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찬고 2018.05.16 22:30

1. 배경

금일(2018년 5월 17일, 약 2년10개월근무) 기준으로 7월3일 퇴사한다고 회사에 전달한 상황입니다.

입사일은 2015년 8월5일이며 회개년도 기준으로 2017년4월~2018년4월 개근하여 연차가 15일발생, 현재 남은 연차는 12일입니다.

추가적으로, 2018년 5월,6월 개근하여 2일의 월차가 발생할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저는 퇴사하면서, 현재 남은연차 12일 + 추가발생 연차2일 에 대한 수당을 받고 싶습니다.

회사에서는 발생 연차에 대하여 50%사용하도록 연차촉진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분기마다 최소 12.5%에 해당하는 사용을 권장하고있습니다.

(저는 지금까지 이 룰에 충실히 따르고있는상태)


2. 사건의 발단 

하지만 인사과에서는 남을 연차를 다 소진하고 퇴사를 하라 라고 강요받은 상태입니다.

업무강도가 높아서 억지로 연차를 써도 집에서 전화를 계속 받아 도저히 쉴수 없는 상태인데요.

퇴사하면서, 현재 남은연차 12일 + 추가발생 연차2일 에 대한 수당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없을까요?


바쁜신와중이지만 도움주신다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이상입니다.

Extra Form
성별 남성
지역 서울
회사 업종 제조업
상시근로자수 300인이상
본인 직무 직종 사무직
노동조합 있음
연관 검색어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18.06.05 17:52작성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고 있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회계연도 기준으로 연차휴가를 부여할 수 있어도 퇴직시 근로자에게 불리해서는 안됩니다. 아울러 지금은 월차휴가가 법개정으로 존재하지 않는데 귀하의 사업장에는 단체협약 등으로 명시되어 있는지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일단 귀하의 경우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지만 연차휴가는 근로기준법 60조 5항에 '사용자는 제1항부터 제4항까지의 규정에 따른 휴가를 근로자가 청구한 시기에 주어야 하고, 그 기간에 대하여는 취업규칙 등에서 정하는 통상임금 또는 평균임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근로자가 청구한 시기에 휴가를 주는 것이 사업 운영에 막대한 지장이 있는 경우에는 그 시기를 변경할 수 있다.'라고 명시되어 있는바 근로자는 휴가청구권을, 사용자는 부득이한 경우에 한 해 시기변경권이 있을 뿐입니다.

    물론 동법 62조에는 근로자대표와의 서면합의에 따라 연차휴가를 갈음하여 특정일에 근로자를 휴무시킬 수 있으나 귀하의 경우 휴가의 대체는 아닌것으로 보여집니다.

    따라서 원칙적으로 귀하께서 휴가를 신청하지 않으셨다면 사용자가 강제로 연차휴가를 사용하게 할 수 없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근로계약 이직 후에도 연락와서 갑질하는 회사,,저에게 강제 근로를 시킵니다. 1 2021.05.02 1095
임금·퇴직금 직장내 추행으로 3개월 전에 퇴사하였는데 월급을 돌려 달라고 하... 1 2021.04.05 293
직장갑질 초과근무 거부에 따른 불이익 예고 1 2021.03.05 1220
휴일·휴가 공휴일 근로에 대한 대체휴일 시간 질의 1 2021.01.27 520
근로계약 이경우도 고용승계라고 봐야하나요? 1 2020.11.03 330
임금·퇴직금 퇴사처리 지연(연차강제 소진) 너무 억울합니다. 1 2020.09.29 2657
근로계약 구인글에 연봉은 성과금 포함인데 6개월 이후에 퇴사하게 되면 반... 1 2020.06.27 318
휴일·휴가 강제 연차휴가 사용 1 2020.06.21 540
해고·징계 계약기간 종료로 인한 부당해고 1 2019.12.01 884
휴일·휴가 [토요 근무이후 강제휴가 종용] 2019.01.14 776
휴일·휴가 익년 연차 강제 소진이 가능한가여? 1 2018.12.18 659
근로계약 강제 전보 발령 근무지변경 1 2018.11.29 3938
휴일·휴가 여름휴가 기간을 강제로 지정해놓고 그날안쓰면 그냥 깍아버리겠... 1 2018.07.10 1063
해고·징계 법률사무소 사무원 재직중 강제퇴사 후 손해배상까지 청구한다고 ... 1 2018.07.09 1876
근로시간 52시간 , 강제 주말출근 2018.06.20 1458
» 휴일·휴가 퇴직전 연차휴가 강제 사용 1 2018.05.16 1512
근로계약 보복성 장거리 사업장 파견(왕복 3시간 30분 소요(집에서),교통비... 1 2018.05.16 677
휴일·휴가 휴일 강제근로 2018.04.25 883
휴일·휴가 경력자, 이직자 연차 2018.04.25 797
근로시간 강제야근 및 야근하지 않고 퇴근할 경우 사유보고 1 2018.03.16 224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