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희 회사는 170여명의 정규직과 계약직이 근무하는 복수노조가 있습니다

1. 타 노동조합 임원이나 조합원에게 자기의 노동조합에 가입토록 권유하고 가입유치 할경우 이것이 부당노동행위에 해당 되나요??

2.노동조합을 탈퇴하고자 하는데 조합측에서 탈퇴서를 안주거나 고의로 회피할경우 임의 양식에 탈퇴서를 적어서 제출할경우

  탈퇴 처리의 유효여부와 고의로 탈퇴를 회피하여 양식도 안주고 탈퇴서도 안 받아줄경우 어떻게 탈퇴를 해야하나요??

3.조합원의 탈퇴서를 소속 조합원이 아닌 타 조합원이 대신 조합측에 탈퇴서를 전달할경우 부당노동행위에 해당되는지 여부와

   탈퇴서를 꼭 본인이 조합측에 전달해야만 하는지 여부?? .

Extra Form
성별 여성
지역 인천
회사 업종 시설관리 서비스업
상시근로자수 100~299인
본인 직무 직종 사무직
노동조합 있음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14.02.25 13:38작성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상 부당노동행위는 사용자가 노동조합 가입 및 활동등을 이유로 불이익을 주는 것을 의미하며 사용자가 아닌 노동조합 간에 조합 가입 권유는 부당노동행위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노동조합의 탈퇴는 탈퇴원서를 본인이 작성하여 제출하면 가능하며 규약상 노동조합 대표자가 승인을 하는 절차를 두고 있다면 승인 이후 탈퇴의 효력이 발생하게 됩니다. 다만, 특별한 사유없이 탈퇴요구를 노동조합 대표자가 거부할 때에는 탈퇴원서가 도달한 시점에 효력이 발생한다 볼 수 있으며 탈퇴원서의 전달은 반드시 본인이 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우편 또는 타인을 통해 전달이 가능합니다.(단, 본인이 직접 작성해야 함)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근로계약 퇴직원 기재 내용 1 2014.03.03 2537
휴일·휴가 소정근로시간 및 연차 1 2014.03.03 1274
임금·퇴직금 임금체불 퇴사 1 2014.03.03 3171
기타 실업급여수급 1 2014.03.03 1577
최저임금 최저임금에 대해 1 2014.03.03 745
임금·퇴직금 전 직장의 과지급 경조사비 반환요구 1 2014.03.03 1368
임금·퇴직금 통상임금 포함 여부 문의 1 2014.03.03 833
임금·퇴직금 퇴직 전 연차 사용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1 2014.03.03 1056
근로계약 청년인턴 도중 퇴사할경우.. 1 2014.03.03 8203
임금·퇴직금 추가 잔업시간에 대하여 2 2014.03.03 980
여성 출산휴가,육아휴직후 퇴사시 연차관련 문의드립니다 1 2014.03.03 1788
고용보험 임신중 퇴사 후 실업급여문제관련 상담입니다 1 2014.03.03 2809
임금·퇴직금 퇴직금 관련 문의드립니다 1 2014.03.03 568
근로계약 연봉과 상여급 관련 돈을 돌려받을 수 있나요? 1 2014.03.03 954
여성 임신 & 다리 상해 퇴직사유 1 2014.03.02 1272
임금·퇴직금 월급에서 만근수당을 모두 제하겠다는데 1 2014.03.02 1579
근로시간 3교대 간호사 근무시간 질문이요... 1 2014.03.02 32233
임금·퇴직금 퇴직금 미지급 건 1 2014.03.02 2773
해고·징계 부당해고인지.. 문의드려요 1 2014.03.01 1443
노동조합 단체협약서갱신건 1 2014.03.01 788
Board Pagination Prev 1 ... 1589 1590 1591 1592 1593 1594 1595 1596 1597 1598 ... 5862 Next
/ 58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