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사업장 단체협약에는 '연차휴가 중 5일은 매년 의무사용하되, 사용하지 않더라도 별도 보상하지 아니한다.'라고 되어있습니다.
이러한 조항이 있더라도 별도의 노사합의 없이 근기법에 따라 연차사용촉진제를 시행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참고로 우리 회사는 노사합의로 의무연차 5일을 도입한 해에 5일분 연차수당을 급여에 반영한 바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우리 사업장 단체협약에는 '연차휴가 중 5일은 매년 의무사용하되, 사용하지 않더라도 별도 보상하지 아니한다.'라고 되어있습니다.
이러한 조항이 있더라도 별도의 노사합의 없이 근기법에 따라 연차사용촉진제를 시행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참고로 우리 회사는 노사합의로 의무연차 5일을 도입한 해에 5일분 연차수당을 급여에 반영한 바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성별 | 남성 |
---|---|
지역 | 서울 |
회사 업종 | 기타업종 |
상시근로자수 | 300인이상 |
본인 직무 직종 | 사무직 |
노동조합 | 있음 |
휴일·휴가 | 년차 발생기준에 대하여 문의합니다^^ 2 | 2016.07.29 | 1983 | |
» | 휴일·휴가 | 단협상 의무연차 조항이 있을 경우 연차사용촉진 1 | 2016.07.29 | 523 |
기타 | 연차수당 지급 1 | 2016.07.29 | 208 | |
임금·퇴직금 | 퇴직금 체불 1 | 2016.07.29 | 596 | |
고용보험 | 실업급여 피보험 단위기간 몆일이 될까요?? 1 | 2016.07.29 | 9091 | |
휴일·휴가 | 연차일수 계산 및 휴일 근로에 대한 문의 1 | 2016.07.28 | 680 | |
고용보험 | 구직급여 수급 중 단기 알바를 하면 그 금액만큼 몽땅 못받는건가... 1 | 2016.07.28 | 1713 | |
휴일·휴가 | 출산휴가에 대한 문의 1 | 2016.07.28 | 327 | |
고용보험 | 임원 실업급여 관련 문의드립니다. 1 | 2016.07.28 | 1345 | |
임금·퇴직금 | 체불임금 확정 하고 가압류를 걸었으나 회사가 위탁경영으로 회사... 2 | 2016.07.28 | 359 | |
임금·퇴직금 | 퇴직 시 임금관련하여 문의 드립니다. 1 | 2016.07.28 | 474 | |
최저임금 | 최저시급 관련해서 질문 있습니다. 1 | 2016.07.27 | 255 | |
근로계약 | 통상임금 전환과정에서 연봉(OT포함)을 고정.... 1 | 2016.07.27 | 1612 | |
근로시간 | 근무시간, 근무업무밖의 근로에 대한 보상문의 1 | 2016.07.27 | 440 | |
휴일·휴가 | 육아휴직자 퇴직전 연차수당 질문드립니다. 1 | 2016.07.27 | 659 | |
휴일·휴가 | 연차가 발생 될 수 있나요? 1 | 2016.07.27 | 187 | |
기타 | 이것도 실업급여로 인정될 수 있는지 봐주십시오. 2 | 2016.07.27 | 691 | |
고용보험 | 출산전후휴가급여 부정수급 1 | 2016.07.27 | 1831 | |
근로계약 | 퇴직거부 대처방안 문의드립니다. 1 | 2016.07.27 | 234 | |
임금·퇴직금 | 3년동안 일한 임금과 퇴직금에 대해 상담을 받고 싶습니다. 1 | 2016.07.27 | 698 |
1. 연차휴가사용촉진제는 근로기준법 제 61조에 따라 정해진 절차대로 진행해야 사용자가 근로자가 연차휴가를 소진하지 않더라도 연차휴가미사용에 따른 수당 지급의무를 면할 수 있습니다.
2. 따라서 단체협약에서 연차휴가 의무사용을 규정하였더라도 근기법 제 61조에 따른 절차를 통해 연차휴가사용촉진을 하지 않은 경우 무조건 5일에 대한 수당액의 지급을 면할수 없습니다.
3. 다만 귀하의 사업장에서 5일의 연차휴가에 대해 사용하지 않을 것을 가정하여 이에 대해 미리 급여를 지급했다면 사실 연차휴가사용촉진을 적법하게 하지 않은 경우 5일간 연차휴가에 대해 수당을 지급해야 하고 그에 대한 연차휴가미사용을 가정하여 지급한 급여액이 있는 만큼 별도의 연차수당 지급의무는 없다 볼수 있습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