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의노을 2015.09.05 06:50
복수노조 설립에 따라 기존노조에서 탈퇴하는 조합원을 막고자 최초 입사시 기존조합에서 노조추천서 작성시에 별도로 차후 노조탈퇴시 조합을 직접 방문하여 작성하겠다는 항목을 넣어 서명하도록하는데 이것이 과연 효력이 있는지요. 아니면 지금하는 방식대로 탈퇴서를 등기나 팩스로 계속보내도 되는지 알고싶네요.
Extra Form
성별 남성
지역 경기
회사 업종 운수업
상시근로자수 300인이상
본인 직무 직종 운전직
노동조합 있음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15.09.09 18:29작성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1. 탈퇴라 함은 조합원이 그의 자발적 의사에 의하여 조합원의 지위를 종료시키는 법률행위를 말합니다.

    따라서 탈퇴의 절차에 대하여 조합규약에 승인절차 등을 규정하고 있는 경우에도 탈퇴의 자유 자체는 제한할 수 없습니다.

    다만, 탈퇴하는 경우 문서로 통지할 것을 요구하거나 또는 사전에 예고를 요구하는 등 절차적 요건을 규정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절차가 현저하게 불합리하다 보기 어려운 경우가 아니고서는 이를 따라야 할 것입니다. (1989.12.20, 노조 01254-21134)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노동조합이 탈퇴서를 수리하지 아니하거나 탈퇴절차를 진행시키지 않으면 탈퇴서가 조합에 도달할 때에 탈퇴의 효력이 발생한다 해석하면 됩니다.(88. 12. 20노조 01254 - 21134))


    2. 문서상으로 탈퇴의사를 작성하여 이를 노동조합을 방문하여 제출하는 형식이 노동조합을 탈퇴하고자 하는 조합원에게 현저하게 불합리한 절차인가에 대하여 판단해 보아야 합니다.

    안타깝지만 이에 대해선 즉답을 드리기는 어렵습니다. 일반적으로 사업장이 한 곳에 정해져 있으며 근로자들이 노동조합 사무실 출입이 자유로운 상황이라면 문서로 탈퇴서를 작성하여 이를 노동조합 사무실에 제출하는 것이 현저하게 불합리하다 보기 어려우나 해당 탈퇴절차를 규약으로 정한 배경, 제정과정에서 조합원들의 동의과정, 사업장의 근무형태(가령 해외근무나 지방근무 혹은 외근이 잦은 사업장의 경우)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합리성 여부를 판단해야 할 것입니다.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노동조합 회사측의 "권고사직" 이 교섭의 대상이 되는지요?? 1 2015.11.04 390
노동조합 단체협약과 취업규칙의 상관관계 문의 1 2015.10.23 715
노동조합 근무시간 중의 조합 활동 관련 적용조건 문의 1 2015.10.19 266
노동조합 부당대우에 관해서... 1 2015.10.05 178
노동조합 간접고용 노조가 용역업체가 바뀐다면 없어지지 않을까요...?? 1 2015.09.25 176
노동조합 복수노조 설립하는데 문제점이 있을까요? 1 2015.09.22 259
노동조합 상급 단체 변경 절차 1 2015.09.16 309
노동조합 타임 오프 1 2015.09.08 320
노동조합 무단협(단협유효기간 만료)시 전임자 임금 지원등 "채무적 부분" ... 1 2015.09.08 865
» 노동조합 조합탈퇴시 조합방문 작성 1 2015.09.05 338
노동조합 피선거권제한 1 2015.08.31 334
노동조합 91210번 질문내용 확인 부탁드립니다. 1 2015.08.28 150
노동조합 허위사실 유포로 인한 명예훼손 1 2015.08.28 622
노동조합 지부규약(임원선거) 과반수의 찬성을 얻은 자가 없을 경우 6 2015.08.28 509
노동조합 복수노조시 한쪽조합이 쟁의기간에 소수노조의 잔업특근에 대하여 1 2015.08.16 405
노동조합 조합장의 변호사비용을 조합비로 사용 1 2015.08.14 1015
노동조합 노조가입과탈퇴에따른급여공제 1 2015.08.13 1044
노동조합 조합 선거관리 규정 문의 1 2015.08.10 365
노동조합 상급 단체 변경 절차 방법에 대하여,,,,,,,,, 1 2015.08.07 476
노동조합 과반수노조인데, 단체교섭타결일시금을 조합원에게만 지급할 수 ... 1 2015.07.29 758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47 Next
/ 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