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11.12 13:37
안녕하세요 kingkazama 님, 한국노총입니다.

근로기준법 제61조에서는 감시,단속적근로자에 대해서는 노동부에 "감시,단속적근로자에 대한 근로시간등의 적용예외승인"을 받은 경우, 당해 감시,단속적근로자에 대해 근로기준법이 정한 근로시간 및 휴일,휴게시간과 연장,휴일근로의 적용을 받지는 않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회사임원의 운전기사는 보일러,기관실 기사 등과 함께 단속적업무(실근로제공시간에 비해 대기시간등이 상당히 길어 업무행위가 연속적으로 진행되지 아니하는 업무)에 종사하는 근로자로 봅니다.
따라서 근로기준법 제61조에서 정한 조치를 밟는다면 귀하가 문의하신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더이상의 답변은 저희 상담소의 본의와 달리 당해 근로자에게 불이익이 있을 수 있어 자제하오니 이점 널리 양해하여 주시기 바라며, 참고적으로 위 답변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노동자료실>에 등록된 37번 자료 【포괄임금정산제 해설 (판례와 사례)】을 다운받아 참고하시면 다소 도움이 될 것입니다.

관련 노동법 조항에 대한 검색은 노동법령 검색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좋은하루되시기 바랍니다.





kingkazama 님께서 남기신 상담글입니다.
> 항상 빠르고 명쾌한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 직원중 운전기사의 초과근로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 회사 업무시간이 아침 8 시~ 오후 5시 까지입니다. 이 업무시간을 초과한 초과근로에 대해 가산임금을 주고 있습니다.
> 운전기사의 경우 임원들을 수행하는 데요. 통상 아침과 저녁에 운행을 하고 있습니다.
> 따라서 통상의 업무시간에는 기사대기실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고요.
> 일반적으로 지시와 통제속에 자유롭냐 자유롭지 않냐에 따라 업무시간을 파악하겠지만, 기사의 경우 단지 대기를 하고 있을 뿐인데요..
> 결국 많은 기사들이 업무일지를 보면 24시간 중에 18~20시간을 일하는 꼴이 되어버립니다.
> 현행 방법이 맞는 건지, 아니면 운행시간만을 따졌을 경우 큰 무리는 업는지 궁금합니다.
>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이와 같은 경우는 부당해고 인지 알고 싶습니다.. 2003.11.12 381
【답변】 이와 같은 경우는 부당해고 인지 알고 싶습니다.. 2003.11.12 407
【답변】 소액재판을 해야할지 지급명령을 신청해야 할지.. 2003.11.12 903
어쩔수 없겠죠~~ 2003.11.11 404
【답변】 어쩔수 없겠죠~~ 2003.11.12 365
도와주세요...^^ 2003.11.11 337
【답변】 도와주세요...^^(임금체불) 2003.11.12 371
운전기사의 초과근로에 대한 문의 2003.11.11 497
» 【답변】 운전기사의 초과근로에 대한 문의(임원운전기사,단속적... 2003.11.12 3322
임신,출산으로 인한 권고사직 2003.11.11 385
【답변】 임신,출산으로 인한 권고사직 2003.11.12 760
근로계약을 안한 계약직도 퇴직금을 받을 수 있나요? 2003.11.11 1250
【답변】 근로계약을 안한 계약직도 퇴직금을 받을 수 있나요? 2003.11.12 2428
이런 경우도 고용보험을 받을수 있나요? 2003.11.11 366
【답변】 이런경우도 고용보험을 받을수 있나요? (지방전근에 따... 2003.11.12 617
퇴직금에 대해서..... 2003.11.11 334
【답변】 퇴직금에 대해서.....(고용보험가입시기부터 입사일로 ... 2003.11.12 1267
황당..황당.. 2003.11.11 390
【답변】 황당..황당.. 2003.11.11 366
시간외 근무수당 계산 2003.11.11 1729
Board Pagination Prev 1 ... 4161 4162 4163 4164 4165 4166 4167 4168 4169 4170 ... 5861 Next
/ 58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