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조운영 |
개정 노동조합법(2021.7 시행) 설명자료
|
|
부당노동행위 |
노조 운영비 지원 관련 노조법 개정 (2020.6월 시행)
|
|
노조운영 |
회의중 위원장이 폐회를 선언하고 퇴장하는 경우 임시의장을 선출하여 회의진행할 수 있는지요?
|
|
노조운영 |
총회의결시 의결정족수 및 출석조합원 산정방법
|
|
노조운영 |
노조위원장의 임기를 총회결의로 변경할 수 있는지요?
|
|
노조운영 |
노동조합 선거에서 단독입후보자의 부결시 재입후보 자격여부 (노조 임원의 출마자격 제한)
|
|
노조운영 |
노동조합 총회 의결과정에서의 출석조합원 수 판단 기준
|
|
노조운영 |
노조탈퇴 후 노조 재가입을 신청하는 경우, 거부할 수 있는지요?
|
|
단체협약 |
비조합원도 노조와 체결한 단체협약의 내용을 적용받을 수 있는지 ('일반적구속력'의 적용대상)
|
|
부당노동행위 |
승진으로 조합원 자격이 자동상실되면,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하나요?
|
|
단체협약 |
정년퇴직후 촉탁근로계약자에 대해서도 단체협약이 적용되는지요?
|
|
노조운영 |
'총회승인후 노조대표자의 단체협약 체결'을 정한 노조규약의 효력
|
|
노조운영 |
노조임원의 정년퇴직과 재고용시 노조 임원으로써의 자격은?
|
|
노조운영 |
노동조합 대의원대회(총회)에서 부결된 안건을 임시 대의원대회(총회)에서 재상정할 수 있나?
|
|
노조운영 |
복수노조의 정의 / 노조에서 노조가입을 거부하는 경우
|
|
노조운영 |
노동조합 조합원의 범위는?
|
|
단체협약 |
조합비를 임금에서 일괄 공제하는 `조합비사전공제제도` 의 법적 요건
|
|
단체교섭 |
단체교섭의 담당자와 당사자
|
|
설립,변경 |
노동조합과 설립 (조직형태 · 설립방법 및 신고 · 복수노조)
|
|
설립,변경 |
노동조합의 조직변동 (조직형태 변경 · 합병 · 분할 · 해산)
|
|
노조운영 |
노동조합의 운영과 관리 (총회,대의원회,노조대표자)
|
|
노조운영 |
노동조합 총회 및 각종 회의 일반원칙
|
|
노조운영 |
대의원회, 대의원선출
|
|
노조운영 |
노조위원장, 임원의 선출과 해임, 노조전임자
|
|
노조운영 |
투명한 운영과 회계감사
|
|
노조운영 |
재정 · 조합원의 권리와 의무 · 징계 등
|
|
단체교섭 |
단체교섭이란?
|
|
단체교섭 |
교섭의 주체와 교섭권 위임
|
|
단체교섭 |
교섭의 유형과 방법
|
|
단체교섭 |
단체교섭의 대상
|
|
단체협약 |
단체협약이란?
|
|
단체협약 |
단체협약의 체결
|
|
단체협약 |
단체협약의 내용과 효력 · 유효기간 · 효력 확장
|
|
단체협약 |
단체협약의 종료
|
|
단체협약 |
단체협약의 해석
|
|
쟁의행위 |
노동조합의 쟁의행위란?
|
|
쟁의행위 |
교섭결렬과 쟁의행위의 돌입
|
|
쟁의행위 |
쟁의행위의 정당성 (주체 · 목적 · 절차 · 방법)
|
|
쟁의행위 |
쟁의행위의 보호와 준법투쟁
|
|
쟁의조정 |
노동쟁의 조정이란?
|
|
쟁의조정 |
조 정
|
|
쟁의조정 |
중 재
|
|
쟁의조정 |
공익사업의 특례
|
|
부당노동행위 |
부당노동행위와 유형 및 사례
|
|
부당노동행위 |
부당노동행위 구제 및 절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