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니 2013.10.08 09:43

안녕하세요.

저는 약3년동안 대학 방학 기간에 한두달씩 약 100명정도 일하는 제약회사에

용역 주식회사를 통해 주5일근무 하루 8시간씩 일해왔습니다. 3년마다 방학시즌에 다닐동안 시급5천원씩 받고, 간혹 토요일도 근무하곤했습니다.

처음알바시에만 근로계약서를 썼고, 그 다음년도 알바시에는 작성하지않았습니다. 썼던거 기록이 있다고요.

이번에는 학교 졸업후, 한달반정도 일하였는데, 주휴수당이 매년나오지않아 여기저기 찾아보니 나오는것이 맞는것같아

주말에 회사에 문의하니 주휴수당받는 게 맞다더라구요. 그래서 들어온적이 한번도 없다고 말씀드리니

이번주에 회사가서 근로계약서 확인해보고 연락준다더니 갑자기 연락두절상태네요.

이 경우, 주휴수당받는것이 맞나요?

그리고 근로계약서에 주휴수당지급하지않는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을까요?

안준다면 노동부신고는 복잡할까요?

번거롭겠지만 상세답변부탁드릴게요.

이 회사에서 일하는동안 손목을 많이써서 인대가 늘어나서 한 손이 깁스중이라

회사를 찾아갈 수도 없는 상황이라서요.

참, 그리고 삼년동안은 유효하다던데, 밀린거 다 받을 수 있나요?

따로 일수를 적지않아서 작년,제작년 일한 일 수는 저한테 따로 기록은 없는데요..

 

Extra Form
성별 여성
지역 충북
회사 업종 제조업
상시근로자수 50~99인
본인 직무 직종 생산직
노동조합 없음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13.10.08 14:28작성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4주 평균 1주 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인 근로자는 1주당 소정근로시간(사용자와 근로계약으로 근로를 제공하기로 한 시간)을 만근할 경우 주휴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 이는 근로기준법 제 55조의 주휴일 지급의무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위의 조건을 충족하는 근로자에게 주휴수당을 지급하지 않을 경우 해당 근로자는 사업주에게 주휴수당의 지급을 요구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이를 거부할 경우, 관할 고용노동지청에 해당 기간 동안 받을 수 있었던 주휴수당을 체불임금으로 보고 체불임금 진정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귀하의 경우, 사용자에게 근로기준법 제 55조에 따라 1주 만근시 1일의 주휴일을 지급해야 된다는 점을 근거로 주휴수당의 지급을 요구하시고, 사용자가 이를 거부할 경우 관할 고용노동부에 체불임금 진정을 하시기 바랍니다.

     

    임금채권의 소멸시효는 3년이기 때문에 3년 이내의 귀하가 받을 수 있었던 주휴수당에 대해 지급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근로계약당시 주휴수당을 받지 않겠다고 근로자가 동의했더라도 이는 근로기준법에 위반되는 계약이기 때문에 무효입니다.

     

    진정 절차는 간단합니다. 고용노동부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본인인증을 하시고 사업주를 피진정인으로 진정내용을 접수하십시오. 그리고 근로감독관으로 부터  출석통보가 오면 관할 고용노동지청을 방문하여 귀하가 받아야할 주휴수당액을 설명하시면 됩니다.

    다만, 귀하가 해당 기간에 근로를 제공했다는 점을 입증하셔야 합니다. 입증방법은 해당 사업장에 출퇴근 기록이나 급여지급내역등을 활용하시면 됩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임금·퇴직금 1년 미만 퇴직시 연차 수당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1 2013.10.19 1177
임금·퇴직금 통상임금 위반 소급 청구 절차 1 2013.10.18 1295
임금·퇴직금 퇴직금 포함 식비의 실비변상적 급여 판단 기준 1 2013.10.18 3877
임금·퇴직금 4개월째 급여 미지급에 퇴사도 시켜주지 않는다면.. 1 2013.10.17 1778
임금·퇴직금 일용직 퇴직급여 계산방법이 궁금합니다. 1 2013.10.17 3429
임금·퇴직금 월소정근로와 통상임금즘 부탁드립니다 1 2013.10.17 1284
임금·퇴직금 날짜 급여계산법 1 2013.10.17 7541
임금·퇴직금 수습기간 최저임금 1 2013.10.17 2530
임금·퇴직금 체불임금관련 노동부 진정 1 2013.10.17 1241
임금·퇴직금 근로시간면제자 임금 2 2013.10.17 1340
임금·퇴직금 야근사전승인 시스템이 없는 회사에서 야근했다면 자발적근로로 ... 1 2013.10.17 3931
임금·퇴직금 휴직중 퇴직시 퇴직금 산정기간에 포함되나요? 1 2013.10.16 1418
임금·퇴직금 취업규칙 예외(차별) 적용 ? 1 2013.10.16 894
임금·퇴직금 퇴직금계산시 포함되는 연차수당 2 2013.10.16 1754
임금·퇴직금 정규입사자 상여금 차이 2 2013.10.16 761
임금·퇴직금 아르바이트 임금문의입니다 1 2013.10.15 529
임금·퇴직금 퇴직금받을수있는지궁금합니다 1 2013.10.15 651
임금·퇴직금 퇴직금관련문의입니다. 1 2013.10.15 630
임금·퇴직금 퇴직연금 사업자 변경시 협약 신고 2 2013.10.15 3854
임금·퇴직금 퇴직금 미지급관련해서 지급명령을 신청했습니다. 1 2013.10.15 1695
Board Pagination Prev 1 ... 635 636 637 638 639 640 641 642 643 644 ... 927 Next
/ 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