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ie87 2016.07.30 06:28

현재 주 5일 근무제가 적용되는 서비스업종에 근무를 하고 있습니다. (2015.12월 입사~2016.8월 퇴사 예정)

직업의 특성상 토,일요일에 휴무 적용이 어렵다 보니 주중, 주말 할 것없이 짜여지는 스케줄에 따라 휴무가 적용되며

해당 월에 발생하는 휴일 수를 채우지 못한 경우가 많아서 현재 쌓인 휴무가 15개이고 연차가 7개 있습니다.

8.15일까지만 근무를 하고 나머지는 모두 한꺼번에 휴무를 사용해도 가능한지 궁금하며,

이런 경우 월급은 그대로 지급되는 것이 맞는지 궁급합니다.

또한 회사에서 연차를 수당으로 지급해 주지 않으려고 하여 만약에 연차를 9/1~9/7까지 사용한다고 쳤을 때,

이 7일에 해당하는 기간에도 급여가 나오게 되는 것인지 궁금하며

퇴사일을 9/7로 하여 회사에 통보하는 것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보통 이런 질문에 대하여 연차를 그냥 수당으로 받으라는 답변이 많던데 저의 경우는 그냥 수당으로 받지않고

위에서 질문 드린 것처럼 그냥 사용을 하였을 때로 적용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여러 사이트를 찾아보아도 유사한 질문을 찾을 수 없어서 이렇게 글을 남깁니다.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ㅜㅜ


Extra Form
성별 여성
지역 서울
회사 업종 예술 여가 서비스업
상시근로자수 20~49인
본인 직무 직종 서비스직
노동조합 없음
연관 검색어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16.08.19 11:14작성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연차휴가는 근로기준법에 따라 귀하의 출근율을 기준으로 발생하는 유급휴가인 만큼 귀하가 사용할 날짜를 자유롭게 지정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사용자는 귀하가 연차휴가를 사용하는 것이 사업의 운영에 막대한 지장을 주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귀하의 연차휴가 사용요청에 대해 거부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7일간의 연차휴가를 소진하여 퇴사일을 잡는 것은 가능하며 해당 기간은 당연히 근로제공하지 않아도 급여가 지급됩니다.

    만약 퇴사일 이전에 연차휴가의 소진을 요구하는 귀하의 요청을 거부할 경우 결과적으로 연차휴가의 사용을 사용자가 가로막는 것이 되는 만큼 근로기준법 제 60조 위반으로 사용자를 상대로 진정을 제기하는 방식으로 대응가능합니다.

    사업장 특성상 사용하지 못해 적치된 휴무일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사용자에게 이를 소진하여 퇴사일을 정하겠다 요구할 여지가 있습니다.

    만약 사용자가 이에 대해 거부할 경우 휴무일수중 근로기준법 제 55조에 따라 의무적으로 부여해야 할 주휴일을 부여하지 않았다고 볼수 있는 만큼 주휴일 부여 의무 위반으로 사용자를 상대로 근로기준법 제 55조 위반으로 진정을 제기하여 대응가능 할 것입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임금·퇴직금 포괄임금제 연봉계약자의 초과근무 수당 청구의 건 1 2016.08.19 1789
임금·퇴직금 육아휴직후 복귀를 하지 않고 퇴사처리한 경우 퇴금금 산정, 4대... 1 2016.08.19 2975
산업재해 일하다가 손님께 맞아서 팔부러짐 1 2016.08.19 1051
임금·퇴직금 퇴직금 문의 합니다. 1 2016.08.19 1154
해고·징계 폐업예고수당 1 2016.08.18 784
해고·징계 급합니다 제발 도와주세요.. 1 2016.08.18 274
고용보험 회사이전으로 인한 실업급여 자격 문의 1 2016.08.18 474
근로계약 사직서제출한 희망일 전에 해고당한경우 1 2016.08.18 987
해고·징계 불법파견 고용승계 문의합니다. 1 2016.08.18 749
임금·퇴직금 알바 피해보상 1 2016.08.18 820
근로시간 연차대체와 소정근로시간 1 2016.08.18 382
여성 육아휴직 종료 후 복직 후, 제 상황이 불리한 처우에 해당되는지 ... 1 2016.08.18 688
산업재해 노동중 의복문제 1 2016.08.18 215
임금·퇴직금 퇴직금 및 임금체불 받을 수 있나요? 1 2016.08.18 347
해고·징계 권고사직 실업급여관련 1 2016.08.18 3538
근로시간 사업주 임의로 근무시간 변경 1 2016.08.17 1677
임금·퇴직금 퇴직전 3개월 내 장기결근 경우 퇴직금 계산 1 2016.08.17 1349
근로계약 전보 및 대표자가 바뀔때 1 2016.08.17 383
임금·퇴직금 퇴직금 누진제 1 2016.08.17 2236
임금·퇴직금 여름휴가 후 바로 퇴사 1 2016.08.17 1997
Board Pagination Prev 1 ... 1155 1156 1157 1158 1159 1160 1161 1162 1163 1164 ... 5861 Next
/ 58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