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ams 2015.01.29 11:04

요즘에 회사에서 부당한 인사조치와 태도들에 고통 받고 있어,

혹시라도 도움을 받을 수 있을까 문의드립니다.

현재 입사한지는 11개월 정도되었고, 약 30명 규모에 작은 회사 입니다.

저는 경영지원 소속에 인사담당자이고, 제 위에 경영지원 업무를 총괄하시는 부장님이 계십니다. (대표님 친구분이고, 그런 개인적인 관계로 들어와 일하고 계십니다.)

회사생활에 있어, 부장님과 일하기 어려운 업무적 구조와 애로사항이 있어
(업무 태만, 불 명확한 업무 지시, 부서 운영 등)
대표님과 이사님께 공식적으로 면담을 요청하여 부서 재배치 또는 다른 대안에 대해 여쭤봤습니다. 별다른 대처 없이 부서에서 해결하라는 위험하고도, 부책임한 결론을 맺고 사건에서 빠지셨습니다. 그 뒤 후폭풍이 장난 아니네요.

덕분에 갈등의 핵심인 부서 안에서 부장님과 진흙탕 싸움에 최대 갑질에 휘둘리고 있습니다. 부장님은 대표 면담 통해 자신의 치부를 고발했다고 불쾌해 하시며,

1. 이직조용
2. 업무축소 및 방치 (일이 아예 의도적으로 안옴)
3. 인사평가 불이익 (최저 등급 / 업무 성과 상관없이 부장 권한으로 임의 지정)
4. 언어 (비꼼, 비야냥)로 인한 정신적 폭력을 행사

이런 불이익과 부당함에 건의 할 수 있는 조직 구조나 방법이 없고.. (윗선에선 머리아파 빠지시고 부서에서 해결하기 원하시는데.. )

공식적으로 제가 회사 차원에서 어떤 잘못해 대해 징계를 받는 것도 아니고, (징계위원회, 없습니다. 그런게 있었음 부장님이 먼저.. 노조도 없어요 ) 상급자에 의한 의도적이고 부당한 불이익에 대해서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아직 퇴사를 표현한 상태는 아니고요
징계위원회를 통해 공정한 책임을 물을 수 있는 장치가 있는 것도 아니고,
노사를 통해 근로자가 보호받을 수 있는 장치가 있는 것도 아닌 이런 구조에서 어떻게 해야하는지 답답합니다.

사실 관리자들 대부분이 대표 친척, 친구, 후배 등이고요..

관리자 외 구성원들의 경우, 이런 부조리함을 직,간접적으로 경험하고 모두 분노하고는 있지만,

어떤 액션이나 움직임을 선뜻 나서 하기 조심스러워하더라고요.


궁금한건 이런 회사에 행사에 대해 법이나 제도적으로 벌금 또는 처벌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사실 퇴사는 하고 싶고요, 앞으로 재배치해서 다닌다고 해도, 저 부장님 계신 한 제가 더 다니며, 안전을 보장받기는..;;  

아 정말 마음같아서는, 국가 지원금 받으려고 거짓 행정처리 하고 했던거 다 고발하고 싶습니다.


(얼마 전, 돌아다니는 글에 작은 회사 경리 부당해고 했다가, 회사 세금 문제 털려서 엄청 벌금 물었다는 글 본적 있는데- 아-)


제가 점점 감정이 격해져서, 이야기가 두서 없네요.
어떤 식으로든 도움 받고 싶습니다.


Extra Form
성별 여성
지역 서울
회사 업종 제조업
상시근로자수 20~49인
본인 직무 직종 사무직
노동조합 없음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2'


  • 평범한1인 2015.01.29 16:45작성
    저와 같은 처리인지라 글을 읽는데 화가 치밀어 오르네요....
    저 역시 업무배제, 퇴직권고 등으로 부당대우를 받고 있어, 답답한 마음에 도움 받고자 여기에 글을 올려 볼까 했는데.. 정말 희망의 답글이 올라 왔으면 좋겠습니다.

    제의 얕은 지식으로는 회사에서 부당한 조치를 했다는 증거가 없으면 법에 호소를 할 명분이 없습니다.
    예를 들어 해고통보를 했다면 해고통보서를 가지고 노동위원회에 신고할 수 있구요. 그래봤자 복직 아니면 다른 보상으로 상호간 합의로 퇴직을 마무리 하겠죠.
    부당한 대우에 대한 증거확보는 어려워 해고를 하지 않는 이상, 회사와 법적으로 대응하기란 쉽지 않는것 같습니다.
    약자만 억울할 뿐이죠...
  • 상담소 2015.02.13 16:01작성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현행 법률상으로는 직장상사의 상식에서 벗어난 업무지시나 폭언등을 제한하고 있는 명문규정이나 현실적인 제재방법은 없습니다.

    노동부에서는 직장상사의 부하직원 괴롭힘에 대해 대책을 세우도록 각 사업장에 지도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특별한 대책을 세우고 있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다만,직장상사에 의한 괴롭힘이 구체적인 폭언·폭행, 공갈·협박 등으로 나타날 경우 이는 형법 위반에 해당하며 사업주가 이를 이유로 개인을 해고하거나 부당하게 전직·전보시킨 경우 근로기준법 위반으로 대응하실 수 있습니다.


    우선 사업장 자체내 기업질서를 정하고 있는 취업규칙(사규)을 확인하시어 고충처리 절차가 있다면 이를 통해 상사의 행위에 대한 고충처리 해결을 요구하시고 이를 요청했다는 구체적은 증거들(사용자에게 발송한 고충처리 요청 서류나 이메일등)을 확보해 두시고

    사용자에게 상사의 괴롭힘을 방지하거나 그 가해자에 대한 징계조치를 요청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상시적으로 상사의 폭언등에 대해서는 녹취등을 통해 증거를 확보하여 두셔야 추후 사용자가 고충처리에 미적거리거나 도리어 귀하의 사직등을 종용할 경우 부당해고등으로 대응하실 수 있으며 이후 형사고소등의 자료로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직종용등의 대화내용도 꼭 녹취해 두셔야 추후 비자발적으로 사직(이직)했을 때 실업인정이 가능합니다.


    사실 상사의 이유없는 괴롭힘에 대해 대응한다는 것 자체가 위계질서가 확립된 직장에서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잘 이해합니다. 그렇더라도 노동조합등 근로자의 권익을 지켜줄 수 있는 보호장치가 없는 상황이라면 당사자가 보다 힘을 내는 수 밖에 없습니다.

    최대한 냉정하고 침착하게 대응하시기 바랍니다. 실질적인 도움을 드리지 못해 죄송합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해고·징계 효과 1 2010.08.03 1251
해고·징계 회식자리 집단 구타 질의드립니다. 1 2019.05.13 246
해고·징계 회사폐업으로 인한 해고 2023.12.05 450
해고·징계 회사측의 임원 신규채용에 관하여 1 2015.11.10 117
해고·징계 회사측의 권고사직 권유 퇴직금 실업급여에 대한 문의 1 2020.09.21 1970
해고·징계 회사측의 개인 업무 과실이라 주장하며 급여 공제를 통보 1 2022.02.21 367
해고·징계 회사측에서 저와 안맞는다고 퇴사를 요구합니다. 4 2016.04.13 799
해고·징계 회사측에서 권고사직을 요청받았습니다. 1 2017.07.12 727
해고·징계 회사측 일방적인 권고사직 강요 문의 1 2018.10.17 927
해고·징계 회사측 손해배상 청구 건 1 2013.09.30 980
해고·징계 회사출근을 하지 말라고 하네요.. 2006.11.11 1752
해고·징계 회사징계(정직)기간에 4대보험 납입여부. 1 2013.07.17 8533
해고·징계 회사의 조직적인 해고 행위 2009.04.07 1105
해고·징계 회사의 연차사용 미승인이 정당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2023.08.29 1259
해고·징계 회사의 업종전환으로 인한 폐업시 권고사직 1 2019.05.18 1595
» 해고·징계 회사의 부당함과 부조리함에 도움받고 싶어요 2 2015.01.29 2015
해고·징계 회사의 규정상 징계를 줄수있나요? 1 2019.10.17 318
해고·징계 회사의 구조조정 1 2013.01.25 1144
해고·징계 회사의 강요로 퇴사 1 2014.05.14 1002
해고·징계 회사의 가치관, 인성이 맞지않다고 권고사직 통보를 받았습니다 2 2017.07.05 139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