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느티나무 2022.12.27 17:02

1. 연차 수당 계산 중 사이트에서 제시한 자동계산이 이해 되지 않아 질문합니다.

    42시간 근무 2,300,000원의 급여 미사용연차수 12개

   해당 란에 기입하고 계산을 누르니 월소정 근로시간 217시간이 나오고

   2,300,000/217=10,599 시급이 나옵니다.

   10,599*8=84,792  

   84,792*12[미사용연차수]=1,017,504원 나옵니다.

   그런데 여기 자동 계산은 일급이 89,032가 나오고 연차수당은 1,068,384

   왜 다른 결과가 나오는 걸까요?

 

2. 시급이 [주42시간]217시간 보다 [주40시간]209시간 근로가 시급이 더 높은가요??

    2,300,000/217=10,599

    2,300,000/209=11,005

Extra Form
성별 여성
지역 경기
회사 업종 시설관리 서비스업
상시근로자수 20~49인
본인 직무 직종 사무직
노동조합 없음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22.12.28 16:54작성

    노동OK입니다.

    주42시간 근무인 경우, 통상임금 계산 기준시간수는 217시간입니다.

    217시간= (1주 실근로시간 42시간+주휴유급처리시간 8시간) * (365일÷12월÷7일)

    따라서 월급여를 고정적으로 2,300,000만원을 받는다면, 시간당 통상임금은 10,599원이고 일급 통상임금은 84,792원이 맞습니다.

    • 시간급 통상임금 10,599원 = 2,300,000원 / 217시간
    • 일급 통상임금 84,792원 = 10,599원 * 8시간

    그리고 연차휴가 12일분 미사용분에 대한 보상은 1,017,504원입니다.

    • 12일분 연차수당  1,017,504원 = 84,792원*12일

    연차수당 계산기에서 일부구간(1주 근무시간이 주41시간~주43시간인 경우)에서 표기오류가 발견되어 곧 수정하겠습니다. 지적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리고, 주40시간을 근무하는 경우가 주42시간을 근무하는 것보다 시간당 임금이 더 많은 것은 당연합니다. 같은 급여를 받더라도 근로시간이 작으니, 시간당 임금이 많아지는 것입니다. 


더많이 검색
List of Articles
휴일·휴가 연차사용 문의 당일연차, 근태기준 변경 2022.12.30 671
해고·징계 해외근무 법인장 한국복귀 명령에 대한 건 (부당전보 명령) 2022.12.30 634
임금·퇴직금 미사용 연차 수당을 퇴직금에 함께 청구할 수 있나요? 2022.12.29 693
임금·퇴직금 연차수당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2022.12.29 547
임금·퇴직금 중도퇴사시 연차 정산 관련 문의 드립니다 2022.12.29 782
휴일·휴가 주휴수당 2022.12.29 405
임금·퇴직금 미사용 연차 수당 계산계산 맞는지 확인부탁드립니다 2022.12.29 653
임금·퇴직금 연차수당 2022.12.29 472
산업재해 요양급여 후 퇴사시 퇴직금 관련입니다. 2022.12.28 552
임금·퇴직금 주휴수당관련 2022.12.28 408
해고·징계 퇴사 종용 2022.12.28 594
휴일·휴가 4조2교대 연차관련 2022.12.28 384
휴일·휴가 연차계산기 계산방식 문의 1 2022.12.27 1154
» 임금·퇴직금 연차수당 계산 질문요. 1 2022.12.27 446
임금·퇴직금 퇴직금 월차수당 산입 2022.12.27 592
휴일·휴가 중도입사자 연차갯수문의 입니다. 2022.12.27 1013
임금·퇴직금 퇴직금 중도인출에 관하여 2022.12.27 1538
휴일·휴가 회계년도 연차정산 방법 2022.12.26 643
임금·퇴직금 연차수당 2022.12.26 217
휴일·휴가 단체연차를 사용하여 임직원들 휴무할 수 있나요? 2022.12.26 1620
계속 검색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71 Next
/ 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