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연차수당에 관하여 글 올립니다
개업 : 2013년 9월 12일
A사원 : 2013년 10월 1일 입사
B사원 : 2013년 12월 26일 입사
둘 다 2014년 12월 31일이 퇴사일입니다
상시근로자가 5명이 된 시기는 2014년 7월 14일입니다
이 두분의 연차수당은 각 각 얼마씩인지요?
상시근로자가 5인이상 된 시점부터 연차수당이 발생된다고 노동부와 노무사에게 상담을 받았습니다
안녕하세요?
연차수당에 관하여 글 올립니다
개업 : 2013년 9월 12일
A사원 : 2013년 10월 1일 입사
B사원 : 2013년 12월 26일 입사
둘 다 2014년 12월 31일이 퇴사일입니다
상시근로자가 5명이 된 시기는 2014년 7월 14일입니다
이 두분의 연차수당은 각 각 얼마씩인지요?
상시근로자가 5인이상 된 시점부터 연차수당이 발생된다고 노동부와 노무사에게 상담을 받았습니다
성별 | 여성 |
---|---|
지역 | 경기 |
회사 업종 | 도소매업 |
상시근로자수 | 5~19인 |
본인 직무 직종 | 사무직 |
노동조합 | 없음 |
임금·퇴직금 | 임금에 관하여 1 | 2014.12.16 | 298 | |
임금·퇴직금 | 퇴직금 중간정산 관련 문의 드립니다. 2 | 2014.12.15 | 1054 | |
근로계약 | 고용,산재가입문의 1 | 2014.12.15 | 445 | |
해고·징계 | 해고사유가되나요? 1 | 2014.12.15 | 526 | |
임금·퇴직금 | 퇴직시 연차수당수령 계산방법문의 1 | 2014.12.15 | 1387 | |
» | 기타 | 연차수당 문의드립니다 1 | 2014.12.15 | 458 |
근로시간 | 대체 근무 관련문의드립니다. 1 | 2014.12.15 | 229 | |
임금·퇴직금 | 퇴직금산정시연차수당 1 | 2014.12.15 | 6669 | |
임금·퇴직금 | 감시단속적 근로자 연장 및 심야수당 지급 확인 1 | 2014.12.15 | 2592 | |
기타 | 실질퇴직일&형식퇴직일(무급휴일)이 상이한 경우 실업급여 신청 ... 1 | 2014.12.15 | 1031 | |
여성 | 파견계약직 산전후휴가 문의드립니다. 1 | 2014.12.15 | 368 | |
근로계약 | 계약직 근로자 기간만료 이전 퇴사시 사직서 제출여부 1 | 2014.12.15 | 4919 | |
고용보험 | 회사에서 4대보험 미납 1 | 2014.12.15 | 6309 | |
임금·퇴직금 | 프로젝트 투입수당 평균임금 포함여부 1 | 2014.12.15 | 648 | |
임금·퇴직금 | 제 급여나 연봉은 제 동의없이 누구까지 열람이 가능한가요? 1 | 2014.12.15 | 673 | |
비정규직 | 아르바이트 주휴수당 지급관련 등 1 | 2014.12.15 | 590 | |
임금·퇴직금 | 권고사직 거부 후 대기발령시, 퇴직금의 감소 우려 문의. 1 | 2014.12.15 | 2983 | |
근로계약 | 해외취업시 여비변상 조치 2 | 2014.12.15 | 434 | |
기타 | 근무중 공구 관리 및 책임 1 | 2014.12.15 | 506 | |
임금·퇴직금 | 감시적단속적근로자 상여금 1 | 2014.12.15 | 608 |
5인 미만 사업장에 대해서는 근로기준법 제 60조에 따른 연차휴가수당 지급의무가 없습니다.
따라서 해당 사업장이 상시근로자 5인 이상이 되는 시점에서 연차수당 지급의무가 발생한다 볼 수 있습니다.
2014년 7월 14일부터 상시근로자 5인 이상 사용사업장으로 변경되었다면 2013년 10월 1일 입사근로자와 2013년 12월 26일 입사근로자의 경우 상시근로자 5인 이상 사업장이 된 시점으로부터 계속근로기간 1년 미만인 근로자로 보아 2013년 10월 1일 입사근로자의 경우 2일, 2013년 12월 26일 입사근로자의 경우 5일의 연차휴가가 발생한다 보아야 할 것입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