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05.10
추천 수 0 댓글 0

노동쟁의란?

  • 노동쟁의란, 노동관계 당사자(노동조합,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체)간에 임금, 근로시간, 복지, 해고 기타 대우 등 근로조건의 결정에 관한 주장의 불일치로 인하여 발생한 분쟁상태(노조법 제2조제5호)를 말합니다.

  • 노동쟁의 성립요건 : ① 적격한 당사자, ② 근로조건 관련, ③ 주장의 불일치.
    ※ '주장의 불일치'란 : 당사자간에 합의를 위한 노력을 계속하여도 더 이상 자주적 교섭에 의한 합의의 여지가 없는 상태

 
노동쟁의 조정(調整)이란?

  • 노동관계 당사자간에 근로조건의 결정에 관한 주장의 불일치로 노동쟁의가 발생한 경우, 당해 노동쟁의를 신속·공정하게 해결하여 쟁의행위로 인한 노동관계 당사자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과 노동위원회법에 의해 행해지는 일련의 절차를 말합니다. 노동쟁의 조정은 크게 조정,중재,긴급조정으로 구분합니다.

조 정 (調停)    

  • 당사자가나 노동쟁의 해소를 위한 서비스적 성격 


중 재 (仲裁)    

  • 당사자에게 이행의무가 부과


긴급조정 (緊急調整)    

  • 당사자간 쟁의행위가 국민경제를 위태롭게 할 위험이 현존할 때 극히 예외적으로 행하여 짐.  


노동쟁의 조정의 대상


이익분쟁

  • 근로조건(임금 등)의 형성·유지·변경 등을 둘러싼 분쟁으로서 조정대상에 해당합니다.

권리분쟁

  • 법령ㆍ단체협약ㆍ취업규칙 등에 의하여 이미 확정된 권리에 관한 노사간 해석ㆍ적용ㆍ이행 등을 둘러싼 분쟁으로서 조정대상이 되지 않습니다.
    ※ 예 : 체불임금 청산, 해고자 복직, 단체협약 이행, 부당노동행위 구제 등

인사·경영권 관련사항

  • 인사ㆍ경영권은 기업경영과 관련하여 사용자에게 귀속되는 일체의 권한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인사ㆍ경영권의 본질을 침해하는 부분은 원칙적으로 교섭 및 조정대상이 될 수 없으나,

  • 인사ㆍ경영권에 속하는 사항이라 할지라도 근로조건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경우에는 그 한도 내에서 교섭 및 조정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 인사권 : 근로자의 채용ㆍ배치ㆍ전보, 인사고과, 승진, 징계, 휴직, 해고 등에 관한 사항
    ※ 경영권 : 사업의 인수ㆍ합병ㆍ양도, 휴ㆍ폐업, 사업의 축소ㆍ확대, 사업장의 이전, 하도급ㆍ용역전환, 신기술 도입, 생산계획의 결정 등에 관한 사항

조합활동 관련사항

  • 노조전임제, 근로시간 중의 조합활동 등 집단적 노동관계에 관한 사항은 임의적 교섭사항이며 조정대상이 될 수 없다는 것이 법원의 판단입니다만, 노사간에 민감한 사항이기 때문에 사안이 중대한 경우 노동위원회에서는 실무적 차원에서 조정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관련 법원 판례

  • 정리해고나 사업조직의 통폐합 등 기업의 구조조정의 실시 여부는 경영주체에 의한 고도의 경영상 결단에 속하는 사항으로서 이는 원칙적으로 단체교섭의 대상이 될 수 없다.(대법 2002.02.26, 선고 99도5380)

  • 근로자의 상벌 등에 관한 인사권은 사용자의 고유권한으로서 그 범위에 속하는 징계권 역시 기업운영 또는 근로계약의 본질상 당연히 사용자에게 인정되는 권한이기 때문에 그 징계규정의 내용이 강행법규나 단체협약의 내용에 반하지 않는 한 사용자는 그 구체적인 내용을 자유롭게 정할 수 있고, 그 규정이 단체협약의 부속서나 단체협약 체결절차에 준하여 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대법원 1994. 9. 30 선고, 94다21337)

  • 단체협약 중 조합원의 차량별 고정승무발령, 배차시간, 대기기간, 배차순서 및 일당기사 배차에 관하여 노조와 사전합의를 하도록 한 사항이 한편으로는 사용자의 경영권에 속하는 사항이지만, 또 한편으로는 근로자들의 근로조건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부분으로서 사용자의 경영권을 근본적으로 제약하는 것이 아니라고 보여지므로 단체협약의 대상이 될 수 있고 그 내용 역시 헌법이나 노동조합법 기타 노동관계법규에 어긋나지 아니하므로 정당함.(대법원 1994. 8. 26 선고, 93누8993)

  • 노조전임제는 노동조합에 대한 편의제공의 한 형태로서 사용자가 단체협약 등을 통하여 승인하는 경우에 인정되는 것일 뿐 사용자와 근로자 사이의 근로계약관계에 있어서 근로자의 대우에 관하여 정한 근로조건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이고, 단순히 임의적 교섭사항에 불과하여 이에 관한 분쟁 역시 노동쟁의라 할 수 없으므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이것 또한 중재재정의 대상으로 할 수 없다.(대법원 1996. 2. 23 선고, 94누9177)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노조운영 개정 노동조합법(2021.7 시행) 설명자료 file
부당노동행위 노조 운영비 지원 관련 노조법 개정 (2020.6월 시행)
단체협약 노동조합 사무실 축소 이전 요구
노조운영 회의중 위원장이 폐회를 선언하고 퇴장하는 경우 임시의장을 선출하여 회의진행할 수 있는지요? file
노조운영 총회의결시 의결정족수 및 출석조합원 산정방법
노조운영 노조위원장의 임기를 총회결의로 변경할 수 있는지요?
노조운영 노동조합 선거에서 단독입후보자의 부결시 재입후보 자격여부 (노조 임원의 출마자격 제한)
노조운영 노동조합 총회 의결과정에서의 출석조합원 수 판단 기준
노조운영 노조탈퇴 후 노조 재가입을 신청하는 경우, 거부할 수 있는지요?
단체협약 비조합원도 노조와 체결한 단체협약의 내용을 적용받을 수 있는지 ('일반적구속력'의 적용대상)
부당노동행위 승진으로 조합원 자격이 자동상실되면,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하나요?
단체협약 정년퇴직후 촉탁근로계약자에 대해서도 단체협약이 적용되는지요?
노조운영 '총회승인후 노조대표자의 단체협약 체결'을 정한 노조규약의 효력
노조운영 노조임원의 정년퇴직과 재고용시 노조 임원으로써의 자격은?
노조운영 노동조합 대의원대회(총회)에서 부결된 안건을 임시 대의원대회(총회)에서 재상정할 수 있나?
노조운영 복수노조의 정의 / 노조에서 노조가입을 거부하는 경우
노조운영 노동조합 조합원의 범위는?
단체협약 조합비를 임금에서 일괄 공제하는 `조합비사전공제제도` 의 법적 요건
단체교섭 단체교섭의 담당자와 당사자
설립,변경 노동조합과 설립 (조직형태 · 설립방법 및 신고 · 복수노조)
설립,변경 노동조합의 조직변동 (조직형태 변경 · 합병 · 분할 · 해산)
노조운영 노동조합의 운영과 관리 (총회,대의원회,노조대표자)
노조운영 노동조합 총회 및 각종 회의 일반원칙
노조운영 대의원회, 대의원선출
노조운영 노조위원장, 임원의 선출과 해임, 노조전임자
노조운영 투명한 운영과 회계감사
노조운영 재정 · 조합원의 권리와 의무 · 징계 등
단체교섭 단체교섭이란?
단체교섭 교섭의 주체와 교섭권 위임
단체교섭 교섭의 유형과 방법
단체교섭 단체교섭의 대상
단체협약 단체협약이란?
단체협약 단체협약의 체결
단체협약 단체협약의 내용과 효력 · 유효기간 · 효력 확장
단체협약 단체협약의 종료
단체협약 단체협약의 해석
쟁의행위 노동조합의 쟁의행위란?
쟁의행위 교섭결렬과 쟁의행위의 돌입
쟁의행위 쟁의행위의 정당성 (주체 · 목적 · 절차 · 방법)
쟁의행위 쟁의행위의 보호와 준법투쟁
» 쟁의조정 노동쟁의 조정이란?
쟁의조정 조 정
쟁의조정 중 재
쟁의조정 공익사업의 특례
부당노동행위 부당노동행위 유형 및 사례
부당노동행위 부당노동행위 구제 및 절차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