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11.27 18:00
안녕하세요. 김지영 님, 한국노총입니다.

큰 사고로 가족들 모두 심려가 크시겠습니다.

근로자가 업무를 수행하다 과실로 동료근로자를 사망케한 경우, 민사적으로는 근로자 과실에 따른 직접 손해배상 책임을 져야 합니다. 다만, 사업주는 그 근로자에 대하여 지휘, 감독의 책임이 있으므로 그 근로자와 연대하여 책임을 지게 되니다. 따라서 근로복지공단을 상대로 산재처리를 하는 것이 시급하겠습니다. 공단에서 보험급여로 지급되는 것만큼 근로자와 사용자의 책임이 면제되며, 그 이상의 손해에 대하여 피해자의 유가족이 손해배상청구를 해온다면 법원의 판결에 의해 손해를 배상해야 합니다. 다만, 산재법상의 1순위자 및 민법상 상속권자와 합의가 된다면(보통 "본건으로 인하여 민.형사상의 일체의 청구를 하지아니한다"는 부재소특약 및 권리포기조항을 삽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소송이나 형사상 법적 다툼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법적 절차를 진행함에 있어서 변호사 등 법률전문가와 면밀히 상담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주40시간근로 쟁취!>를 위한 저희 한국노총의 투쟁에 지지를 부탁드리며, 즐거운 하루되시길....



김지영 님께서 남기신 상담글입니다.
> 아버님이 회사에서 크레인 운전을 하다가 다른 직원을 사망하게 하였습니다.
> 이럴경우 회사와 아버님과의 책임문제는 어떻게 되는지요?
> 산업재해와 별도로 가해자가 법적으로 구속되고 손해보상등을 해야하는지요?
> 정말 급한문제입니다.
> 답변 꼬옥 부탁드립니다.
>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답변】 일용직 노동자입니다 2002.11.27 421
받지 못한 월급을 가압류 했거든요. 2002.11.27 592
【답변】 받지 못한 월급을 가압류 했거든요. 2002.11.27 478
계약서에 대하여.... 2002.11.27 545
【답변】 계약서에 대하여.... 2002.11.27 344
특별상여금 2002.11.27 407
【답변】 특별상여금 2002.11.27 429
8년동안 근무한 댓가가........... 2002.11.27 414
【답변】 8년동안 근무한 댓가가........... 2002.11.27 353
시간당 아르바이트생입니다 2002.11.27 439
【답변】 시간당 아르바이트생입니다(최저임금법 위반 사업장입니... 2002.11.27 1833
답변고맙습니다 2002.11.27 325
【답변】 답변고맙습니다 2002.11.27 345
하루차이 퇴지금 2002.11.27 450
【답변】 하루차이 퇴지금 2002.11.27 483
외국회사에서의 해고시.. 2002.11.27 567
【답변】 외국회사에서의 해고시.. 2002.11.27 1432
실업급여에 관한 질문(필독..요망!!) 2002.11.27 437
【답변】 실업급여에 관한 질문(필독..요망!!) 2002.11.27 480
수습기간 중 사직하려고 하는데 문제가 있어요. 2002.11.27 1216
Board Pagination Prev 1 ... 4763 4764 4765 4766 4767 4768 4769 4770 4771 4772 ... 5863 Next
/ 58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