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다라마바사 2015.07.16 17:20

회사업무실수를 하여 손해배상 관련 내용

퇴사며칠전에 업무 실수를 하여 그에 관련된 비용을 따로 회사에서 청구하겠다고 합니다.

업무실수관련..총 비용이 700만원이 나왔는데

1년 일한 퇴직금 230만원으로 합의보자고 해서 생각해본다하고 서류에 싸인을 하지않았습니다 (아직 구체적인 청구서도 눈에 보지 못한상황에서 싸인을 하기에는 저도 알아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일은 반틈정도만 처리가 완료된 상황인데 미리 합의보자는 식의 말이였습니다 )

이일이 해결될때까지 퇴직금을 보류하자는 말에 퇴직금은 입금부탁드립니다. 라고 하니 내가 퇴직금을 넣지 않으면 신고해라 ,,이러셨습니다.

그런데 그 다음날 퇴직금이 들어왔고 회사에서 문자로 원칙대로 할것이다 이렇게 날라왔습니다.

그래서 제가 다음날 방문할테니 약속시간을 잡고 갔습니다. 퇴직금 받은것을 돌려줄테니 합의하고 이 일을 마무리했으면 한다고 하니

회사에서 마음이 변해서 하기싫다. 원칙대로 하겠다 이렇게 말했습니다.

물론 저의 업무실수이지만.
퇴사를 했는데 법적으로 이사건에 대해 소송을 하면
그 일에 대해서 제가 얼마나 책임져야 하는지 문의드립니다.


업무실수의 내용은 대략 이러합니다.

제품에 바코드가 실수로 잘못되어(바코드숫자는 맞게 수정했으나.. 바코드 라인을 다른제품에 있던 것을 가져와서 작업함)

그위에 바코드스티커씨링을 붙여야 하는 일이 발생했습니다.

-제품의 수량은  10만개 (현재 5만개를 작업완료했는 상황, 추후의 예상비용을 합하여 토탈 700만원이라고 함)

-스티커비용과 알바생 비용을(700만원) 청구하겠다고 함

(스티커 비용은 얼마인지 알고있으나..알바생을 몇명이나 쓰는지 얼마가 드는지는 제가 알수 없는 상황입니다. 추후에 자료를 청구하겠다고 하는데 어떤 근거로 믿어야 할지 모르는 상황입니다.)


700만원이라는 금액이 이해가 안가서..회사대표에게 외부 업체에 전화해서 확인해볼까 하니 해보라고 해서 음료라벨 디자인을 의뢰한 회사에 직접 전화를 했습니다.
제품 10만개 스티커작업..총 700만원이 나왔냐고 하니 자기입장에서는 제가 근무한 회사와의 관계가 있어서 얼마의 비용이 나온지 저에게 말해 줄수 없다고 하는 상황입니다. 이 전화를 끊고 나니 더 이해가 안갔습니다.


저의 직급은 대리였으며 월급은 한달에200만원.. 업무에 대해 일을 하는 사람은 저 혼자였습니다.



퇴사를 했는데 이 일에 대해서 소송으로 가면 제가 어느정도 책임져야 하는 사항인지 문의드립니다.

감사합니다.

Extra Form
성별 여성
지역 서울
회사 업종 기타업종
상시근로자수 5~19인
본인 직무 직종 기타
노동조합 없음
연관 검색어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15.07.25 17:21작성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1. 근로자가 직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부수적 의무(성실의 의무등)에 위반하여 사용자에게 손해를 끼친 경우에는 민법 제 390조에 따라 채무불이행으로 사용자는 근로자를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또한 근로자가 고의나 과실로 사용자에게 손해를 끼친 경우 민법 제 750조에 따는 불법행위가 되어 손해배상의 책임이 인정됩니다.

    2. 귀하의 경우 상담내용만으로 귀하의 사업장 업무특성을 파악하기 어려워 정확한 답을 드리기 어려우나, 해당 근로자의 실수가 있었더라도 손해의 공평한 부담이라는 경지에서 신의칙상 상당하다고 인정되는 한도 내에서 손해배상 책임을 인정합니다.

    3. 따라서 사용자가 관리자로서 주의를 게을리하거나, 근로자가 고의가 없었다면 이에 대해 전적으로 해당 근로자에게 손해액을 책임지울 수는 없습니다. 또한 근로자의 직위나 직무내용등을 고려하여 손해액이 결정되어야 하며, 손해발생에 대하여 사용자가 보험등을 통해 보상받았다면 해당 범위안에서 손해배상 책임을 면할 수 있습니다.

    4. 현재로서 귀하가 인정할 수 있는 퇴직급여액 이상의 손해배상을 요구하는 상황이라면 현재로서는 사용자가 제시하는 손해액에 대해 귀하가 정확하게 확인할 길이 없는 상황이며 사용자로서도 소송의 부담등이 있는 만큼 차라리 법원의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통해 보다 정확한 손해배상액을 확인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것입니다.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임금·퇴직금 휴직자의 미복직 후 퇴사시 퇴직금 지급 및 4대보험료 대납분 공... 1 2015.10.21 1991
임금·퇴직금 휴일근무 대체 가능여부 1 2022.02.05 261
임금·퇴직금 회사폐업과 퇴직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1 2020.10.19 298
해고·징계 회사징계(정직)기간에 4대보험 납입여부. 1 2013.07.17 8532
임금·퇴직금 회사지원 학비에 대한 의무근무기간 미충족에 따른 환급 여부 1 2022.06.22 1052
임금·퇴직금 회사이전으로 인한 실업급여 조건 1 2016.04.14 804
고용보험 회사이전으로 인한 실업급여 자격 문의 1 2016.08.18 474
고용보험 회사이전으로 인한 실업급여 수급 1 2018.02.28 336
기타 회사이전시 기숙사 제공하다 기숙사 제공을 안할경우 실업급여 신... 1 2023.01.03 904
기타 회사이전 실업급여문의 드려요. 1 2015.03.03 1431
기타 회사이전 실업급여 관련 현재 거주하는 주소에 대해 1 2018.08.07 893
근로계약 회사의 일방적인 계약내용 변경 및 통보에 대해 1 2023.01.12 1941
고용보험 회사의 사업장이전으로 출퇴근시간이 3시간이상 걸려 근무할 수없... 1 2011.09.17 3159
노동조합 회사요구 특단협 거부할수 있는가요 1 2012.12.19 806
근로계약 회사에서 저를 다른 회사로 이전시키려합니다 1 2023.05.08 368
직장갑질 회사에서 성과급 일부에게만 비밀로 지급했습니다. 2 2021.10.25 803
임금·퇴직금 회사에서 국민연금미납과 경비처리.. 1 2011.02.28 5753
직장갑질 회사에서 고용한 노무사 대면조사 꼭 응해야 하나요? 1 2024.04.18 135
기타 회사에 손해를 입혀 피해보상청구를 당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1 2023.03.31 373
» 기타 회사업무소송 1 2015.07.16 35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