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2.03
Extra Form
행정해석 번호 퇴직연금복지과-2710
행정해석 일자 2021.6.10.

소득공제를 받지 않는 부양가족의 의료비 부담을 사유로 한 중간정산 가능 여부

(퇴직연금복지과-2710, 2021.06.10.)

질의

부양가족 중 만 81세인 본인의 친정엄마가 6개월 이상 요양하는 경우 본인이 연간 임금총액의 1,000분의 125를 초과하는 의료비를 부담하는 경우, 소득세법에 따른 부양가족 소득공제를 받지 않더라도 퇴직금 중간정산이 가능한지

회시 답변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시행령 제3조제3항에 따라 근로자가 6개월 이상 요양을 필요로 하는 근로자 본인, 근로자의 배우자, 소득세법 제50조제1항제 3호에 따른 근로자 또는 그 배우자의 부양가족의 질병이나 부상에 대한 의료비가 근로자 본인 연간 임금총액의 1,000분의 125를 초과하는 경우 퇴직금 중간정산이 가능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 여기서 소득세법 제50조제1항에 따른 ʻ부양가족ʼ이라 함은 근로자(배우자를 포 함)의 60세 이상 직계존속, 20세 이하의 직계비속 또는 동거 입양자, 20세 이 하 또는 60세 이상인 형제자매,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에 따른 기초생활수급자, 아동복지법에 따른 가정위탁을 받아 양육하는 아동이 해당됩니다.

- 또한, 소득세법 제53조제1항 및 제3항에서 규정한 바와 같이 생계를 같이 하는 부양가족인지 여부는 주민등록표의 동거가족으로서 해당 거주자의 주 소 또는 거소에 현실적으로 생계를 같이 하는 사람이어야 할 것입니다. 다만, 직계존속이 주거형편에 따라 별거하고 있는 경우에는 소득세법 제50조에서 규정하는 생계를 같이하는 사람으로 보고 있습니다.

따라서, 신청인의 직계존속인 친정엄마(만 81세)가 질병 또는 부상으로 6개월 이 상 요양하고, 신청인이 신청인의 연간 임금총액의 1,000분의 125를 초과하 는 의료비를 부담하는 경우라면 중간정산 요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있 을 것이며, 이때 부양가족임을 입증할 수 있는 최소한의 증명서(가족관계증명서 또는 주민등록등본 등)를 사용자에게 제출하면 될 것입니다.(퇴직연금복지과-2894, 2015.8.27., 퇴직연금복지과—3104, 2015.9.11. 참조)

(퇴직연금복지과-2710, 2021.06.10.)


관련 행정해석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중간정산ㆍ중도인출 배우자 및 부양가족의 의료비를 합산하여 퇴직금 중간정산 신청이 가능한지
중간정산ㆍ중도인출 진단서에 '6개월 이상 지속적인 경과관찰이 필요하다'고 하는 경우가 중간정산 사유에 해당하는지
중간정산ㆍ중도인출 간병비 지출이 퇴직금 중간정산 사유에 해당하는지 여부
중간정산ㆍ중도인출 향후 의료비 추정 예정금액을 기준으로 중간정산 사유 해당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지
중간정산ㆍ중도인출 치료견적서 금액을 기준으로 퇴직연금 중도인출 사유 해당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지
» 중간정산ㆍ중도인출 소득공제를 받지 않는 부양가족의 의료비 부담을 사유로 한 중간정산 가능 여부
중간정산ㆍ중도인출 퇴직연금 중도인출을 위한 의료비 산정방법과 수회 신청 가능 여부
중간정산ㆍ중도인출 의료비 지출을 위한 퇴직연금 중도인출(퇴직금 중간정산)시 진단서 발급 시기
중간정산ㆍ중도인출 의료기관이 아닌 사설치료센터의 지출비가 퇴직연금 중도인출 사유인 의료비로 볼 수 있는지
중간정산ㆍ중도인출 의료비 부담을 사유로 한 퇴직급여 중간정산시 의료비 영수증 등 증빙자료 제출이 필요한 이유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