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52시간의 정확한 의미는 무엇입니까?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매일 11시간씩 55시간을 일하고 있읍니다.
날씨가 더워 근로자들이 너무 힘들어해서..... 조합에서 잔업 3시간을 않하고 휴식을 가지도록 조합원들에게 유도한다면 어떤 문제가 있습니까?
주 52시간의 정확한 의미는 무엇입니까?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매일 11시간씩 55시간을 일하고 있읍니다.
날씨가 더워 근로자들이 너무 힘들어해서..... 조합에서 잔업 3시간을 않하고 휴식을 가지도록 조합원들에게 유도한다면 어떤 문제가 있습니까?
성별 | 남성 |
---|---|
지역 | 부산 |
회사 업종 | 제조업 |
상시근로자수 | 100~299인 |
본인 직무 직종 | 생산직 |
노동조합 | 있음 |
휴일·휴가 | 연차사용일수 문의외 1 | 2012.08.10 | 1451 | |
임금·퇴직금 | 근로일수 1 | 2012.08.10 | 1733 | |
임금·퇴직금 | 미지급된 퇴직금 계산관련 1 | 2012.08.10 | 1434 | |
해고·징계 | 부당해고 1 | 2012.08.10 | 1510 | |
임금·퇴직금 | 임금체불때문에 대출받았는데 실업급여 수급은 되나요? 1 | 2012.08.09 | 2402 | |
임금·퇴직금 | 미지급임금, 퇴직금 받을 방법 1 | 2012.08.09 | 1739 | |
해고·징계 | 대표이사 수행기사직 음주운전으로 면허취소 1 | 2012.08.09 | 2014 | |
임금·퇴직금 | 정년이후 계속계약시 퇴직금지급 문의 2 | 2012.08.09 | 1684 | |
비정규직 | 도급비용 지급 1 | 2012.08.09 | 1993 | |
기타 | 미용사 근로자 인정 관련 건 4 | 2012.08.09 | 3457 | |
근로시간 | 출근 및 근로시간간 관계 1 | 2012.08.09 | 2015 | |
임금·퇴직금 | 퇴직금 중간정산 시점 1 | 2012.08.08 | 2504 | |
근로계약 | 계약 기간 중 회사에서 퇴직을 권고할 수 있나요? 1 | 2012.08.08 | 1761 | |
임금·퇴직금 | 퇴직금 관련 재문의 드립니다. 1 | 2012.08.08 | 1417 | |
기타 | 회사 중국법인 근로자가 국내법인 1년 단기 파견시 중국과 한국 ... 1 | 2012.08.08 | 2095 | |
비정규직 | 계약직사원의 계속근로의 판단은 어떻게하나요 1 | 2012.08.08 | 1726 | |
임금·퇴직금 | 연차수당 일부를 기본급화 할 수 있는지요? 3 | 2012.08.08 | 1875 | |
» | 근로시간 | 주52시간 1 | 2012.08.08 | 5785 |
근로계약 | 근로계약서 서면 교부 관련 문의 1 | 2012.08.08 | 4570 | |
기타 | 공금횡령, 업무상배임죄 1 | 2012.08.08 | 2224 |
귀하가 문의하신 주52시간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의미인지 알 수 없으나 법정근로시간 40시간과 주당 연장근로 상한시간 12시간을 합한 시간을 의미하는 것이라면 1일 11시간씩 5일 근무를 할 경우 연장근로 위반에 해당합니다.
300인 미만 사업장의 경우 2006.7.1.부터 주40시간제의 적용대상이 되며 법적용일로부터 3년간 한시적으로 주당 연장근로 상한선이 12시간에서 16시간으로 적용할 수 있으나 2009.6.30.자로 3년이 초과되었기 때문에 한주 최대 연장근로시간은 12시간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노동조합 차원에서 근로기준법을 위반하여 실시하고 있는 연장근로에 대해 거부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연장근로시간은 실 근로시간을 기준으로 판단하며 휴게시간등은 제외하게 되며 사업의 형태에 따라 연장근로 제한 규정의 적용을 받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근로기준법
제59조【근로시간 및 휴게시간의 특례】
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업에 대해서 사용자가 근로자대표와 서면 합의를 한 경우에는 제53조제1항에 따른 주(週) 12시간을 초과하여 연장근로를 하게 하거나 제54조에 따른 휴게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1. 운수업, 물품 판매 및 보관업, 금융보험업
2. 영화 제작 및 흥행업, 통신업, 교육연구 및 조사 사업, 광고업
3. 의료 및 위생 사업, 접객업, 소각 및 청소업, 이용업
4. 그 밖에 공중의 편의 또는 업무의 특성상 필요한 경우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
근로기준법 시행령
제32조【근로시간 및 휴게시간의 특례인정 사업】
법 제59조제4호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이란 사회복지사업을 말한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