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드롭킥 2016.03.22 11:48

올해 설날이 끝나고 입사해서 3개월 정도 근무 후 퇴사할 예정입니다.

연봉의 1/12 할 줄 알았더니 1/13을 해서 50%는 휴가 때, 25%씩은 설과 추석에 주겠다더군요.

근로계약서는 작성하지 않냐고 물었더니 원래 안 쓴다고 해서 상여에 대한 특별한 규칙이나 설명은 못들었습니다.

1. 퇴사한다면 연봉의 1/13을 한 금액에서 제가 일한 3개월분만큼의 임금을 상여로 받을 수 있는 건가요?

2. 만약 받을 수 있다면, 1/13에서 개월수만큼 나눠야 할 지, 아니면 제가 받아야 되는 상여는 휴가 50% 상여이니 거기에 맞춰 일할계산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직원수는 10명 정도 되는 것으로 알고 들어왔는데 약간 복잡한 회사라 원래 들어가기로 했던 회사로 소속되지 않고 다른 회사로 소속되어 상시 근로자수가 5명이 되는지 안되는지조차 모르겠습니다. 3. 직원수와 상여지급에 관련이 있나요?

Extra Form
성별 여성
지역 경기
회사 업종 기타업종
상시근로자수 1~4인
본인 직무 직종 사무직
노동조합 없음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16.03.23 15:46작성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1. 근로계약이나 취업규칙상 임금규정등을 통해 상여금의 지급방식을 정하고 있다면 모를까 별도로 상여금 지급방식(지급시기, 지급일, 지급일 이전 중도퇴사시 별도로 재직일수에 비례하여 지급할 것인지 여부등)을 정하고 있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상여금 지급일 이전 퇴사자에게 지급하지 않을 가능성이 큽니다.

    2. 법원의 판례나 노동부의 행정해석 역시 상여금의 경우 별도의 지급규정이 없는 이상 지급일 이전 중도퇴사자에게 일할하여 지급할 의무가 사용자에게 있다고 보지는 않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해고·징계 퇴사 후 재입사 퇴직금 관련 문의입니다 1 2016.03.29 1759
고용보험 실업급여 문의 1 2016.03.29 190
임금·퇴직금 포괄연봉제 통상시급 계산방법 1 2016.03.29 6902
임금·퇴직금 미지급급여관련해서 질문합니다. 1 2016.03.29 380
기타 알바 이력서 허위기간.. 1 2016.03.29 2256
근로계약 무단결근으로 인한 급여미지급 1 2016.03.29 4291
임금·퇴직금 월차 1 2016.03.29 154
임금·퇴직금 양도급 운영시 퇴직금 1 2016.03.29 741
임금·퇴직금 월급날의 한달 기준은 어떤것인가요? 1 2016.03.29 7801
근로시간 근로시간 관련 문의 드립니다 1 2016.03.29 355
산업재해 용역업체(도급근로자) 직원의 산재처리와 합의 1 2016.03.29 4245
휴일·휴가 일용계약직 주휴, 연차 수당 문의 1 2016.03.29 657
임금·퇴직금 제수당 계산방법 1 2016.03.29 9854
임금·퇴직금 연봉제 근로자 (년차수당) 1 2016.03.29 397
임금·퇴직금 퇴직금 및 희망퇴직금의 향후 지급 약속 1 2016.03.29 154
기타 최저임금 1 2016.03.29 98
임금·퇴직금 경력산정과 관련하여 질문 드립니다 1 2016.03.28 520
근로시간 일할계산방식 관련 1 2016.03.28 416
근로계약 근로계약 관련 등 1 2016.03.28 275
임금·퇴직금 취업규칙 불이익변경(일방 이익, 일방 불이익) 1 2016.03.28 187
Board Pagination Prev 1 ... 1225 1226 1227 1228 1229 1230 1231 1232 1233 1234 ... 5863 Next
/ 58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