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1.31
Extra Form
행정해석 번호 임금근로시간정책팀-379
행정해석 일자 2008.2.13

만근일수를 초과한 근무일에 대하여 휴일근로수당을 지급하여야 하는지

(임금근로시간정책팀-379, 2008.2.13.)

질의

우리 연맹 산하 ○○지역자동차노조 시외버스 조합원의 임금 관련 질의임.

- 해당 시외버스 조합원들은 단체협약으로 월 만근일수를 21일로 정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임금조건표를 작성하여 임금을 지급받고 있음. 그리고 휴일에 관하여는 단체협약상 유급휴일 6일(노동절, 운전자의 날, 1월 1일, 추석절, 설날, 광복절)에 대해서만 규정하고 있을 뿐 만근일을 제외한 나머지 일수의 임금에 대하여는 노사 간 별도로 정한 바가 없음.

이러한 경우 월 만근일수 21일을 초과하여 근무할시 해당 초과 근무일에 해당하는 임금을 휴일근로수당에 해당하는 임금으로 지급받아야 하는지?

회시 답변

귀 질의는 “단체협약으로 월 만근일수를 21일로 정하고 있는 경우 21일을 초과한 날의 근로에 대하여 휴일근로수당을 지급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묻는 것으로 보임.

휴일근로수당은 근로기준법 제56조에 따라 휴일은 근로를 제공할 경우 통상임금의 50%를 가산하여 지급하는 것으로, 휴일에는 근로기준법 제55조에 따른 '주휴일'과 근로자의 날 제정에 관한법률에 따른 '근로자의 날'이 있으며, 그 외 노사 당사자 간에 단체협약 등으로 특별히 휴일로 정한 날이 있을 수 있음.

귀 질의의 경우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알 수 없어 정확한 답변이 곤란하나, 당사자간에 체결한 단체협약으로 월 21일을 만근일수로 정하고, 이를 충족할 경우 일정 급여를 지급하기로 정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바,

- 근로기준법 제56조에 따른 휴일근로가산수당은 법정휴일이나 약정휴일에 근로를 제공한 대가에 대하여 가산임금을 지급하는 것이므로 귀 질의와 같이 단체협약으로 정한 월 만근일수(21일)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며,

- 단체협약 등에서 초과 근무일에 대한 별도의 규정이 없다면, 초과 근무일이 휴일근로가산수당의 지급의무를 직접적으로 발생시키는 것은 아님.

(임금근로시간정책팀-379, 2008.2.13.)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 연장ㆍ야간ㆍ휴일근로 만근일수를 초과한 근무일에 대하여 휴일근로수당을 지급하여야 하는지
연장ㆍ야간ㆍ휴일근로 회사의 휴일근로 가산임금 규정과 근로기준법 규정이 다른 경우 적용 방법
연장ㆍ야간ㆍ휴일근로 약정유급휴일이 무급휴무일과 중복되는 경우, 매월 고정월급 외에 추가 휴일수당을 지급해야하는지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