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희는 단체협약에 따라 근로기준법보다 많은 연차를 근로자에게 부여하고 있는데요,

이 때 미사용 연차에 대한 수당을 단체협약에 따라 부여된 모든 연차에 지급하여야 하는지,

혹은 근로기준법에 따라 근로자에 반드시 부여하여야 하는 연차 일수를 한도로 하여 지급하면 되는지

판단이 서질 않네요 ^^;

항상 감사합니다.

Extra Form
성별 여성
지역 인천
회사 업종 기타업종
상시근로자수 100~299인
본인 직무 직종 사무직
노동조합 있음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노동희망 2018.11.26 19:45작성

    근로기준법은 법정 근로조건으로 당사자간에 계약이 없는 경우 노동자-사용자 간에 적용되는 최저한의 기준을 정한 근로조건입니다.  따라서 당사자 간에 근로계약 또는 단체협약이나 회사의 취업규칙 등으로 근로기준법에서 정한 기준보다 상향된 조건을 정한 경우에는 그에 따라 지급하여야 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끝.


List of Articles
휴일·휴가 회계년도 기준(1월 1일) 18년도 연차 계산 2018.06.22 1801
해고·징계 임금지급기에 대한 기준 질문 2018.06.28 789
근로시간 반차휴가 출퇴근시간 결정 2 2018.07.03 2837
근로시간 주40시간계약 후 주말당직에 대한 보수 1 2018.07.14 594
해고·징계 포괄연봉계약서를 근거로한 근로계약의 종료 3 2018.07.18 1002
임금·퇴직금 이런경우 휴일수당 못받는건가요? 도와주세요 1 2018.07.19 354
임금·퇴직금 휴일수당을 못받고 있는데 이런경우 받을수가 없나요? 1 2018.07.22 365
휴일·휴가 개정 근로기준법(연차) 관련 3 2018.07.31 984
근로계약 문제없는지 좀 봐주세요ㅜㅜ 1 2018.09.01 299
비정규직 사립대학 조교에 대한 남녀고용평등법, 근로기준법 적용 문의 2018.09.11 768
휴일·휴가 연차를 사용자가 제약할경우 대처방법 2018.09.29 563
임금·퇴직금 주휴수당에 대해서 질문드려요. 1 2018.11.02 471
임금·퇴직금 체당금 공제 방법? 1 2018.11.13 281
» 휴일·휴가 근로기준법에 규정된 연차일수보다 많은 휴가를 부여한 경우의 미... 1 2018.11.26 539
근로계약 현장실습기간 종료 후 자발적 퇴사 문의드립니다 ㅠㅠ 1 2018.12.19 1584
기타 출근시간 및 휴게시간에 대해 궁금한 부분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1 2018.12.29 493
근로계약 근로계약서가 생기려고 합니다. 1 2019.01.06 132
최저임금 최저임금 관련 보전 금액 미지급에 따른 근로기준법(취업규칙,단... 1 2019.01.09 690
임금·퇴직금 퇴직금 계산좀 해주세요 2 2019.01.09 588
근로시간 구두로 한 근로계약에 의한 근로시간 2019.01.12 52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