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린이 2018.04.11 23:43
<table><tbody><tr><td class="line-content"><span class="html-tag"><div></span><연봉근로계약서><span class="html-tag"></div></span><span class="html-tag"><div></span><span class="html-tag"><br></span><span class="html-tag"></div></span><span class="html-tag"><div></span>제3조 연봉임금체계<span class="html-tag"></div></span><span class="html-tag"><div></span>1. 연봉총액 : ₩00000000원 (원급여액 : ₩00000000원)<span class="html-tag"></div></span><span class="html-tag"><div></span>   기본급 : ₩00000000원 ,  법정수당비 : ₩00000000원,  <span class="html-tag"></div></span><span class="html-tag"><div></span>   제수당비 : ₩00000000원,  상여금 : ₩00000000원 <span class="html-tag"></div></span><span class="html-tag"><div></span>2. 연봉 총액에는 기본금(주휴수당포함), 법정수당(연장, 야간, 휴일 근로수당), 제수당(식대, 차량 유지비)<span class="html-tag"></div></span><span class="html-tag"><div></span>   상여금이 포함되며, 연봉에 포함되는 <span class="html-tag"><b></span><span class="html-tag"><font <span class="html-attribute-name">color</span>="<span class="html-attribute-value">#ff0000</span>"></span>연 소정근로시간은 2,503시간<span class="html-tag"></font></span><span class="html-tag"></b></span>(기준 : 1일 8시간, 주 40시간-주휴<span class="html-tag"></div></span><span class="html-tag"><div></span>   수당포함)이며, <span class="html-tag"><font <span class="html-attribute-name">color</span>="<span class="html-attribute-value">#ff0000</span>"></span><span class="html-tag"><b></span>연 고정연장 야간, 휴일근로시간은 336시간<span class="html-tag"></b></span><span class="html-tag"></font></span>(평균 월 28시간 연장, 야간, 휴일근로가산<span class="html-tag"></div></span><span class="html-tag"><div></span>   수당포함)이며, <span class="html-tag"><font <span class="html-attribute-name">color</span>="<span class="html-attribute-value">#ff0000</span>"></span><span class="html-tag"><b></span>연 총근로시간 2,839시간<span class="html-tag"></b></span><span class="html-tag"></font></span>으로 한다<span class="html-tag"></div></span><span class="html-tag"><div></span>3. 상기 금액은 소정의 근로일수를 개근하였을 경우 지급되는 것으로 결근, 조퇴, 지각 등의 사유가 발생<span class="html-tag"></div></span><span class="html-tag"><div></span>   하여 근무하지 않은 시간에 대하여는 일할 계산하여 공제한다.<span class="html-tag"></div></span><span class="html-tag"><div></span><span class="html-tag"><br></span><span class="html-tag"></div></span><span class="html-tag"><div></span>제4조 근로시간, 휴게시간 및 연장근로, 야간근로, 휴일근로 동의<span class="html-tag"></div></span><span class="html-tag"><div></span>1. 소정근로시간을 1일 8시간, 1주 40시간을 원칙으로 하며, 기분근로시간은 08시30분~17:30분 <span class="html-tag"></div></span><span class="html-tag"><div></span>   까지로 하며, 단 평일 19시까지의 근무는 연장 1시간으로 하며, 주 28시간의 연장근무시간 미달시 <span class="html-tag"></div></span><span class="html-tag"><div></span>   휴일근무수당은 28시간 초과분만 지급할 수 있다.<span class="html-tag"></div></span><span class="html-tag"><div></span>2. 제3항에서 합의한 근로시간이외에 초과한 연장, 야간근로 및 휴일근로는 "갑"과 "을"이 당사자 간에<span class="html-tag"></div></span><span class="html-tag"><div></span>   합의한 것으로 보며 보상휴가를 부여하거나 수당을 지급할 수 있다<span class="html-tag"></div></span><span class="html-tag"><div></span>--------------------------------------------------------------------------<span class="html-tag"></div></span><span class="html-tag"><div></span><span class="html-tag"><br></span><span class="html-tag"></div></span><span class="html-tag"></div></span><span class="html-tag"><div></span>문의사항<span class="html-tag"></div></span><span class="html-tag"><div></span><span class="html-tag"><br></span><span class="html-tag"></div></span><span class="html-tag"><div></span>1. 연장근로 월 28시간 미달시 월급여에서 법정수당을 감액해서 지급하는 것이 법적으로 문제 없는지???<span class="html-tag"></div></span><span class="html-tag"><div></span><span class="html-tag"><br></span><span class="html-tag"></div></span><span class="html-tag"><div></span>2. 연장근로 월 28시간을 초과한 부분에 대해서 법정수당을 청구 할 수 있는지????<span class="html-tag"></div></span><span class="html-tag"><div></span><span class="html-tag"><br></span><span class="html-tag"></div></span></td></tr><tr><td class="line-number" value="1424"></td><td class="line-content"> <span class="html-tag"></div></span></td></tr></tbody></table>
Extra Form
성별 여성
지역 충북
회사 업종 기타업종
상시근로자수 20~49인
본인 직무 직종 사무직
노동조합 없음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18.05.18 16:55작성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답변이 늦어 죄송합니다.

     

    /연간 발생 가정한 연장근로에 대한 급여액을 포함하는 포괄임금제입니다.

    이 경우 약정한 월 연장근로에 미달한다면 이에 대해 일할하여 해당 연장근로에 대한 수당액을 감액하는 약정을 했다면 가능합니다. 그리고 28시간을 초과한 연장근로의 경우 포괄임금액에는 월 28시간을 초과한 연장근로에 대한 수당액은 포함되어 있지 않은 만큼 이에 대해서는 통상임금의 1.5배를 가산하여 별도로 청구할 수 있습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임금·퇴직금 실업급여 신청 조건에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2018.04.19 166
근로계약 4대보험 이중취득 2018.04.19 1303
기타 고용노동부 진정 접수는 사건 발생일로부터 몇 개월 내로 하야 하... 2018.04.19 201
고용보험 질병으로인한 병가 실업급여도와주세여.. 2018.04.19 2612
근로계약 도와주세요.. 퇴사문제로 인해 몹시 힘듭니다 2018.04.19 198
근로시간 2주단위 탄력적 근로시간제 관련 2018.04.19 841
임금·퇴직금 2018년 최저임금으로 주20시간(주5일) 근무일경우 월급여는 어떻... 2018.04.19 2973
임금·퇴직금 단시간 근무자 연장근무 가능시간 1주12시간 이상도 가능한가요? 2018.04.19 540
임금·퇴직금 소급 체불 문의 2018.04.19 106
해고·징계 부당해고 2018.04.19 147
임금·퇴직금 육아휴직 연차계산 2018.04.19 565
휴일·휴가 대체공휴일,선거일 근로시 수당발생여부 2018.04.18 453
근로계약 급여가 제대로 적용받는건지 궁금합니다. 2018.04.18 150
휴일·휴가 5/1 근로자의 날 휴무 갯수에 대한 질문입니다. 2018.04.18 418
여성 임신 중 병가 사용 문의 2018.04.18 1174
임금·퇴직금 연봉계약서의 월급여 2018.04.18 489
휴일·휴가 연차(회계년도 기준)질문 2018.04.18 248
임금·퇴직금 시급외 수당도 최저임금에 포함? 2018.04.18 358
임금·퇴직금 연차수 계산및 수당계산법 2018.04.18 647
해고·징계 해고예고수당 2018.04.18 637
Board Pagination Prev 1 ... 915 916 917 918 919 920 921 922 923 924 ... 5863 Next
/ 58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