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j0828 2012.11.13 14:46

 사용자가 제59조 제1항·제3항 및 제4항의 규정에 의한 유급휴가의 사용을 촉진하기 위하여 다음 각호의 조치를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근로자가 휴가를 사용하지 아니하여 제59조 제7항 본문의 규정에 따라 소멸된 경우에는 사용자는 그
미사용휴가에 대하여 보상할 의무가 없으며, 제59조 제7항 단서의 규정에 의한 사용자의 귀책사유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것으로 본다. (2003.5.19 신설 ; 시행일 부칙 참조)
1. 제59조 제7항 본문의 규정에 의한 기간이 끝나기 3월 전을 기준으로 10일 이내에 사용자가 근로자별로
미사용휴가일수를 알려 주고, 근로자가 그 사용시기를 정하여 사용자에게 통보하도록 서면으로 촉구할 것
2. 제1호의 규정에 의한 촉구에 불구하고 근로자가 촉구를 받은 때부터 10일 이내에 미사용 휴가의
전부 또는 일부의 사용시기를 정하여 사용자에게 통보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제59조 제7항 본문의
규정에 의한 기간이 끝나기 2월 전까지 사용자가 미사용휴가의 사용시기를 정하여 근로자에게 서면으로 통보할 것

 

==>위 글에서요...서면이라함은 메일상으로 주고받은 문서도 서면인가요?

그리고 년차의 사용기간이 끝나기 3월전이 아니라  년초에 1년치 사용계획서(메일)를 미리 받아두고, 6월경부터 임의로 월1~2개씩

임의로 차감하는것은 근로기준법에 맞는건지요? 1년치사용계획서를 내라고 해서 냈지만, 사용못하면 그대로 둘줄 알았는데

6월부터 월1~2개정도씩 강제 차감을 하더라구요. 그래서 그 이후엔 억지로 써볼려고 했으나 잘 사용하지 못해서

현재까지 많은수량의 년차가 강제 차감 되었습니다. 이런경우 구제 받지 못하나요? 근로기준법에는 년차의 사용기간이 끝나기 3월전인데

저희 회사에선 년초에 아예 미리 받아서 시작하던데...

어떻게 하면 될까요? 회사에서 근로기준법을 어긴거라면 강제차감한 년차 돌려달라고 말할려구요.

Extra Form
성별 여성
지역 경북
회사 업종 기타업종
상시근로자수 100~299인
본인 직무 직종 사무직
노동조합 없음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2'



List of Articles
임금·퇴직금 임금 계산좀 해주십시오 1 2012.12.05 1290
임금·퇴직금 상여금, 급여 1 2012.12.05 1147
산업재해 법정관리 기업에 산재보상금 공익채권 인정 여부 1 2012.12.05 3265
근로시간 업체 방문 근무시 근무시간 1 2012.12.05 1065
근로계약 촉탁 관련 문의 1 2012.12.05 1031
임금·퇴직금 퇴직금 산정시 연차수당 산입여부 1 2012.12.05 1809
임금·퇴직금 퇴직금 관련 문의입니다. 1 2012.12.05 824
고용보험 실업급여 1 2012.12.05 946
고용보험 실업급여 산정 1 2012.12.05 1534
임금·퇴직금 퇴직연금 계산 문의드립니다. 1 2012.12.05 4234
임금·퇴직금 퇴직위로금 관련 질문 1 2012.12.05 1270
기타 회의시간 1 2012.12.05 828
기타 부당한 책임추궁과 내용증명 요구 1 2012.12.05 1504
임금·퇴직금 임금체불... 1 2012.12.05 831
근로계약 촉탁직 근로자의 연차 적용 관련 1 2012.12.05 3538
임금·퇴직금 급여기준 1 2012.12.05 1046
임금·퇴직금 유급휴일 1 2012.12.05 1873
임금·퇴직금 계약직 직원 퇴직금 정산 문의 1 2012.12.04 3000
임금·퇴직금 채당금 받을수 있나요? 2 2012.12.04 2634
해고·징계 일방적인 해고 통보 1 2012.12.04 1438
Board Pagination Prev 1 ... 1768 1769 1770 1771 1772 1773 1774 1775 1776 1777 ... 5863 Next
/ 58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