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전에 상담을 드렸는데 사무직 노동조합을 설립했더라도 회사에서 교섭에 응하지 않을 거라고 했습니다.

그리고 기존 생산직 노조의 가입범위에서 사무직 포함여부를 확인해 보라고 했는데 사무직은 가입범위에서 제외하는 것으로

분명히 단체협약에 명시되어 있고 사무직을 위해 단체교섭이나 임금인상을 한 적은 한 번도 없습니다.

심지어 작년에는 생산직만 임금을 올리고 사무직은 급여를 한 푼도 올리지 않았습니다. 그럼에도 기존 노조가 있어서 교섭권이

인정되지 않는다는 것인가요, 우리가 회사와 교섭을 하려면 노동위원회에 교섭단체 분리신청을 우선 하는 방법 밖엔 없는 겁니까? 

그래도 인정이 되지 않는다면 저희들이 취할 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까?

Extra Form
성별 남성
지역 경남
회사 업종 제조업
상시근로자수 100~299인
본인 직무 직종 사무직
노동조합 있음
이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
카톡으로 공유

답변 글 '1'


  • 상담소 2019.12.17 14:30작성
    안녕하세요, 노동OK를 운영하고 있는 한국노총 부천상담소입니다. 

    엄밀히 말씀드리면 단체협약에 적용대상으로는 가입범위를 확신하기 어려운 바, 원칙적으로 해당 노동조합의 규약을 확인해야 합니다. 

    만일 귀하의 말씀처럼 기존 노조가 사무직까지 포괄하고 있지 않다면 기존 답변에서 말씀드린바대로 1> 교섭대표노조 결정 2> 개별교섭 3> 교섭단위 분리신청의 방법이 있을 수 있습니다.

    노조법 29조의 2에 따르면 ' 하나의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 조직형태에 관계없이 근로자가 설립하거나 가입한 노동조합이 2개 이상인 경우 노동조합은 교섭대표노동조합을 정하여 교섭을 요구해야' 합니다. 최근 판례에 의하면 '사업 또는 사업장에 유일하게 존재하는 노동조합은 형식적으로 교섭창구 단일화 절차를 거쳤더라도 교섭대표노동조합의 지위를 취득할 수 없다' (사건번호 : 대법 2016두36956,  선고일자 : 2017-10-31)고 하기에 새롭게 교섭창구 단일화 절차를 거쳐 교섭대표노조를 정하여 교섭을 해야 합니다. 이 경우 교섭대표노조는 공정대표의무가 부과되는데 공정대표의무란 교섭단위 내 노동조합과 조합원의 이익을 합리적 이유없이 차별하지 않고 공정하게 대표할 의무를 말합니다.

    이 과정에서 교섭대표노동조합을 자율적으로 결정하는 기한내에 사용자가 개별교섭에 동의한 경우는 개별교섭이 가능할 것이며(노조법 29조의 2 1항), 상술한 바와 같이 노동위원회에 교섭단위 분리신청을 할 수 있겠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저희 노동ok 페이스북을 방문해 보세요~ 
    https://www.facebook.com/laborok?ref=bookmarks 노동관련 각종 법령과 정책에 관한 정보, 노동현안에 대한 소식들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노동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저희 '한국노총'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리며,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임금·퇴직금 주휴수당 계산법 문의드립니다. 1 2019.12.26 485
휴일·휴가 연차계산 문의드려요, 자동계산식 누적계산으로? 1 2019.12.26 458
휴일·휴가 연차 및 주휴수당 문의 1 2019.12.26 299
임금·퇴직금 한 주 개근 후 다음주 결근시 개근한 주에 발생되는 주휴수당이 ... 1 2019.12.26 953
임금·퇴직금 휴일 당직수당 근로에 대한 대가 이기에 통상임금으로 계산해 줘... 1 2019.12.26 621
기타 채용조건변경 1 2019.12.26 81
임금·퇴직금 퇴직금 주휴수당 안전근무수당 1 2019.12.25 365
고용보험 부정수급 1 2019.12.25 183
근로계약 정직원으로 7년 다닌 회사를 퇴사 하고 바로 같은 회사에서 1개월... 1 2019.12.24 5738
근로시간 1일근로시간 구하는 방법 - 연차수당 및 퇴직금 계산을 위한 통상... 1 2019.12.24 959
해고·징계 실업급여 신청 할수 있을까요?? 1 2019.12.24 436
임금·퇴직금 연월차 수당 계산 방법 1 2019.12.24 3040
근로시간 3조2교대 근무 사업장에서 연속 7일의 주간 또는 야간근무의 합법... 1 2019.12.24 1533
임금·퇴직금 시간외수당 회사에서 정액으로 정해서 줘도 되나요? 1 2019.12.24 481
임금·퇴직금 1년미만 근속 후 퇴사시 과거에 수급한 정기상여, 특별상여 환불여부 1 2019.12.24 777
임금·퇴직금 아르바이트 기간동안 퇴직금계산방법 1 2019.12.24 8288
휴일·휴가 연가 사용일수 1 2019.12.23 237
휴일·휴가 주 35시간 계약직 휴무 문의 2 2019.12.23 648
임금·퇴직금 일반직 근로자에서 촉탁직 근로자로 전환시 퇴직금 및 연차수당 문의 1 2019.12.23 1533
직장갑질 상사의 반복되는 호통속에 퇴사를 결심한 1인입니다. 1 2019.12.23 913
Board Pagination Prev 1 ... 650 651 652 653 654 655 656 657 658 659 ... 5862 Next
/ 5862