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 227개를 찾았습니다

  • 해외 파견근무중인 근로자의 연차휴가 부여를 위한 출근율 산정방법
    해외 파견중인 근로자의 연차휴가 당사의 직원을 당사에 투자한 해외법인에 일정기간 파견시 정당한 연차 적용기준을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아래의 파견조건인 경우 연차 적용 기준(개근 가정) 1. 휴직기간과 같이 국...
    상담소 | 2008-09-25 06:46 | 조회 수 20266
  • 용역업체, 파견업체 근로자의 연차휴가는 누가 부여해야 하나요?
    저희가 A라는 회사와 용역계약을 맺고, 그 업체에서 인력이 파견되어 당사에서 상주하면서 유지보수 서비스 업무를 하고 있습니다. 계약 기간은 1년이구요. 컨텐츠진흥원에서 제시하는 기술단가에 맞추어, 용역금액을...
    상담소 | 2005-03-08 17:21 | 조회 수 23962
  • 제조업에서 파견근로자를 사용할 수 있나요?
    제조업에서 파견근로자를 사용할 수 있나요? 파견법(파견근로자 보호등에 관한 법률)을 공부하던 중, 5조에서 말하는 대상업무 중에서 제조업의 직접 생산 공정업무는 제외한다고 명시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주변에 ...
    상담소 | 2005-02-18 17:33 | 조회 수 13848
  • 파견근로자에 대한 주40시간제 적용기준
    파견근로자에 대한 주40시간제 적용기준 다름이 아니오라, 주 5일제 실시와 관련해서 파견근로자의 년차휴가 사용일 수에 대해서 궁금해서 문의드립니다. 사용사업체의 주 40시간 근무제(주 5일 근무) 실시에 따라 파...
    상담소 | 2005-01-31 11:40 | 조회 수 13189
  • 파견직 계약기간 만료시에 출산휴가에 들어가있다면 어떻게... [1]
    저는 지금 파견직사원으로 근무를 하고 있고 파견직 특성상 6개월계약후 1년을 다시 재연장한 근로자입니다 다시 재연장한 기간이 03.1.25~04.01.25 기간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지금 임신중임을 알았고 03.11.30일경...
    | 2003-04-17 16:50 | 조회 수 13433 | 추천 수 2
  • ☞도급법에 대하여 문의 합니다.(불법파견과 도급의 차이)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사업장내에서 도급(위탁)을 가장한 불법파견이 종종 발생하고 있습니다. 도급이라는 명칭을 쓰면서 실제 파견형태로 근무를 하는 경우 노동부의 판단기준...
    상담소 | 2008-08-29 11:53 | 조회 수 8521
  •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파견법)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파견법)
    노동OK | 2001-01-07 01:05 | 조회 수 57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