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ojy6126 2018.07.25 12:22

안녕하세요, 항상 감사히 도움을 받고있습니다.

퇴사를 앞두고 문의사항이 생겨 글남깁니다.

저는 IT 사무직 종사자입니다.

지금 회사에서 1년정도 근무했고, 퇴사 예정인데 계약을 포괄임금제로 계약했습니다.

그런데 알아보니까 일반사무직의경우 포괄임금제를 적용할 수 없다고 하더라구요.

주 5일 9시부터 6시가 계약서에 명시된 근무시간이고,

한달 급여는 세전 1,615,380원입니다.

급여명세서에 별도로 수당관련된 지급 내역 없이 기본급 1,615,380원 이라고만 쓰여있습니다.

근로계약서는 포괄임금제로 계약되어있구요.

18년도 시급이 오르면서 연봉도 딱 최저임금만큼 올랐지만 관련된 계약서를 재작성하진않았습니다.


질문드릴게요.

1. 사무직은 포괄임금제가 무효라고 하던데, 만약 연장근로에 대한 증빙자료만 갖춰진다면,

연장근무수당을 청구해서 지급받을수있을까요?

2. 연장근로에 대한 증빙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까 싶어서 저녁 7시 이후, 사내메신져로 업무를 처리했던 정황들을 캡쳐해뒀는데 증거자료로 사용 가능할까요?

3. 교통카드 사용 내역을 연장근로 증거자료로 사용 가능한가요?


잘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Extra Form
성별 여성
지역 서울
회사 업종 과학기술 서비스업
상시근로자수 5~19인
본인 직무 직종 사무직
노동조합 없음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2'


  • 노동희망 2018.07.25 13:35작성

     1. 포괄임금제가 주로 사무직을 대상으로 많은 기업에서 도입하여 적용을 하고 있습니다. 사무직의 근로시간 계산을 사실상

         산정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 도입되는 것이 이유인데, 근로기준법이 정한 계약 형태는 아니지만 판례로 인정을 하고 있는

         실정으로 무효로 보기는 어렵겠습니다.

    2. 다만 귀하의 경우처럼 사실상 근로시간 계산이 가능하다면 근로기준법이 정한 연장근로 등에 대한 수당 지급을 하여

        동 계산된 금액보다 연봉제에 의해 계약된 금품이 적은 경우라면 당연히 부족 지급한 금액을 지급하여야 하는 것이고

        미지급시는 임금체불 등 근로기준법 위반으로 처벌 대상이 되는 것입니다.

      - 귀하의 경우  주5일 40시간 근무에 월1,615,380원을 연장근로 여부와 관계없이 동일하게 근로의 대가로

         매월 수령하셨다면 통상 시급은 약 7,730원에 해당되므로, 1일 8시간 이상 또는 1주 40시간 이상 초과한 근로시간에

        대하여는 추가로 연장근로수당 지급요청을 하실 수 있으며, 5인 이상 사업장의 경우에는 당연히 가산임금(50%)도

        적용됨을 알려 드립니다.  

      - 퇴직음은 1년이상 근무한 경우에 지급받을 수 있음을 알려드리니 참고하시기 바립니다.  끝. 

  • 상담소 2018.08.10 17:47작성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답변이 늦어 죄송합니다.

    1> 원칙적으로 포괄임금제는 판례에 따라 예외적으로 인정된 제도인 만큼 근로시간의 측정이 어려운 업무등으로 엄격하게 제한 되어야 하나 실무에서는 사업장에서 오랜 기간을 거쳐 형성된 관행으로 근로자의 동의가 있다면 계산상의 편의만을 위한 포괄임금제라 할지라도 그 실체를 인정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2>다만 귀하의 경우 상담내용상의 포괄임금계약에 소정근로외의 근로시간에 대한 임금액의 지급내용이 명시된바 없는 만큼 급여총액이 월 소정근로에 대한 급여로 봐야 할 것이며 해당 소정근로시간을 초과하여 근로제공한 경우 해당 소정근로시간에 대한 급여액을 기준으로 산정한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1.5배를 가산하여 초과근로가산수당의 지급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귀하의 초과근로가산수당 청구에 대해 사용자가 근로제공 사실을 부인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업무처리 내용이 담긴 사내 전자메일이나 휴대전화 메신저등의 자료를 구비하시면 초과근로제공 사실의 입증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휴일·휴가 2015년 입사자의 연차 일수 계산 1 2018.08.07 2687
임금·퇴직금 주5일근무에서 주6일근무로 변경되면서 근로조건에 따른 임금(월... 1 2018.08.07 10545
기타 주휴수당 유급휴일 월급 계산~ 1 2018.08.07 1427
근로계약 합병법인 고용승계거부 1 2018.08.07 483
임금·퇴직금 연장근로수당과 야간근로수당 계산방법 1 2018.08.07 2434
해고·징계 해고 가능한지 여부 1 2018.08.07 238
근로시간 지주사 52시간 해당여부 1 2018.08.07 214
임금·퇴직금 에어컨 설치 보조 업무, 부당해고, 연장수당, 주휴수당 ,미수령급... 1 2018.08.07 851
휴일·휴가 연차를 시간단위로 사용하는 경우 휴게시간 반영 문의 1 2018.08.07 1355
임금·퇴직금 기타수당에 대한 상여포함 여부 1 2018.08.07 901
임금·퇴직금 2조 2교대 임금 계산 1 2018.08.07 2406
휴일·휴가 2018년 근로기준법 개정에 따른 연차수당 지급여부 1 2018.08.07 3659
임금·퇴직금 퇴직금 미지급 신고해야 하나요? 1 2018.08.07 3038
임금·퇴직금 연장수당 발생월에 지급하지 못하여 이월 지급하면? 1 2018.08.07 575
휴일·휴가 퇴직전에 연차를 다 쓰는게 나을까요? 1 2018.08.07 807
임금·퇴직금 퇴직금 계속근로년수로 계산이되나요? 1 2018.08.06 744
근로시간 비번인 날을 주휴일로 회사가 정한다면 합당한건지.... 1 2018.08.06 266
휴일·휴가 회계연도에서 입사일기준으로 연차 변경 1 2018.08.06 701
임금·퇴직금 산학협력 인턴 계속근로기간 및 퇴직금 문제 1 2018.08.06 1060
근로계약 공사종료 후 타현장 입사시 계속근로여부 1 2018.08.06 252
Board Pagination Prev 1 ... 857 858 859 860 861 862 863 864 865 866 ... 5864 Next
/ 5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