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서기맘 2019.09.17 16:44

아래 답변 주셨는데요~

103782 번호 재확인 부탁 드립니다.

제가 궁금한것은 근로자 입장이 아닌 회사 입장으로 1주단위 12시간 연장근로로 불법이 아닌지 여부 입니다.

확인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Extra Form
성별 여성
지역 경기
회사 업종 기타업종
상시근로자수 300인이상
본인 직무 직종 단순노무직
노동조합 없음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19.09.17 18:19작성

    근로기준법은 사용자와 근로자의 존재를 전제로 하여 최소한의 근로조건의 기준을 정한 법입니다. 다만 근로기준법 상 사용자는 근로기준법 준수의 의무자로써 그 역할과 위상이 규정됩니다.

    따라서 연장근로 제한을 위반할 경우 벌칙은 근로자가 아닌, 사용자에게 적용되며 이는 동법 115조에 따라 '사업주의 대리인, 사용인, 그 밖의 종업원이 해당 사업의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 위반행위를 하면 그 행위자를 벌하는 외에 그 사업주에게도 해당 조문의 벌금형을 과(科)한다'라고 명시되어 있기도 합니다.

    앞에서 말씀드린바와 같이 '1일 단위 연장근로와 1주 단위 연장근로가 경합하는 경우는 많은 쪽 (근로자에게 유리한 것)을 기준으로 산정'하기 때문에 14시간의 연장근로가 발생하여 연장근로 위반에 해당합니다. 연장근로 제한을 위반할 경우 사용자에게 시정명령이나 벌칙이 부과될 수 있으니 유의하실 필요가 있겠습니다.

    개정법의 연장근로 제한과 관련한 내용은 https://www.nodong.kr/pds/1869570 33페이지 등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되실 것 입니다.


List of Articles
산업재해 산업재해 중 부당해고 1 2019.10.01 370
근로시간 초과근무시간 산정/수당 산정 문의 1 2019.10.01 307
임금·퇴직금 개인 병가 후 퇴직금 산정에 관한 문의 1 2019.10.01 868
근로시간 행사 이후 강사들과의 평가회의 초과인가요 1 2019.10.01 71
기타 연차수당 재문의 드립니다. 1 2019.09.30 134
임금·퇴직금 야간수당에 대해 다시 질문드립니다. 1 2019.09.30 179
임금·퇴직금 임금체불 1 2019.09.30 65
임금·퇴직금 포괄임금 자세한 부분 추가해서 재상담 부탁합니다. 1 2019.09.30 233
휴일·휴가 연차 관련 질문 1 2019.09.30 107
휴일·휴가 대체휴무 1 2019.09.30 218
근로계약 부서이동 1 2019.09.30 543
근로계약 해외근무직원 서약서 작성 관련 1 2019.09.30 511
노동조합 선거관리 1 2019.09.30 70
해고·징계 퇴사일자 관련 1 2019.09.30 686
휴일·휴가 연차 1 2019.09.30 207
최저임금 최저임금과 상시근로자 수의 대한 질문 1 2019.09.30 655
노동조합 노동조합 단체교섭(단체협약) 요구에 대해.. 1 2019.09.29 786
임금·퇴직금 야간수당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1 2019.09.29 375
임금·퇴직금 회사에서 준 선물세트 퇴사 예정자는 못받나요? 1 2019.09.28 877
임금·퇴직금 시간 탄력근무제 1 2019.09.28 163
Board Pagination Prev 1 ... 673 674 675 676 677 678 679 680 681 682 ... 5862 Next
/ 58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