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tra Form
행정해석 번호 퇴직연금복지과-1128
행정해석 일자 2015.4.14

경영악화로 퇴직급여(DB)의 일부만 적립(부담금 미납)된 경우 IRP로 이전되는 퇴직급여 수준

(퇴직연금복지과-1128, 2015.4.14.)

질의

확정급여형(DB) 퇴직연금제도를 도입한 회사가 회생절차개시결정 등 경영악화로 법정 최소적립비율(70%)을 충족하지 못해 퇴직하는 근로자에게 전액 지급할 수 없는 경우, 퇴직연금사업자가 미납 부담금을 제외한 퇴직급여 일부를 IRP로 지급할 수 있는지 여부

회시 답변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제16조제1항 및 시행령 제5조제1항에 따라 사용자는 확정급여형(DB) 퇴직연금제도에 부담금을 최소적립비율(2015년 70%, 2019년~2020년 90%, 2021년 이후 100%) 이상으로 적립하고,

- 같은 법 제17조제2항 및 제3항에 따라 가입자인 근로자의 퇴직일로부터 14일 이내에 퇴직연금사업자로 하여금 적립금 범위에서 지급의무가 있는 급여 전액을 근로자의 IRP 계정으로 이전하는 방법으로 지급하여야 합니다.

- 이 때 퇴직연금사업자가 지급한 급여수준이 확정된 수준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그 부족분을 퇴직일로부터 14일 이내에 근로자에게 지급하여야 하며, 같은 법 시행령 제24조제3호에 따라 가입자인 근로자는 퇴직연금사업자에 대해 직접 급여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사용자의 귀책사유로 인해 퇴직급여의 체불이 발생하여 그 체불액이 근로자의 진정・고소 등을 통해 지방고용노동관서에 의해 확정된 경우에는 부득이 일부 납입된 부담금만큼 가입자(근로자)가 지정한 IRP로 이전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퇴직연금복지과-1128, 2015.4.14.)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DC(확정기여)형 확정급여형에서 확정기여형 전환 시 미납된 부담금의 지연이자 산정방법
DC(확정기여)형 재직 중 근로자에 대한 DC부담금 미납분이 임금체불인지 여부
DC(확정기여)형 DC형 퇴직연금 부담금 미납시 퇴직금 지급 여부
DC(확정기여)형 회사가 DC(확정기여)형퇴직연금 부담금 미납시 지연이자와 소멸시효
퇴직금 지급 DC형 퇴직연금 미납 부담금 소멸시효 기산점
DC(확정기여)형 DC형 퇴직연금 부담금 미납 및 지급기일내 퇴직급여 미지급에 따른 지연이자 처리방법
IRP 회사가 기업형 IRP 부담금을 미납한 경우 체당금을 청구할 수 있는지
IRP 회시가 IRP 부담금을 미납한 상태에서 근로자가 퇴직한 경우 처리 방법
» IRP 경영악화로 퇴직급여(DB)의 일부만 적립(부담금 미납)된 경우 IRP로 이전되는 퇴직급여 수준
IRP 퇴직급여(DC) 체불(부담금 미납)이 발생한 경우 IRP인출 가능 여부
퇴직연금 일반 회시가 퇴직연금 부담금을 미납한 경우, 근로자가 지급받은 퇴직급여액은 시기적으로 먼저 발생한 기간의 퇴...
임금 지급ㆍ청산ㆍ소멸 3년간의 미납된 고용보험료를 소급하여 원천징수 하는 것이 가능한지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