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소 2006.07.06 12:02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1. 업무중에 사고가 발생하여 사업주에게 손해가 발생하였다 하더라도 이를 근로자에게 전부 책임을 물을 수는 없습니다. 과실의 고의성여부를 따져서 귀하의 직책과 잘못한 과실 정도에 따라 일부 책임만 물을수 있습니다. 사고로 인하여 인상된 보험료를 귀하에게 전과시키는 것은 위법하다 볼수 있습니다. 업무 중 배송품이 파손되는 것에 대해서도 위와 동일하게 보시면 됩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 → <각종상담사례> → <근로계약> → 1번 게시물 【손해배상】업무상 발생한 손해금은 배상해야 하나? 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퇴직금은 5인이상 사업장에서 1년이상 근무시 발생합니다. 귀항가 9월 10일에 입사하였다면 06년 9월 10일이후 퇴사시 발생하게 됩니다.

3. 일에 대한 대가인 임금을 동의없이 삭감하는 것은 위법적인 문제가 되지만 실비변상조의 금품(근로에 대한 대가가 아닌 수당)은 임금으로 보지 않기 떄문에 이를 삭감 또는 미부여 한다 하더라도 이를 위법하다 볼수는 없습니다.

4. 근로자가 결근을 할 경우에는 그에 대한 임금공제는 가능합니다. 귀하가 최초계약시 출퇴근을 약정한 시간외에 근무를 할 경우에는 연장근로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 귀하가 계약 당시 연장근로를 포함한 근로계약을 체결하지 않았다면 초과분에 대한 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 이에 대한 수당을 청구할 경우에는 귀하가 연장근로를 하였다는 것을 입증할 책임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귀하가 실제 근무한 시간을 입증할 수 있는 자료를 취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5. 6개월이상 근무한 근로자를 해고할 경우에는 30일전에 해고예고를 해야 합니다. [근로기준법 32조 해고예고] 갑작스럽게 해고를 한다면 30일치의 해고예고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

6. 고용보험 가입내역을 직접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노동부 고용보험 관련 상담실 전화번호는 다음과 같습니다. 1544-1350

직장인들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p업체에서 배송일을 합니다. 궁금한 점은
>
>1. 운전중에 접촉사고가 났습니다. 보험처리를 했고 그 당시에 사장이 잘했다 본사에 항의전화가는 것보다 낫다고 했습니다. 근데 요즘에 자꾸 나가라는 투로 이야기하면서 오른 보험료의 일부를 저에게 전가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배송중에 파손되는것도 무조건 손해배상을 하게 한다고 공개석상에서 이야기합니다.
>예전에도 하는 업무를 꼭 집어서 이야기하면 다른 사람도 며칠 못견디고 그만두었는데 절 그만두게 하려고 그러는거 같습니다.
>
>2. 9월 10일이면 1년인데 퇴직금을 받을려면 얼마나 근무해야 하나요?
>퇴직금 안주려고 하는 수작인데 꼭 받고 싶습니다.
>
>3. 처음 고용조건에 전화요금 3만원지원금이 있었습니다 그것을 없앴다고 합니다,
>동의없이 그렇게 할 수 있나요?
>
>4. 결근을 하면 하루 일당 칼 같이 제하는데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출근시간이 아침 7시이고 퇴근 시간이 오후 5시 30분쯤 되는 데 본사에서 물건이 내려오면 새벽 4시에도 나가고 저녁에 8~9시에도 퇴근합니다. 물론 출퇴근시간을 같고요 그러면 원래 시간 수당을 주지 않습니까?
>
>5. 제 직장동료가 옆집 사장하고 우리 사장하고 술마시면서 들었다고 하던데 절 자르겠다고 하더군요 그리고 요즘 계속적으로 공개적으로 면박을 주고 자존심상하게 합니다. 적성에 안맞으면 나가라는 식으로 만약에 해고당하게 되면 어떻게 됩니까 예고없이 나가라고 하면 아닌 며칠 유예기간을 두고 나가라고 하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
>6.. 국민연금과 의료보험을 내면 고용보험도 내고 있는겁니까?
>
>
Extra Form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임금·퇴직금 임금을 적게 받았어요...답변부탁드립니다. 2006.06.30 627
임금·퇴직금 출산휴가랑 출산후 실업급여를 받을지(출산휴가 직후 퇴직하면..) 2006.07.01 3166
임금·퇴직금 퇴직금 평균임금 산정시 일숙직비 포함여부 2006.07.01 2319
임금·퇴직금 외국인노동자 임금채권보장제도 2006.07.01 945
임금·퇴직금 일용직 임금관련,,문의 (병원 청소업무자의 최저임금과 퇴직금) 2006.07.01 1537
임금·퇴직금 체불임금과 해고수당에 관해서.. 2006.07.02 628
임금·퇴직금 퇴직금 정산시 연차수당문의? 2006.07.02 920
임금·퇴직금 출근율에 따른 상여금 지급시 휴직기간 처리문제 2006.07.02 966
임금·퇴직금 퇴직금 문의... (배달기사의 근로자성 인정여부) 2006.07.03 1332
임금·퇴직금 (퇴직금) 평균임금 산정시 상여금의 적용시점 2006.07.03 1109
임금·퇴직금 주40시간제 시행에 따른 임금보전방법 (연봉제의 경우) 2006.07.03 1084
임금·퇴직금 안녕하세요.. 궂은 날씨에 수고 많으십니다.. 2006.07.03 569
임금·퇴직금 정확한 퇴직금액은?(재직기간중 5인미만으로 될 경우) 2006.07.04 630
임금·퇴직금 중간정산자가 퇴직시 퇴직금산정기간? 2006.07.04 1142
임금·퇴직금 몇일전 병원근무 어머니글 추가 질문드립니다. 2006.07.04 593
임금·퇴직금 실근로회사와 명목(등록)회사의 다를시 퇴직금 청구대상 2006.07.05 775
임금·퇴직금 결근시 주휴일 공제 2006.07.05 1265
» 임금·퇴직금 근로중 발생한 손해 임금에서 벌충한다고 하던데 맞나요 2006.07.06 710
임금·퇴직금 비정규직 학교회계직원 출산휴가 끝남과 동시에 퇴직시 퇴직금계... 2006.07.06 1380
임금·퇴직금 결근시 주휴일 공제 2차 2006.07.06 151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928 Next
/ 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