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에서 짤렸는데, 짤리고 한달뒤에 월급을 줄거같아요
통보없이 짤린것도 힘든데, 한달이나 늦게 받아야하나요?
퇴사후에 몇일내로 임금을 받을수있나요? 2주가 넘으면 신고해도되나요?
회사에서 짤렸는데, 짤리고 한달뒤에 월급을 줄거같아요
통보없이 짤린것도 힘든데, 한달이나 늦게 받아야하나요?
퇴사후에 몇일내로 임금을 받을수있나요? 2주가 넘으면 신고해도되나요?
성별 | 여성 |
---|---|
지역 | 경기 |
회사 업종 | 건설업 |
상시근로자수 | 5~19인 |
본인 직무 직종 | 사무직 |
노동조합 | 없음 |
해고·징계 | 제가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요?? 1 | 2017.01.03 | 231 | |
휴일·휴가 | 외출,조퇴,지각,결근에 대해 연차에서 삭감이 가능한가요? (사전... 3 | 2017.01.03 | 7740 | |
근로계약 | 퇴직금청구 및 연차휴가의 건 1 | 2017.01.03 | 260 | |
임금·퇴직금 | 퇴직금 산정기간 문의 1 | 2017.01.03 | 202 | |
임금·퇴직금 | 퇴직연금dc 납입금액에 대해서 2 | 2017.01.03 | 848 | |
» | 임금·퇴직금 | 회사에서 짤렸습니다. 1 | 2017.01.03 | 1229 |
해고·징계 | 통보없이 해고를 합니다. 1 | 2017.01.03 | 537 | |
근로계약 | 변상책임 문의드립니다. 1 | 2017.01.03 | 334 | |
휴일·휴가 | 퇴직자 연가보상비 1 | 2017.01.02 | 1145 | |
근로계약 | 임금 삭감에 따른 퇴사 시 회사 규정 적용 여부 1 | 2017.01.02 | 440 | |
휴일·휴가 | 안녕하세요 휴가일에 대해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1 | 2017.01.02 | 239 | |
임금·퇴직금 | 임금체불 기간에 관한질문과 퇴직급 질문입니다 1 | 2017.01.02 | 230 | |
고용보험 | 한부모 가정으로 양육과 생계를 동시에 유지하기 위해 이직하는 경우 1 | 2017.01.02 | 409 | |
여성 | 육아휴직후 연차 1 | 2017.01.01 | 550 | |
해고·징계 | 근로계약서 상의 만료 시점 2일 전 계약 불가 통보 1 | 2017.01.01 | 3199 | |
임금·퇴직금 | 1일임금 미지급과 퇴직금문의 1 | 2017.01.01 | 292 | |
여성 | 출산전후 휴가급여 1 | 2016.12.31 | 481 | |
휴일·휴가 | 연차비를 다시 회사에서 돌려달라고합니다 1 | 2016.12.30 | 684 | |
해고·징계 | 부서간 갈등에 따른 일방적 각서 작성 및 무급휴가를 빙자한 무급... 1 | 2016.12.30 | 519 | |
기타 | 실업급여 1 | 2016.12.30 | 291 |
근로기준법 제 36조에 따라 “사용자는 근로자가 퇴직한 경우에는 그 지급 사유가 발생한 때부터 14일 이내에 임금, 보상금, 그 밖에 일체의 금품을 지급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귀하가 해고당한 퇴사일로부터 14일이 경과한 시점에서 임금이 지급되지 않을 경우 사용자를 상대로 관할 고용노동지청에 근로기준법 제 36조 위반으로 진정이나 고소를 제기할 수 있습니다.
근로기준법 제 36조 위반시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수 있습니다. (근로기준법 제 109조 제 1항 및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제 31조) 그러나 이는 근로자가 처벌을 원치 않으면 의사에 반해서 처벌할수 없습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퇴사후 14일 이내에 임금을 지급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를 상대로 관할 고용노동지청에 근로기준법 제 36조 위반을 들어 고소하시고 강력한 처벌을 요구하신 후 사용자의 사과와 임금 지급의 경위를 보면서 대응하시기 바랍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