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블리 2019.04.19 10:22

학원에서 국비 지원 강사로 일을 하고 있습니다. 아르바이트아닌 직장은 처음인 사회 초년생입니다.

작년 12월부터 근로했구요. 교육청에 학원강사로 등록한 상태입니다.

하지만 근로계약서, 개인정보 제공동의서, 이력서 등 아무것도 작성하지 않은 상태입니다.

금액은 최저시급에 맞춰주시기로했었구요. (구두로 전달)

근로시간은 09:30-21:00 입니다. 휴게시간 없구요. 근데 월 급여가 최저 시급도 안되는 상황입니다.

구두로 두달은 수습기간으로1,500,000원을 지급해주신다고 하셨는데 1,464,000원 지급 받았구요. 3개월째부터는 1750,000원을 지급해주겠다고 하셨는데1,605,310원 지급받았습니다.

 4대보험을 들어서 일정금액을 떼긴한다는데 이거 신고 가능한가요?

연차,휴가등 일절 없었습니다. 신고 가능하다면 어떤 증거물을 가지고 어디에 신고 가능한가요?

Extra Form
성별 여성
지역 경남
회사 업종 교육서비스업
상시근로자수 5~19인
본인 직무 직종 서비스직
노동조합 없음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19.04.23 18:59작성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상담내용상의 정보로는 1일 근로시간이 약 10시간 30분에 달한다는 사실과 해당 근로제공의 대가로 월 급여액이 초기 두달 150만원, 3개월째부터 175만원이 지급되었다는 점을 알수 있으나 1주 몇일을 근로제공하였는지? 알수 없어 정확한 귀하의 급여액 산정이 어렵습니다.

     

    편의상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주 5일 근로제공 했다 가정하고 답변을 드리면 110.5시간×5=52.5시간의 주중 실제 근로가 이뤄 집니다. 한달이면 평균 4.34주가 되기 때문에 4.34주를 곱하면 월 227.85 시간의 실근로시간이 나옵니다.

     

    152.5 시간중 140시간의 법정 근로시간을 초과한 12,5시간은 연장근로가 됩니다. 이 역시 한달로 따지면 4.34주를 곱하여 54.25시간의 연장근로가 발생됩니다. 여기에 연장근로에 따른 가산율 0.5를 적용하면 약 월 27시간의 연장근로 가산시간이 나옵니다.

     

    그리고 18시간의 주휴월 35시간이 나옵니다.

     

    이를 모두 더하면 월 약 290시간의 근로시간수가 나옵니다. 여기에 2019년 최저임금 시간급 8,350원을 곱하면 월 2,421,291원 이상이 지급되었어야 합니다. 이에 미달하여 월 150만원에서 170만원을 지급한 사용자의 행위는최저임금법 제 6조 위반이자연장근로에 대한 가산수당을 지급하지 않은 근로기준법 제 56조 위반 행위가 됩니다.

     

    따라서 이에 대해서는 사용자를 상대로 관련 법 위반으로 처벌을 요구함과 동시에 최저임금액 기준으로 실제 지급받은 차액에 대해 미지급 임금으로 청구 할 수 있습니다.

     

    이와 함께 근로기준법 제 54조에 따라 사용자는 4시간에 대해 30, 8시간에 대해 1시간의 휴게시간을 근로시간 도중에 부여해야 합니다. 귀하가 오전 930분부터 오후 9시까지 휴게시간 없이 근로제공 했다 하셨는데 이러한 사용자의 행위는 휴게시간을 부여하도록 정한 근로기준법 제 54조 위반이 됩니다. 따라서 이에 대해서도 처벌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관할 고용노동지청에 사용자를 상대로 최저임금법 위반근로기준법 위반 진정을 제기하시면 됩니다. 중요한 점은 과정에서 사용자가 귀하의 근로주장에 대해 부인 할 경우 사실관계 확인을 위해 근로감독관이 귀하가 주장처럼 오전 930분부터 오후 9시까지 휴게시간 없이 근로제공 했다는 점을 입증할 수 있도록 수업 기록이나 동료 근로자의 진술학원 수강생의 사실확인서등을 구비하여 입증의 과정을 준비하시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일반적으로 강의 시수에 따라 휴게시간이 주어지는 학원 특성상 근로감독관이 휴게시간이 없이 오전 930분부터 오후 9시까지 근로제공 했다는 귀하의 주장을 인정할 가능성은 거의 없습니다. 따라서 철저하게 근무시간에 대한 주장을 입증할 수 있는 증거들을 다각도로 고민하여 진정을 제기하시면 좋겠습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여성 육아휴직 종료 시점으로 퇴사를 부탁하는 회사 1 2019.05.14 317
임금·퇴직금 1년되는날이 1달이 남지 않았습니다. 회사에 1년째 되는날 관둔다... 1 2019.05.14 882
휴일·휴가 휴무일과 연차휴가 사용순서 문의 5 2019.05.14 1149
근로시간 연속근무와 공휴일의 관계 문의 1 2019.05.14 455
임금·퇴직금 격일근무(감단 미승인) 월급여액 확인부탁드립니다. 2 2019.05.14 771
임금·퇴직금 동일직장 동일부서 동일직종 다른일 1 2019.05.13 296
임금·퇴직금 급여계산,근로시간,최저임금 1 2019.05.13 352
임금·퇴직금 연봉 협상 전 퇴직 시 질문 1 2019.05.13 1063
임금·퇴직금 퇴사일 확정여부 1 2019.05.13 838
휴일·휴가 탄력근무제로 토요일 연차휴가 사용 1 2019.05.13 1271
고용보험 정년 1 2019.05.13 190
해고·징계 회식자리 집단 구타 질의드립니다. 1 2019.05.13 246
기타 작업장 내 감시카메라 CCTV 1 2019.05.13 3134
임금·퇴직금 임금 관련으로 헷갈리는 부분이 있습니다 1 2019.05.13 404
근로계약 사직서 제출시기와 퇴사시기 1 2019.05.12 8990
기타 체력부족으로 인한 실업급여 상담입니다. 1 2019.05.12 1484
임금·퇴직금 계약한것과 다른 금액을 월급으로 받았습니다 1 2019.05.12 300
임금·퇴직금 퇴직금 수여여부 1 2019.05.12 102
휴일·휴가 주말근무 대체휴무 질문입니다. 1 2019.05.11 3101
임금·퇴직금 전 직장의 대표이사 변경으로 인한 퇴직금 미지급건? 1 2019.05.11 818
Board Pagination Prev 1 ... 711 712 713 714 715 716 717 718 719 720 ... 5864 Next
/ 5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