없음111123213 2015.03.30 13:51

사무직원(정규직)2명,   치료사 (비정규직)8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사업주인 시설장의 경영방침이 치료사들이 근무하기에는 안좋은 쪽으로 흘려가서

근로환경 개선을 목적으로 치료사8명 전원이 파업에 들어 갈려는 중입니다.

보통 비정규직이라도 노동조합에 가입이 되어 있는 있다면 찬반투표를 통하여 파업을 진행할 수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저희는 노동조합이 없는데 절차를 통하여 파업을 진행 할 수 있는지요?


Extra Form
성별 남성
지역 경기
회사 업종 보건업 사회복지서비스업
상시근로자수 5~19인
본인 직무 직종 서비스직
노동조합 없음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15.04.07 11:46작성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노동조합관계법상 노동조합이 아닌 경우 파업을 진행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현장에서 열악한 근로조건을 개선하고자 하여 근로자들이 임의적으로 파업을 진행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 경우 법의 보호를 받지 못해 업무방해등으로 오히려 근로자에게 사용자가 탄압의 구실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장의 노동조건 개선에 대한 폭넓은 공감대를 바탕으로 노동조합을 신속하게 설립하시는 것이 우선되어야 할 것입니다.

    노동조합 설립과 관련하여 구체적인 상담은 저희 한국노총 법률원 부천상담소(032-653-7051~2)로 전화주시면 보다 자세한 상담이 가능합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임금·퇴직금 퇴직 후 개인 정보 1 2015.04.05 374
기타 회사내 휴게시간 중 기물파손 2 2015.04.05 935
해고·징계 해외금무중해고및 국내민사소옹 1 2015.04.05 252
해고·징계 부당해고로 신고할수 있을까요 1 2015.04.04 838
근로시간 근로시간에 대해 궁금한게 있어서요. 1 2015.04.04 405
휴일·휴가 연차휴가중 직원들에게 서명 받고 출근했다고 주장합니다. 1 2015.04.04 205
산업재해 우울증으로인한 산업재해문의드립니다 1 2015.04.04 1260
고용보험 실업급여문의드려요 1 2015.04.03 289
산업재해 산재 보상 후, 사측으로부터 받을 수 있는 보상에 대해 문의드립... 1 2015.04.03 1490
임금·퇴직금 퇴직일 이후에 받은 성과 상여 평균임금 반영 방법 1 2015.04.03 413
임금·퇴직금 임금 및 수당에 대한 문의드립니다. 1 2015.04.03 252
휴일·휴가 연차휴가산정(회계기준일적용) 1 2015.04.03 364
기타 원도급사와 하도급사의 권한 관계 1 2015.04.03 2055
근로시간 0 1 2015.04.03 128
임금·퇴직금 수당 1 2015.04.03 107
최저임금 작년에 못받은 초과근무수당에 대해 퇴직후에 청구 할 수 있는가요? 1 2015.04.03 530
고용보험 실업급여 자격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1 2015.04.02 337
여성 육아휴직 기간 협의 또는 조기복직 권유관련 1 2015.04.02 1388
휴일·휴가 장기교육파견 기간중 미사용 연차유급휴가에 대한 수당 청구권 1 2015.04.02 729
해고·징계 실업급여 및 교육장소 변경 관련 1 2015.04.02 714
Board Pagination Prev 1 ... 1368 1369 1370 1371 1372 1373 1374 1375 1376 1377 ... 5862 Next
/ 58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