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뤼 2018.01.20 08:46

안녕하세요.

급여계산 이렇게 하는게 맞는건지 궁금합니다.

관리 맡고 있는 **** 생명에서 알려준 계산법입니다.


근무시간 - 월~금 :  7.5시간 +  매주 토요일 4시간.

이 경우 토욜 연장근로 시간은 4시간중 1.5시간만 해당이 된다더군요.


1.5시간 * 52주 ÷ 12달 = 한달연장근로시간 (6.5시간)

급여 ÷ (209시간 + (한달연장근무시간 * 1.5)) = 시급.

시급 * 209시간 = 기본급.

시급 * (한달연장근로시간 * 1.5) = 연장근무수당.

급여 = 기본급 + 연장근무수당.



아무리 생각해도 하루 8시간 근무인거 같아


근무시간 - 월~금 :  8시간 +  매주 토요일 4시간.

이 경우 토욜 4시간은 모두 연장근로 시간이 됩니다.


4시간 * 52주 ÷ 12달 = 한달연장근로시간 (17.3시간)



시간을 수정해서 저 계산법으로 다시 계산해 봤습니다.


그런데 근로시간 수정해봐도 급여가 어퍼치나 매치나 똑같이 나오더군요.

기본급은 줄어들고 연장근로수당은 늘면서 급여는 여전히 똑같더라구요.


저 계산법은 이미 책정된 고정 급여를 가지고 기본급 + 연장근로수당을 비율로만 나누는 계산법인거 같은데요.


원래 급여 계산이 그렇게 되는건가요?


연장근무가 늘면 급여도 늘어야 맞는거 아닌지요?


도움 말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Extra Form
성별 여성
지역 충북
회사 업종 제조업
상시근로자수 5~19인
본인 직무 직종 사무직
노동조합 없음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18.03.05 13:26작성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고 있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공공부문 근로조건과 최저임금 상담이 폭주하는 관계로 상담이 늦어지고 있는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포괄임금의 경우 최저임금 위반이 아닌 상황에서는 귀하와 같은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만 포괄임금이라도 기본급, 수당등이 사전에 책정이 되어 있을 때는 책정된 고정급으로 수당을 계산하기 때문에 연장수당 지급액보다 실 연장근로가 초과할 경우 차액분을 지급해야 하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는 체불임금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근로계약서나 취업규칙등에 임금과 관련한 항목을 정확히 파악하셔서 계산하실 필요가 있겠습니다.

     다만 최근 근로시간 단축과 맞물려 포괄임금제에 대한 판례는 원래의 취지대로 업무의 성질상 근로시간이 불규칙하거나 근로형태의 특수성이 있는 경우에만 인정하는 추세이고, 장시간 근로의 주범중 하나가 포괄임금제라는 인식이 있기 때문에 조만간 고용노동부의 지침이 발표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근로시간 주말 퇴근후 갑측의 갑작스러운 출근 통보에 관해 의견을 듣고 싶... 2 2018.02.09 302
임금·퇴직금 고용승계하여 근무 후 퇴직시 연차수당 지급에 대한 문의 1 2018.02.09 689
기타 아웃소싱회사 사업장종료 및 육아휴직 거부- 실업급여 대상자격 문의 1 2018.02.09 932
기타 실업급여 신청가능할가요 2 2018.02.09 157
근로시간 월의 통상임금 산정기준 시간수 산정 방법 1 2018.02.09 536
임금·퇴직금 아르바이트 연차수당 1 2018.02.09 1185
해고·징계 해고통보서를 받으면 회사를 나가야 하나요? 1 2018.02.09 980
노동조합 과반수이하 노조 대응 1 2018.02.09 663
임금·퇴직금 퇴사전 임금협상이 되었는데, 일부 금액 지급시기가 퇴사후로 정... 1 2018.02.09 1320
근로계약 모사에서 파견온 직원들이 인사권과 평가권을 갖는 경우 위장도급... 1 2018.02.09 471
임금·퇴직금 무급 병가시 급여계산 궁금합니다 1 2018.02.09 7387
임금·퇴직금 퇴직금 관련해서 문의합니다. 1 2018.02.09 107
휴일·휴가 연차에 대해서 1 2018.02.09 297
근로계약 권고사직 후 재고용 건 1 2018.02.08 776
해고·징계 생산공정중 발생한 불량으로 인한 징계및 손해청구.. 1 2018.02.08 981
고용보험 육아휴직 2자녀 연속신청관련 1 2018.02.08 951
휴일·휴가 퇴사 시 가용연차의 사용 및 수당 지급 1 2018.02.08 994
최저임금 최저임금문의입니다. 1 2018.02.08 121
임금·퇴직금 병가로 인한 결근 시 임금 산출 문의 1 2018.02.08 3155
휴일·휴가 개인사업자 사업장 연차 문의 1 2018.02.08 2348
Board Pagination Prev 1 ... 966 967 968 969 970 971 972 973 974 975 ... 5864 Next
/ 5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