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법한 휴무, 휴일대체는 가산수당을 지급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은 알고 있습니다.

질문 1. 월~금 근무 , 토요일, 일요일 휴무일 때

           월~토 근무 후 토요일 휴무를  다음주 평일에 대체휴무했을 때  이 주는 월~토요일까지 근무하게 되어 주 40시간이 초과됩니다.

           이 경우 적법하게 휴무대체가 이루어졌다면  초과근무  8시간에 대해 연장가산수당을  지급하지 않아도 되는 건가요?

 

 질문 2. 예를 들어  3.11~3.16일 근무 후 이 16일에 대한  대체휴무를  다음주가 아닌 그 전 주 3.4~3.8일 사이에 미리 당겨써도 괜찮은지?

 

질문 3. 저의 회사가 주 5일제에 토일개수 기준으로 휴일을 제공하는데,  월화를 쉬는 A가 .있을 때

            19년 3월에는 토일개수가  10개,  월화는 8개라      A는 월화 8일외에도 이틀을 더 쉬어서 10일을 쉽니다.

            이틀을 더 쉰다고 해서 급여가 이틀치 깎이는 것은 아니며

            대신 반대로 4월에는 토일이 8일이고 월화는 10일이라서   A는  휴일을 이틀을 반납해서 8일을 쉬어야 합니다.

          

            즉, 4월 2일(화), 4월 9일(화)을 반납하여  근무할 경우  2주동안  주 6일 48시간을 근무하게 되는데

            이 때  연장수당 , 휴일수당이 발생하는 가요?

            

Extra Form
성별 여성
지역 제주
회사 업종 보건업 사회복지서비스업
상시근로자수 50~99인
본인 직무 직종 사무직
노동조합 없음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19.03.26 16:59작성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고 있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답변이 늦어 죄송합니다.

    1. 적법한 휴일대체는 미리 규정을 두었거나 당사자의 동의가 있어야 합니다. 유효한 휴일대체는 원래의 휴일이 통상 근로일이 되고 소정근로일이 휴일로 되는 것입니다. 휴무일과 관련해서 응용해보면 적법하게 휴무일을 대체하는 것은 무방하나 1주 40시간을 초과한 경우는 연장근로가산수당이 발생합니다. 다만 사전에 휴무일을 부여하여 주40시간 이하로 근로시간을 설계한다면 가산수당 지급의 의무는 없습니다.

    2. 당사자간 합의가 있다면 가능합니다.

    3. 자세한 내용을 알 수 없으나 애초에 휴일로 지정한 날에 근로를 제공한다면 휴일근로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고용보험 실업급여 수급 조건 문의 1 2019.03.08 476
임금·퇴직금 퇴직연금 가입 시 퇴직금 처리 1 2019.03.08 618
여성 육아휴직후 복직에 따른 연차 일 문의드립니다. 1 2019.03.08 203
기타 계열사 전배에 따른 건강검진 (작업공정이 동일할경우 배치전건강... 1 2019.03.08 1412
임금·퇴직금 사실상 기본급인 식대와 연장근로수당과 퇴직금 1 2019.03.08 2174
근로계약 퇴직금 포함 연봉에 대한 문의를 드립니다 1 2019.03.08 268
임금·퇴직금 회사 부도로 인한 밀린임금과 퇴직금 문의 1 2019.03.08 1076
임금·퇴직금 콜센터는 법정공휴일에 근무 시 추가 수당을 받을 수 없나요?? 1 2019.03.08 1841
임금·퇴직금 회사 이전으로인한 실업급여 (회사이전전 퇴사) 1 2019.03.07 1571
임금·퇴직금 외국인 아르바이트 퇴직금 1 2019.03.07 685
임금·퇴직금 건설일용직 퇴직금 관련 문의합니다. 1 2019.03.07 503
해고·징계 해고 당했습니다 상시근무인원 5인사업장 관하여 자세히 알고 싶... 1 2019.03.07 998
임금·퇴직금 3개월 미만 근무자의 평균임금 산출 1 2019.03.07 2055
임금·퇴직금 월 중 중간입사자 초과근무수당 산정이 궁금합니다. 1 2019.03.07 569
임금·퇴직금 연봉을 시급으로 환산한 금액을 알고 싶습니다. 1 2019.03.07 5310
기타 노사협의회 운영 1 2019.03.07 387
최저임금 주7일 근무 계산시 1 2019.03.07 863
최저임금 최저임금 미달로 인한 자발적 퇴직이 실업급여 가능한지 1 2019.03.07 403
임금·퇴직금 도급 프리랜서 퇴직금 1 2019.03.07 390
임금·퇴직금 실업급여 문의드립니다. 1 2019.03.07 138
Board Pagination Prev 1 ... 738 739 740 741 742 743 744 745 746 747 ... 5862 Next
/ 58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