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04.07 12:02

안녕하세요. gaggirl 님, 한국노총입니다.

1. 계약직에서 정규직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근로관계의 단절이 없었고, 단지 근로형태만 변경된 것에 불과하다면 계약직으로 최초 입사한 날부터 최종 퇴사한 날까지 1년 이상이라면 퇴직금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2. 다만, 근로기준법 제34조의 퇴직금은 상시 근로자 5인 이상인 사업장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귀하가 재직하던 기간 동안 5인 이상이었다면 그 기간이 1년 이상이면 되므로 현재 갑작스럽게 5인 미만으로 떨어지고 계속해서 5인 미만이 된다면, 5인 이상이었던 기간에 대해서만 퇴직금이 산정됩니다. 그러나 5인 미만과 5인 이상이 들쑥 날쑥한다면 평균적으로 보아 5인 이상일 때 전체 기간의 계속근로연수에 대한 퇴직금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3. 체불임금 해결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곳 온라인상담실을 통해 자세히 설명하기가 부족하여 별도의 코너를 마련해놓고 있습니다.
【임금체불 해결방법】코너를 참조하면각 사례별로 유용한 정보를 얻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
필요한 경우 전체자료를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자세한 해설을 참조로 유용하게 활용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관할 노동부는 【이곳】에서 검색할 수 있습니다.

관련 노동법 조항에 대한 검색은 노동법령 검색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상 노동OK입니다. 즐거운 하루되시길....

gaggirl 님께서 남기신 상담글입니다.
> 저는 경력이 있어서 인턴이 아니라 계약직으로 4개월을 근무하고 계약연장이 아닌 정직원이 되어서 9개월을 근무했습니다.
> 퇴직금을 받으려면 1년이상 근무해야 한다고 알고있는데..계약기간을 포함하면 일년하고도 일개월을 더다녔는데 계약직도 포함이 되는건지 알고 싶습니다
> 계약직으로 있는기간은 포함이 안되는건지..그럼 퇴직금을 받을수 없는건지도 궁금합니다.
> 그리고 저희회사가 어려워 임금이 채불되어있습니다.
> 회사에서 그만두라고는 직접 안해도 돌려서 다른자릴 알아봐주고 있다느니 하며 그만두라는 말을 돌려 하고 있고 제가 나가는건 이미 기정사실되어버렸습니다.
> 저보다 먼저 그만둔사람들도 그런식으로 쫒기듯 나가게 되어서는 밀린 급여를 몇개월이 지났는데도 못받고 있습니다.
> 싸이트를 돌아보니 임금채권보상이라는게 있던데 회사가 도산했을경우 밀린급여나 퇴직금을 나라에서 대신 우선 주는거같은데 맞는지 궁금합니다
> 그리고 저희회사는 법인인데..상장되진 않았고 두달전,,아니 한달전만해도 사람이 더 많았는데 지금은 사장을 합해서 5인 입니다.
> 5인 미만의 사업장에서도 그런걸 받을수 있는건지.5인미만 된지가 한달정도 밖에 안되었는데도 퇴직시기가 늦어서 해택을 못볼까 걱정스럽습니다
> 퇴직금과 밀린 급여를 받을 방법은 무엇이 있는지..
> 전에도 회사에서 급여를 밀린채 그만두어 노동부에 신고한적이 있는데..무성의하고 귀찮은듯..삼자대면이라고 감독관이 사업주와 저희를 불러 날짜를 정하고 그쪽에서 돈없다며 안주자 그냥 노동부 일은 끝났다며 민사를 하라고 했습니다.
> 그래서 법적으로 전혀 모르는 제가 법원에 있는 무료 변호사를 찾아 발로 뛰어야 했고 시간과 돈도 많이 들여야했습니다.
> 결국 민사소송을 준비하여 송장까지 다 해놓고 나니 그쪽에서 돈을 주어 흐지부지 돈과시간만 들이고 끝났습니다
> 회사에서 이미 부도 날 준비를 어느정도는 하는거 같은데..
> 그렇게 되면...돈도 없지만 있어도 다 자기들이 챙기지 않겠습니까?
> 그래서 나라에서 대신 받을수 있다면 좋겠는데여
> 그리고 저희가 노동부에 신고를 안하고 기다려주다가 부도가 나도 은행보다 노동자가 먼저 권한을 갖는지도 궁금합니다.저희가 미리 신고를 해놔야만 받을수있는건지...
> 그리고 제가 밀린급여와 퇴직금 그리고 실업급여까지 받으며 재취업을 준비할수있는지등 너무 궁금합니다
> 저뿐 아니라 저희회사를 다니던 많은 사람들이 지금 같은 문제를 궁금해하고 도움을 필요로 하고 있습니다
> 조속하고 자세한 답변좀 꼭 부탁드립니다.
>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조기 재취직 수당 관련문의 2003.04.08 371
【답변】 조기 재취직 수당 관련문의 2003.04.10 494
무급휴가관련 상담 2003.04.08 606
【답변】 무급휴가관련 상담 2003.04.10 878
비정규직 사원의 육아휴직에 대해서 알고싶습니다. 2003.04.08 441
【답변】 비정규직 사원의 육아휴직에 대해서 알고싶습니다. 2003.04.10 417
출산휴가및 육아휴직에 관해 2003.04.08 375
【답변】 출산휴가및 육아휴직 (출산휴가급여와 육아휴직급여를 ... 2003.04.10 935
퇴직금에 관해서.. 2003.04.08 362
【답변】 퇴직금에 관해서.. 2003.04.09 346
이런 경우에 저희가 불리하게 되는건가요?? 2003.04.08 360
【답변】 이런 경우에 저희가 불리하게 되는건가요?? 2003.04.09 374
어떻게 해야하나여..?? 2003.04.08 330
【답변】 어떻게 해야하나여..?? 2003.04.09 328
급작스런 해고통보 절박합니다.. 2003.04.08 355
【답변】 급작스런 해고통보 절박합니다.. 2003.04.09 418
도와주세요... 2003.04.07 369
【답변】 도와주세요...(월급에서 일정액을 퇴직금으로 적립하는 ... 2003.04.09 893
출산휴가90일동안 회사로부터 급여를 모두 받았으면 정부로부터 ... 2003.04.07 1090
【답변】 출산휴가90일동안 회사로부터 급여를 모두 받았으면 정... 2003.04.08 849
Board Pagination Prev 1 ... 4510 4511 4512 4513 4514 4515 4516 4517 4518 4519 ... 5863 Next
/ 58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