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루터 2015.04.17 08:42

1. 소정근로시간(일 9시간)인 감단직 근로자가 2015년 5월 1일 다음과 같이 근무할 때 임금산정은 어떻게 하는지요?

   A(비번), B(주간 8시간), C(당직, 휴게시간 5시간)으로 근무하는 경우 아래와 같이 계산하여 임금지급하는 것이 옳은지 여부


    A근무자 : 5월 1일 비번 (일당 7만원)   →  14만원 지급 (7만원 + 7만원)

    B근무자 : 5월 1일 휴무 (일당 7만원)   →  19만원 지급  (근무시 : 7만원 + 7만원 + (7만원/9시간 x 8시간 x 0.5) ≒ 19만원)

    C근무자 : 5월 1일 근무 (일당 7만원)  →   21.4만원 지급(7만원 + 7만원 +  (7만원/9시간 x 19시간 x 0.5) ≒  21.4만원) 

2. 지침상으로는 근무자와 휴무자가 동일하게 통상 하루 소정임금을 지급한다면 된다는 데 동일하게 14만원만 지급하여도 가능한지요? (고용노동부 임금근로시간정책팀-3356, 2007.11.13 참조) 아래 자료 참조


4) 감시·단속적 근로자 등의 적용방법

□ 감시·단속적 근로자 등 에게도 근로자의 날은 보장됨

○ 감시·단속적 근로자를 포함한「근로기준법」제63조의 적용제외 근로자*는 제4장과 제5장에서 정한 휴일에 관한 규정은 적용되지 않음

* 농림, 축산, 수산업 종사자, 관리 감독업무 및 기밀취급자

- 따라서 제63조의 적용제외 근로자가 휴일에 근로를 제공한다고 하더라도 휴일근로로 보지 않음

- 다만, 근로자의 날은「근로자의 날 제정에 관한 법률」에 의해 특정일을 기념하여 휴일로 규정하고 있으므로 제63조의 적용제외 근로자에게도 유급휴일로 보장(근기 01254-6550, ‘91.5.9)

감시·단속적 근로자 등 에게는 근로기준법상 보상휴가제는 적용되지 아니하나 당사자 합의로 실시 가능함

○「근로기준법」제63조의 적용제외 근로자는 제4장과 제5장에서 정한 휴일에 관한 규정은 적용되지 않으므로

- 제57조의 보상휴가제도는 적용되지 않는 것임. 다만, 당사자간 합의로 제도를 도입하여 운영할 수는 있음

통상 하루에 지급하는 임금을 추가 지급하여야 함

「근로기준법」제63조의 적용제외 근로자가 근로자의 날에 근로제공을 하지 않고 쉬더라도 통상 하루에 지급하는 소정임금을 추가로 지급하여야 함*

*예) 1일 2교대 10시간(휴게 2시간 제외) 근무자 : 10시간분의 임금 지급

- 단, 격일제 근무자는 근무일 다음의 휴무일(비번일)은 전일의 근무를 전제로 주어지는 것이므로, 격일제 근무자에게 지급하여야 할 통상 하루의 소정임금은 근무일의 절반에 해당하는 근로시간의 소정임금으로 함*(임금근로시간정책팀-3961, ‘06.12.27)

*예) 24시간 격일제 근무자 : 근무일의 절반에 해당하는 12시간분의 임금 지급

만약, 제63조 적용제외 근로자가 격일제 근무 등을 이유로 근로자의 날 당일을 쉬지 못하고 근로를 제공한 경우라도

- 휴무자(비번자)와 동일하게 통상 하루의 소정임금을 추가로 지급하면 됨

Extra Form
성별 남성
지역 서울
회사 업종 시설관리 서비스업
상시근로자수 20~49인
본인 직무 직종 기타
노동조합 없음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List of Articles
» 휴일·휴가 노동절 감단직 근무자 급여 계산방식 2015.04.17 1855
근로시간 초과 근무 수당 등 여러가지 사항에 대해 궁금증이 있습니다 1 2015.04.07 380
임금·퇴직금 연봉제의 초과근무수당문제 1 2015.01.10 1629
임금·퇴직금 고정 시간외근무수당 1 2015.01.07 3257
근로계약 추가수당 주휴수당 받을수있나요? 1 file 2014.12.02 1353
임금·퇴직금 1년 근물후 퇴직했는데 연차수당 미지급 되었습니다. 1 2014.12.01 1292
기타 연장근로수당계산 1 2014.09.23 1494
임금·퇴직금 휴일근무수당의 급여 반영 시점과 퇴직금 반영 1 2013.12.12 2122
임금·퇴직금 사무직 휴일 근무 수당 및 최저임금 계산.. 1 2013.12.06 3264
임금·퇴직금 초과근무수당 산정 및 근로기준법 관련 1 2013.11.07 5745
기타 1년간 야간근무 수당이 잘못 지급되었다고 내년 1월까지 반환하라... 1 2013.10.03 3430
임금·퇴직금 추가 업무에대해 받아야할 임금종류 문의 1 2013.08.19 1191
임금·퇴직금 휴일근무수당 1 2013.08.15 986
임금·퇴직금 퇴직금에 해외근무수당 포함여부 등 1 2013.06.10 2567
근로시간 토요일 출장시 출장비와 시간외근무수당 지급 1 2013.04.05 5833
근로시간 연차수당 및 주48시간 근무 1 2013.02.19 8012
근로시간 초과근무수당 비해당자(관리직) 1 2013.01.09 2242
근로시간 매일 야근이 아주 정해져 있으면서 시간외 수당이 전혀 없는 회사... 1 2012.03.29 4498
근로계약 임원운전기사 연장근로수당임금계산방법 1 2012.02.20 7694
근로계약 상시근로자수 5인 이상? 미만인지 산정이 조금 어렵습니다 1 2011.12.21 493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