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소 2004.10.08 10:36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1. 귀하의 글은 잘 읽어 보았습니다. 먼저 실업급여를 받으면서 3개월 동안 무임으로 일을 하는 것은 엄연히 근로기준법 위반입니다. 실업급여의 경우 근로자가 어쩔수 없이이직되었을 경우 생활을 안정을 기반으로 하여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지급되는 것입니다. 더불어 실업급여의 경우 구직활동을 한 것을 입증할 만한 자료를 2주마다 고용안정센터에 제출하고 그 자료들이 인정되어야 실업급여가 지급되는 것이므로 귀하의 사업장의 사장이 말한 방식으로 실업급여를 탔을 경우 부정수급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업급여제도에 관한 보다 자세한 해설은 <실업급여 해결방법> 코너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3개월 동안 무임으로 일하라 하는 말에 대하여 당사자 간에 합의를 했다해도 그것은 근로기준법에 위바되는 것으로 효력이 없습니다. 당연히 일한 만큼의 임금을 받아야 하는 것이고요. 회사의 경영사정이 어렵다는 것도 물론 중요하기는 하지만 근로자의 유일한 생계수단인 임금을 지급하지 않고 근로를 제공하라는 것은 말이 않되는 부분입니다.

3. 귀하께서는 먼저 "나는 회사를 그만둘 의사가 없으며 실업급여를 받으면서 일하는 문제는 부정수급의 문제에 걸릴수 있는 부분이기에 그러한 형식으로 근로를 제공하지 않겠다."라는 의사를 밝히시고, 인원정리를 하려면 차라리 해고를 하라고 하십시오. 귀하의 사업장의 경우와 같이 회사의 경영상의 이유로 해고 하는 것을 "정리해고"라고 합니다. 정리해고의 경우 근로자의 귀책사유로 인하여 해고하는 것이 아니기에 까다로운 조건을 충족하여야 정당항 정리해고로 됩니다. 그 요건들은 다은과 같습니다. 무작정 정리해고가 가능합니까? ( 정리해고의 요건과 절차 ) 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위의 요건들을 하나라도 충족하지 않았을 경우 이는 부당한 정리해고로 됩니다. 이에 대한 해결 방법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부당해고에 관한 보다 자세한 해설은 부당해고 해결방법 코너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4. 그리고 실업급여의 경우 사장이 일방적으로 타지 못하게 할 수는 없습니다. 그 이유는 근로자가 퇴직할 경우 회사에서 퇴직한 근로자의 이직사유서에 이직사유를 쓰고 그 이유를 기본으로 하여 실업급여의 수급자격여부를 판단하기는 하나 그 이직사유가 사실이 아닐 경우 근로자 본인이 사업장의 관할하는 고용안정센터에 찾아가셔서 "고용보험피보험자 관리내용 정정요청서"로 이직사유의 수정이 가능하기에 이부분에 있어서는 크게 염려하시지 않아도 됩니다.

5. 귀하의 퇴직금의 경우 단순히 연봉제라 그리고 퇴직금이 없다는 약정하였다고 없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다음의 조건에 충족하게 연봉계약을 체결하였는지를 살펴보시고 퇴직급에 대하여 판단하여 보시기 바랍니다. 현행 근로기준법이 유지되는 한임금제도의 변형에 불과한 연봉제가 여타의 법상 근로조건에 영향을 미칠 수는 없습니다. 다만, 그 운용에 있어 연봉계약서에 퇴직금이 얼마라고명백히 정해져 있고 이것을 매월 월봉과 함께 지급한다거나, 1년마다 중간정산하는 것은 해석상 법정퇴직금을 지급한 것으로 본다는 것이 노동부의행정해석입니다.

연봉제도에 관한 보다 자세한 해설은 https://www.nodong.kr/ybong 코너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직장인들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저희 회사는 7명이 근무하는 작은 회사입니다.
>경기가 좋지 않아 매출이 급속하게 떨어지자 10월 1일 사장님께서는 6명의 직원을 9월 30일자로
>퇴사처리하겠다고 하셨습니다.
>6명의 직원을 퇴사처리하고 실업급여을 받으며 3개월동안 무임으로 근무를 하던지 다른 회사를 알아보라고
>하시더라구요.
>
>내년 1월에 회사 사정이 좀 나아지면 다시 연봉협상을 하는 걸루 하구요.
>그중 저와 다른 직원 한명이 그만 두기로 하였는데 이제 와서 자기는 전 직원들이 실업급여를 받으며
>일을 할 줄 알았다고 하시면서 실업급여를 못 받게 하겠다고 하시네요..
>다른 4명의 직원들은 실업급여를 받으면서 그대로 회사를 다니는 겁니다.
>저는 10월 8일까지 근무하기로 하였는데 아직 전 직원 모두 퇴사처리는 안 되어 있습니다.
>이런 경우 정말 사장님 말씀대로 회사에서 처리를 안해주면 실업급여를 받을 수 없는건지 궁금합니다.
>
>또한 저희 회사는 연봉제라 퇴직금이 없는걸루 계약서에 되어있습니다.
>4년 정도 근무를 하였는데 퇴직금을 정말 받을 수 없는건지 궁금하구요..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임금·퇴직금 직업소개소와..사업주의 말이 다릅니다 ;; 삭감과 체불 ;; 2006.06.19 1134
임금·퇴직금 최저임금 적용여부 2006.06.19 660
임금·퇴직금 수당과 연월차문제에 관한 질문입니다. (3개월 계약직) 2006.06.22 1063
임금·퇴직금 너무 비참한 마음에 글 올림니다. 2006.06.20 759
임금·퇴직금 포괄산정 임급제의 추가근무수당의 여부... 2006.06.16 1162
임금·퇴직금 퇴직금 정산문제(계산 잘못으로 미달한 퇴직금) 2006.06.16 1145
임금·퇴직금 산전후휴가후 퇴직시 평균임금(특별한 경우의 평균임금과 상여금 ... 2006.06.16 1287
임금·퇴직금 56828번의 재질문입니다. 답변부탁드립니다.. 2006.06.13 562
임금·퇴직금 사우회 명목으로 급여에서 일정액(일방적인 사우회비 공제) 2006.06.16 7149
임금·퇴직금 퇴직시 연월차 수당 정산 2006.06.15 1271
임금·퇴직금 저와 같은경우 퇴직금을 받을수 있는지요.. 2006.06.15 714
임금·퇴직금 휴업수당에 대하여..(임금총액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 판단기준) 2006.06.15 1404
임금·퇴직금 퇴직금 정산 문의입니다. 인상되었을 경우 2006.06.15 811
임금·퇴직금 퇴직금중도정산을 회사에서 일방적으로..(퇴직금이 포함된 임금계약 2006.06.15 1088
임금·퇴직금 근로자의 일방적 퇴사..회사에서 처리 안할경우 (퇴직금 불이익??) 2006.06.15 3259
임금·퇴직금 부도로 폐업시 체불임금으로 가능한지? 2006.06.13 1138
임금·퇴직금 퇴직금을 받을수 있나요? 2006.06.13 914
임금·퇴직금 육아휴직후 5개월 지난후의 평균임금 산정방법에 대한 문의 2006.06.13 1165
임금·퇴직금 퇴직금 중도정산...(중간정산이후 퇴직시 1년미만 잔여퇴직금) 2006.06.13 2741
임금·퇴직금 2003년에 있던 일인데...(임금체불) 2006.06.12 652
Board Pagination Prev 1 ... 919 920 921 922 923 924 925 926 927 928 Next
/ 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