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04.07 09:21

안녕하세요 ldk0921 님, 한국노총입니다.

1주의 소정근로일에 결근일이 있는 경우에는 당해 1주의 소정근로일에 개근하지 아니한 것이므로 근로기준법 제54조에서 정한 유급주휴일이 부여되지 않아도 위법하지 않습니다.

참고) 근로기준법 제54조 【휴일】
사용자는 근로자에 대하여 1주일에 평균 1회이상의 유급휴일을 주어야 한다.
같은법 시행령 제25조 【주휴일】
법 제54조의 규정에 의한 유급휴일은 1주간의 소정근로일수를 개근한자에게 주어야 한다.

관련 노동법 조항에 대한 검색은 노동법령 검색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상 노동OK입니다. 즐거운 하루되시길....



ldk0921 님께서 남기신 상담글입니다.
> 시급근로자의 경우는 1주의 소정근로일을 근무하지 못한경우(즉 결근이 있는 주)는 주휴를 무급으로 부여함이 타당한 것인지요
>
> 질문 26927번 답변내용
>
> 1. 근로기준법에서 정한 각종 근로조건 등에 있어서는 근로계약의 형식(시급제,월급제,일급제,연봉제)에 따라 각각 달리 적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시급제근로자라고 하더라도 1주의 소정근로일수 또는 1월의 소정근로일수 및 1년의 소정근로일수에 개근한 경우에는 근로기준법 제54조에서 정한 주휴일과 제57조에서 정한 월차휴가 및 제59조에서 정한 연차휴가를 부여함은 당연합니다.
>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답변】 받을수 있는지 알아봐 주세요. 2003.04.08 342
회사에서 고의부도일경우엔.. 2003.04.07 371
【답변】 회사에서 고의부도일경우엔.. 2003.04.08 624
체불임금때문에 진성서를 냈긴 냈는데요. 2003.04.07 369
【답변】 체불임금때문에 진성서를 냈긴 냈는데요. 2003.04.08 386
[문의]입사예정일부터 입사일까지 임금 2003.04.07 525
【답변】 [문의]입사예정일부터 입사일까지 임금 2003.04.08 796
상급자 지시에 의한 업무책임의 범위? 2003.04.07 850
【답변】 상급자 지시에 의한 업무책임의 범위? 2003.04.08 872
추가질문... 2003.04.07 404
【답변】 추가질문... 2003.04.08 375
퇴직금문의 2003.04.07 438
【답변】 퇴직금문의 2003.04.08 729
도와주세요 2003.04.07 436
【답변】 도와주세요 2003.04.08 354
사업장이 없어지면 체불임금은.. 2003.04.07 535
【답변】 사업장이 없어지면 체불임금은.. 2003.04.08 578
퇴직금지급에 대해서.. 2003.04.07 365
【답변】 퇴직금지급에 대해서.. 2003.04.08 372
주 56시간 근무시간은 어떻게 평가를 하는지요? 2003.04.07 865
Board Pagination Prev 1 ... 4510 4511 4512 4513 4514 4515 4516 4517 4518 4519 ... 5862 Next
/ 58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