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ng2cindy 2010.12.13 21:26

안녕하세요. 퇴직을 하려고 하는데 답답하고 복잡한 사연이 있어 글을 올립니다.

 

저는 유명 모 학습지 회사의 계약직으로 입사를 해서 최대 2년(계약기간 2년, 그 안에 정규직 전환 구두 합의 조건)의 계약 기간 동안 

 

학습지 선생님과 동일한 일을 하고 정규직 전환 후 학습지 선생님을 관리하는 영업관리직으로 입사를 했습니다.

 

올해 5월 31일자 계약이고 약 6개월 일을 했습니다.

 

그런데 학습지 회사의 영업 실태를 직접 경험하고 나니 학습지를 하는 학생들을 이용해 이익만을 취하고자 하는 점이

 

너무 뚜렷하게 보이고 실제 학습지 선생님으로 활동해 보니 자기 돈으로 회비를 대납해야하는 실정이 있는 등 이만저만 실망을 금치 못하고

 

퇴사를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11월 29일 상사에게 퇴직 의사를 구두로 밝혔지만 인수인계에 대해서는 미적지근한 대처에

 

제 몸도 좋지 않고 이래서는 언제까지나 일해야 한다는 판단에(실제 퇴사의사를 밝혀도 2~3개월은 인수인계를 위해 끌려다니는 실정임)

 

12월 3일까지 일주일간 일을하고  12월 6일부터 출근을 안 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분명 몸이 안 좋다는 의사를 밝혔고

 

상사를 직접 만나 몸이 안 좋다는 이유로  인수인계는 해주겠지만 당장 일은 할 수 없다는 말을 했습니다. 그러자 일단 알겠다고

 

몇 일 혹은 일주일 정도 상사가 수업을 대신 나가주고 그 다음주 부터 3주간은 일을 해줄 수 없겠냐고 했습니다. 그리고

 

결론없이 만남이 끝났는데 12월 12일 저녁, 다음날(13일)부터 출근을 하라는 일방적인 문자를 받았고 그에 연락없이

 

13일 하루를 지냈습니다. 그러자 전화가 오고 보증보험에 연락해서 다음 취업할 시 불이익이 발생한다,

 

월급도 보류될 수 밖에 없다(전월 근무 월급이 다음달 15일 입금, 11월 근무 월급은 아직 날짜가 안 되서 안 받은 상황임),

 

무단 결근은 인사회부된다 그러면 타직장 입사시에 불이익을 받게되니 인계인수하라는 문자가 빗발칩니다.

 

인계인수에 필요한 서류는 모두 제 사무실 책상에 두었는데 단지 새로운 사람에게 직접 인수하라는 것 같은데

 

이럴 경우 인수인계를 위해 한 달을 더 일을 하라는 압박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일을 안 할 경우 제가 받게 되는 불이익(보증보험이나 기타 실직 수당, 재취직시 문제, 회사의 손해배상 청구 등)이 있을까요?

Extra Form
성별 남성
지역 인천
회사 업종 교육서비스업
상시근로자수 20~49인
본인 직무 직종 기타
노동조합 없음
연관 검색어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10.12.22 17:15작성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근로자가 사용자와의 합의 또는 사전 통보없이 갑자기 퇴사를 하였을 때에는 해당 근로자를 상대로 실제 피해액에 대해 손해배상 청구가 가능합니다.
     근로자의 퇴직 요청을 사용자가 승인하지 않았다면 최소 약 1개월(1임금지급기일)이후 자동적으로 근로관계가 종료된다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손해배상을 청구하기 위해서는 실제 발생한 손해 및 퇴직사유등을 고려하여 판단하기 때문에 법원 소송 결과에 따르게 됩니다.
     자발적으로 퇴사를 하였다면 실업급여 수급은 인정되지 않습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아래 주소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nodong.kr/403060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비정규직 파견계약직 퇴직사유와 실업급여관련 2009.01.29 2927
비정규직 파견계약직 실업급여 질문있습니다. 1 2014.02.05 5080
비정규직 파견계약직 계약기간 연장기간 및 횟수에대해 문의드립니다. 1 2009.07.03 3105
비정규직 파견계약의 단시간근로자 근무기간문의 1 2017.05.30 506
비정규직 파견 종료후 정규직 입사 1 2024.01.04 258
비정규직 파견 근로로 해석 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1 2014.03.05 940
비정규직 파견 가능한지요 (영어학원의 원어민 영어강사) 2009.06.24 2379
비정규직 파견 ? 도급? 정규직으로 소송을 걸수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1 2015.06.08 467
비정규직 파견 315코드 업무범위 1 2020.05.11 1037
비정규직 특정 프로젝트 종사 근로자 1 2012.03.19 1137
» 비정규직 퇴직시 문제에 대해서 1 2010.12.13 1764
비정규직 퇴직금 문의 1 2016.10.01 250
비정규직 퇴직 후 직장이동 시 근로계약 등 문제 1 2017.08.21 231
비정규직 퇴직 후 경영성과급 지급 기준 변경 2 2016.02.01 2542
비정규직 퇴사1달전 계약직전환 실업급여 1 2021.04.30 1079
비정규직 콜센터 도급직 근무시 도급사의 정규직 여부 2009.07.28 6654
비정규직 출장비 지급관련 1 2013.06.04 1745
비정규직 출산휴가대체자의 출산휴가 1 2014.03.11 932
비정규직 출산후 휴가 중 계약 만료 시, 급여 및 수당 받을수 있나요? 1 2018.07.16 651
비정규직 출산, 육아 등 질병휴직으로 인해 결원이 생긴 생산제조공정에 파... 1 2014.11.06 49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9 Next
/ 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