014.04.22 | 4891 | |
임금·퇴직금 | 고용승계로 인한 소속변동에 따른 퇴직금과 연차수당에 관하여... 1 | 2014.04.22 | 1659 | |
해고·징계 | 징계사유로 해당 되나요? 1 | 2014.04.22 | 1246 | |
임금·퇴직금 | 임원 퇴임월 급여 지급 1 | 2014.04.22 | 823 | |
임금·퇴직금 | 잦은 임금체불. 실업급여 받을수있을까요. 1 | 2014.04.22 | 2002 | |
» | 여성 | 계약직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수당 1 | 2014.04.22 | 1644 |
임금·퇴직금 | 임금관련 질문 드립니다. 2 | 2014.04.22 | 765 |
기간을 정한 근로자의 경우라도 임신을 했다면 출산휴가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해당 근로계약기간 만료일이 도래하여 근로계약의 갱신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라면 계약만료와 함께 출산휴가도 종료됩니다.
귀하의 경우, 2014년 11월 30일에 재계약을 한다면 출산휴가 이후 바로 육아휴직을 1년 이내의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해당 기간은 기간제법에 따라 2년의 사용제한 기간에서 제외됩니다.
그러나 사용자가 2014년 11월 30일 이후 계약갱신을 하지 않고 근로계약을 종료할 경우 출산휴가는 종료되며 육아휴직은 사용할 수 없게 됩니다.
출산휴가 급여는 우선지원대상기업(중소기업)은 90일간 최대 405만원을 고용보험에서 지원합니다 즉, 매월 135만원까지 고용보험이 출산휴가 급여로 지급합니다. 만약 귀하의 통상임금이라고 하여 연장근로수당을 제외한 기본급과 고정수당액이 135만원을 초과하면 최초 60일분에 대하여는 그 차액을 사업주가 지급합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