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tra Form
행정해석 번호 퇴직연금복지과-206
행정해석 일자 2021.1.13.

복수노조 사업장에서 임금협약에 따라 퇴직금 가산제를 달리 적용한 것이 퇴직급여제도 차등설정에 해당하는지

(퇴직연금복지과-206, 2021.01.13.)

질의

복수노조 하 개별교섭을 통해 각 임금협약을 진행하면서 □□시청 민간인근로자 취업규정과 일반공무직근로자 임금협약서에 따라 일반공무직 근로자에게 퇴직금 단수제를적용하고, 환경미화원 임금협약서에 따라 환경미화원에게 퇴직금 가산제를 적용하는 것이 퇴직급여 차등설정 금지 조항에 위배되는지

<노조구성 등 현황>

1.노조구성

- 총 공무직근로자(환경미화원 포함) : 311명
- OO지역노동조합(182명, 과반수 노조) : 환경미화원 제외, 일반공무직근로자가 소속됨
- △△공공노조 환경미화분과(25명, 소수 노조) : 환경미화원

2.임금협약서 퇴직금 내용 - 환경미화원 임금협약서: 2008년 이후 "10년 이상 재직자에 대해 150% 가산"이라는 조건부 가산제 조항 존재
- 일반공무직근로자 임금협약서 : 퇴직금 조항 없음
* □□시청 민간인근로자 취업규정 단수제 적용
3. 임금협약 방식 - 복수노조 하에서 각 독립적으로 □□시청과 개별교섭 진행

회시 답변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제4조제2항에 따른 퇴직급여제도 차등설정 금지라 함은 하나의 사업 내에서 직종, 직위, 직급 등에 따른 퇴직급여의 지급기준이나 지급률을 달리하는 것을 금지하고, 차등없이 퇴직급여제도를 적용하게 하고자 함에 그 취지가 있다 할 것입니다.

이는 퇴직금제도에 있어 동일한 단체협약을 적용받는 근로자 사이에 차등을 두는 것을 금지하는 것이고, 단체협약을 적용받지 않는 근로자에 대한 차등까지 금지하는 것은 아니므로(대법원 1987.4.28. 선고, 86다카2507 판결) 단체협약을 적용받는 사람에게 단체협약에 따라 누진제로 퇴직금을 지급하더라도 단체협약을 적용받지 않는 사람과 퇴직금 차등으로 보지 않으며(임금복지과-832, 2010.5.4.), 복수의 노동조합 조합원에게 각기 다른 퇴직급여제도를 적용하는 것은 퇴직급여 차등설정 금지에 해당할 수 없다고 할 것입니다.  (근로복지과-624, 2012.02.24.)

따라서, 복수노조 하에서 각각의 노조가 사용자와 개별교섭을 통해 임금협약을 체결하면서 환경미화원 노조에 대해서만 퇴직금 누진제를 적용한다고 하여 다른 근로자에 대하여 퇴직급여제도 차등설정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사료됩니다.

(퇴직연금복지과-206, 2021.01.13.)


관련 행정해석


관련 법원판례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퇴직금 지급 근속기간별로 부담금 수준을 다르게 적용하는 것이 DC형퇴직연금제도의 차등설정 금지에 해당하는지
퇴직금 지급 직종 등에 따라 서로 다른 퇴직급여의 지급기준이나 지급률을 달리하는 것으로 퇴직급여 차등설정 금지에 위배
퇴직금 지급 기존 근로자와 신규 입사자의 누진제 차등적용 가능 여부
퇴직금 지급 직종별로 서로 다른 취업규칙에 따라 퇴직금 산정방식이 다른 경우 차등설정 금지에 위반되는지
» 퇴직금 지급 복수노조 사업장에서 임금협약에 따라 퇴직금 가산제를 달리 적용한 것이 퇴직급여제도 차등설정에 해당하는지
재직기간 군복무기간 포함 관련 퇴직급여제도 간 차등이 발생하는 것이 아닌지 여부
DC(확정기여)형 경영성과금을 DC형 퇴직연금 부담금으로 납부하는 방법
퇴직연금 일반 경영성과급을 DC형 퇴직연금 부담금으로 납입시 직급별로 차등을 둘 수 있는지
퇴직연금 일반 과거근로기간 퇴직연금 소급적용시 DB형과 DC형의 부담금 산정 차등 여부
퇴직연금 일반 신규입사자만 한정하여 DC 도입 시 지급률 상향(부담금 추가지급)하는 것이 차등에 해당하는지
퇴직연금 일반 정규직은 DB・DC 퇴직연금으로, 비정규직은 DC 퇴직연금으로 각각 다르게 설정할 수 있는지
임금ㆍ평균임금 개인 업무실적에 따라 차등 지급되는 실적장려수당은 임금에 해당하므로 퇴직금에 포함
퇴직금 지급 노조 조합원간에 퇴직금을 달리 정하는 경우 퇴직금 차등설정금지의 원칙에 위반되는지
퇴직금 지급 직종별로 퇴직금누진제와 단수제로 구분될 경우 차등금지 해당 여부
퇴직금 지급 법인 임원과 일반 직원의 퇴직금 지급율이 각각 다른 경우 차등설정금지에 위배되는지
취업규칙 변경 근로자와 개별합의로 성과급에 대한 차등폭을 확대 적용할 수 있는지
취업규칙 변경 특정직 근로자들의 성과급에 대해 새로운 성과지표를 설정하여 차등을 완화할 때 취업규칙 변경절차
해고ㆍ징계ㆍ감봉 연봉제에 따라 개인별 인사고과를 근거로 성과인센티브를 차등지급하는 경우에도 감봉제재 규정이 적용되는지
통상임금 전년도 근무실적에 따라 다음 연도에 지급 여부・지급액이 확정되는 평가차등 경영성과금이 통상임금에 해당...
취업규칙 변경 노동조합 가입대상이 아닌 근로자에게만 적용되는 취업규칙의 불이익변경시 그 근로자 과반수의 동의를 얻어...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