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의맛 2018.11.14 18:13

안녕하세요,

연봉제 관련 법률적으로 자문을 구하고자 질의드립니다.


먼저 간단하게 배경 설명을 드리자고 하면

저희 회사는 2014년 연봉제 규정을 제정하여 호봉제에서 연봉제로 전환하여 시행하였습니다.

그러나 취업규칙을 변경하면서 기존 호봉제 근로자들의 집단적 동의를 받지 않았다는 이유로

소송에 들어갔고 결국 회사가 패소하게 되었습니다.


회사에서는 2014년 이후에 임용된 근로자들에 대해서는 연봉제로 분류하고 있으며,

임금차액 보상에 대한 근거가 없다는 입장이며, 앞으로 급여체계도 불투명한 입장입니다.

(연봉제 근로자도, 호봉제와 마찬가지로 호봉을 획정해서 연봉액을 산출하였습니다)


문제는 회사에서 분류한 연봉제 근로자에게 최초 임용하면서

연봉제로 임용한다는 임용계약서와, 연봉계약서를 체결하지 않았다는 절차적 하자가 있습니다.

또한 매년 연봉계약을 체결한 적도, 통보를 받은 바도 없습니다.


질문드리고자 싶은 것은

1. 연봉제로 분류되었더라도 위와 같은 이유로 호봉제와 동일한 기준의 임금차액 보상을 요구할수 있는지

2. 앞으로 급여체계도 호봉제로 주장할 수 있는 법률적 근거가 있는지 질문 드립니다.

Extra Form
성별 남성
지역 인천
회사 업종 제조업
상시근로자수 100~299인
본인 직무 직종 사무직
노동조합 있음
연관 검색어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노동희망 2018.11.15 09:36작성

    근로기준법 제17조 규정에 의하면

     - 사업주는 근로계약을 체결할 때에 임금, 소정근로시간, 휴일, 휴가 등에 대한 사항을 명시하여야 하고,  특히 임금의 구성항목, 계산방법, 지급방법 및 소정근로시간, 휴일, 휴가에 대하여는 서면으로 명시하여 이를 근로자에게 교부하도록 정하고 있습니다.

     - 업무특성을 고려하여 연봉제로 계약을 체결하거나 체결된 계약 내용을 변경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하여 당사자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 것이며, 근로기준법에서 정한 최저 기준의 근로계약이나 최저임금 등을 위반하는 근로계약은 해댱 부분에 대하여 무효가 된다는 것이 판례이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List of Articles
임금·퇴직금 정직기간 중 퇴직연금 부담금 1 2018.11.22 1707
임금·퇴직금 육아휴직과 퇴직금 1 2018.11.22 300
근로시간 주 52시간 초과근무 하는 경우 문의 드립니다. 1 2018.11.22 1982
임금·퇴직금 2017년 중도입사 2018년 퇴사자 연차수당 문의 1 2018.11.22 1243
근로계약 공공근로시 공기업 경력인정 1 2018.11.22 735
휴일·휴가 연차일수 또는 연차 수당에 대하여 1 2018.11.22 365
임금·퇴직금 임금 1 2018.11.21 98
노동조합 청산을 하고 새로운 조합을 만들려고 합니다. 1 2018.11.21 146
고용보험 실업급여 대상 문의 - 자발적퇴사 1 2018.11.21 793
임금·퇴직금 임금상당액 산출 및 범위 관한 문의 1 2018.11.21 358
임금·퇴직금 상여금 월분할 지급시 일부 직원 최저시급 미만자 1 2018.11.21 931
고용보험 조기재취업 수당 지급 요건 문의 1 2018.11.21 720
임금·퇴직금 근무 시간에 대해서 질문 드리겠습니다 1 2018.11.21 114
최저임금 격주 토요일의 경우 최저임금을 알고 싶습니다. 1 2018.11.21 934
임금·퇴직금 연차 미지급에 해당 하나요? 2018.11.20 207
고용보험 실업급여 자격조건 문의드립니다. 2018.11.20 249
근로시간 야간수당 등 산출방법 2018.11.20 296
휴일·휴가 그룹사 전출 관련 연차 문의드립니다. 2018.11.20 357
휴일·휴가 근로계약서. 작성전 연차수당이요 급해요~~~~~~ 2018.11.20 299
근로계약 사직서 수리 거부당했습니다 2018.11.20 1012
Board Pagination Prev 1 ... 805 806 807 808 809 810 811 812 813 814 ... 5862 Next
/ 58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